오늘 법원 회생계획안 인가할 듯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1998년 워크아웃 개시 이후 법정관리와 파산선고 등을 겪었던 동아건설이 9년여만에 정상화의 길을 걷게 될 전망이다.
16일 동아건설 채권단 등에 따르면 법원은 채권단과 관리인이 제출한 동아건설 회생계획제출안에 대해 이날 오후 인가여부를 결정한다.
동아건설의 회생절차 인가가 의미를 갖는 것은 국내에서 파산절차가 진행중이고그것도 5년 이상 장기파산이 진행중인 회사로서 처음으로 경영정상화를 이뤄냈기 때문이다.
동아건설은 앞서 2000년과 2002년에도 회생절차를 신청했으나 두 차례 모두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낮다는 이유로 법원에서 기각된 바 있다.채권단은 이런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계속기업가치를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은 끝에 프리패키지(Pre-package) 방식을 도입했다.
프리패키지 방식은 회생법원에서 회생인가 후 인수합병(M&A)의 제반절차를 직접관리.감독하는 통상적인 회생회사 M&A 절차와는 달리 채권단이 회생인가를 전제로 사전에 M&A를 추진하는 방식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파산된 기업도 잠재된 전략적 자산과 산업 연관효과가 높은 기업이 결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업가치가 재창출돼 회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실증사례"라면서 "활용가치가 높은 전략적 기업의 경우 도산보다는 회생을 추진하는 것이 기업가치 극대화에 유리하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말했다.
채권단은 이날 법원의 인가가 내려지면 채권 중 현금변제액을 제외한 잔여채권을 출자전환할 예정이며 이후 출자전환주식과 구(舊) 주식을 병합할 예정이다.
또 인수자로 선정된 프라임-트라이덴트 컨소시엄은 유상증자를 통해 동아건설을인수하며 올해 11월중 인수대금 6천780억원으로 채무를 변제하게 되면 회생절차가 끝나게 된다.
한편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가 이뤄지면 동아건설에 투입됐던 공적자금도 추가로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건설 부실채권 매입에 2천510억원을 투입했던 자산관리공사는 현재 4천208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해 이미 1천698억원을 초과 회수한 상태며 앞으로 회생절차를 통해 3천여억원을 추가로 회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투입 공적자금 대비 초과회수금액이 5천억원 내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zitron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1998년 워크아웃 개시 이후 법정관리와 파산선고 등을 겪었던 동아건설이 9년여만에 정상화의 길을 걷게 될 전망이다.
16일 동아건설 채권단 등에 따르면 법원은 채권단과 관리인이 제출한 동아건설 회생계획제출안에 대해 이날 오후 인가여부를 결정한다.
동아건설의 회생절차 인가가 의미를 갖는 것은 국내에서 파산절차가 진행중이고그것도 5년 이상 장기파산이 진행중인 회사로서 처음으로 경영정상화를 이뤄냈기 때문이다.
동아건설은 앞서 2000년과 2002년에도 회생절차를 신청했으나 두 차례 모두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낮다는 이유로 법원에서 기각된 바 있다.채권단은 이런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회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계속기업가치를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은 끝에 프리패키지(Pre-package) 방식을 도입했다.
프리패키지 방식은 회생법원에서 회생인가 후 인수합병(M&A)의 제반절차를 직접관리.감독하는 통상적인 회생회사 M&A 절차와는 달리 채권단이 회생인가를 전제로 사전에 M&A를 추진하는 방식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파산된 기업도 잠재된 전략적 자산과 산업 연관효과가 높은 기업이 결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업가치가 재창출돼 회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실증사례"라면서 "활용가치가 높은 전략적 기업의 경우 도산보다는 회생을 추진하는 것이 기업가치 극대화에 유리하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말했다.
채권단은 이날 법원의 인가가 내려지면 채권 중 현금변제액을 제외한 잔여채권을 출자전환할 예정이며 이후 출자전환주식과 구(舊) 주식을 병합할 예정이다.
또 인수자로 선정된 프라임-트라이덴트 컨소시엄은 유상증자를 통해 동아건설을인수하며 올해 11월중 인수대금 6천780억원으로 채무를 변제하게 되면 회생절차가 끝나게 된다.
한편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가 이뤄지면 동아건설에 투입됐던 공적자금도 추가로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건설 부실채권 매입에 2천510억원을 투입했던 자산관리공사는 현재 4천208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해 이미 1천698억원을 초과 회수한 상태며 앞으로 회생절차를 통해 3천여억원을 추가로 회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투입 공적자금 대비 초과회수금액이 5천억원 내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zitron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