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장군에게 협조하고 싶은 마음 우러나” 찬양언론인 실태도 함께
...10·27법난은 송월주 총무원장 신군부 협조 거부 따른 불교탄압사건
1980년 신권부의 권력찬탈과정에서 언론계 인사들의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에 대한 찬양가 실태와 함께 해직 및 취업불허 당한 저항언론인의 명단이 공개됐다. 25일 국방부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공개한 신군부의 언론통제사건 조사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신군부는 일명 ‘K공작’으로 저항 언론인을 대량 해직하면서 취업제한조치를 내렸고, 이와 함께 신군부에 호응하는 언론인들을 상대로 한 관리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드러났다.
신군부언론대책반이 전두환 보안사령관 면담에 따른 언론인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보고한 바에 따르면 신군부에 협조한 언론인들은 전 사령관에 대해 찬양일색의 발언으로 일관했음이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순박하고 강직한 군인상을 느꼈으며 시국문제로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는데 안타깝기 그지없음”(00통신 사장 박00) “난국수습을 위해 노력하는 고애를 감지하였으며 협조해나갈 심정이 우러났음”(00통신 사장 김00) “최근 국내사태와 추후 정국을 수습하는데 기대할 만한 훌륭한 장군으로 평가함”(00방송 사장 최00) “오로지 국가와 민족을 위한 전형적인 군인상”(00신문 사장 김00) “대면 후 이구동성으로 전 장군이 정치에 관여하지 않을 것같다는 의견을 나누었다. 그러나 아직 의문은 남아있는 것도 사실임”(00신문 편집국장 김00) 등이다.
이에 반해 신군부의 집권에 저항했던 언론인들에 대해서는 해직과 취업제한의 조치를 가했음이 자료로 공식확인됐다. 신군부가 작성한 취업불허명단은 극렬반정부자와 국시부정자로 구분돼 있다. 극렬반정부 주의자로는 동아일보 박권상 논설주간 등 5명, 한국일보 박 실 정치부 차장 등4명, 중앙일보 김승한 주필 등 4명, 조선일보 김상길 부산주재기자, 동양통신 조홍래 외신부장 등 3명, TBC 한종범 편집부 기자 등 2명, DBS 김근 사회부 기자 등 2명이다. 합동통신 이문승 외신부 차장 고승우 사회부 기자 등은 6명은 국시부정자로 낙인찍어 취업불허명단에 올렸다.
군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날 10·27법난에 대해서도 조사결과를 밝혔다. 이른바 ‘45계획’으로 불린 1980년 10월27일 전국사찰을 대상으로 자행된 조계종 승려 연행검거사건은 조사결과 “송월주 총무원장의 신군부 협조 거부에 따른 불교계 탄압사건”으로 결론내렸다. 조사위는 국보위와 합동수사단의 3단계 정화계획에 따른 근거문서를 제시했다. 그러나 조사위는 법난을 지시한 책임자에 대해서는 끝내 밝혀내지 못함으로써 불교계로부터 미진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진병기 기자 j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0·27법난은 송월주 총무원장 신군부 협조 거부 따른 불교탄압사건
1980년 신권부의 권력찬탈과정에서 언론계 인사들의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에 대한 찬양가 실태와 함께 해직 및 취업불허 당한 저항언론인의 명단이 공개됐다. 25일 국방부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공개한 신군부의 언론통제사건 조사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신군부는 일명 ‘K공작’으로 저항 언론인을 대량 해직하면서 취업제한조치를 내렸고, 이와 함께 신군부에 호응하는 언론인들을 상대로 한 관리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드러났다.
신군부언론대책반이 전두환 보안사령관 면담에 따른 언론인들의 반응을 수집하여 보고한 바에 따르면 신군부에 협조한 언론인들은 전 사령관에 대해 찬양일색의 발언으로 일관했음이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순박하고 강직한 군인상을 느꼈으며 시국문제로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는데 안타깝기 그지없음”(00통신 사장 박00) “난국수습을 위해 노력하는 고애를 감지하였으며 협조해나갈 심정이 우러났음”(00통신 사장 김00) “최근 국내사태와 추후 정국을 수습하는데 기대할 만한 훌륭한 장군으로 평가함”(00방송 사장 최00) “오로지 국가와 민족을 위한 전형적인 군인상”(00신문 사장 김00) “대면 후 이구동성으로 전 장군이 정치에 관여하지 않을 것같다는 의견을 나누었다. 그러나 아직 의문은 남아있는 것도 사실임”(00신문 편집국장 김00) 등이다.
이에 반해 신군부의 집권에 저항했던 언론인들에 대해서는 해직과 취업제한의 조치를 가했음이 자료로 공식확인됐다. 신군부가 작성한 취업불허명단은 극렬반정부자와 국시부정자로 구분돼 있다. 극렬반정부 주의자로는 동아일보 박권상 논설주간 등 5명, 한국일보 박 실 정치부 차장 등4명, 중앙일보 김승한 주필 등 4명, 조선일보 김상길 부산주재기자, 동양통신 조홍래 외신부장 등 3명, TBC 한종범 편집부 기자 등 2명, DBS 김근 사회부 기자 등 2명이다. 합동통신 이문승 외신부 차장 고승우 사회부 기자 등은 6명은 국시부정자로 낙인찍어 취업불허명단에 올렸다.
군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이날 10·27법난에 대해서도 조사결과를 밝혔다. 이른바 ‘45계획’으로 불린 1980년 10월27일 전국사찰을 대상으로 자행된 조계종 승려 연행검거사건은 조사결과 “송월주 총무원장의 신군부 협조 거부에 따른 불교계 탄압사건”으로 결론내렸다. 조사위는 국보위와 합동수사단의 3단계 정화계획에 따른 근거문서를 제시했다. 그러나 조사위는 법난을 지시한 책임자에 대해서는 끝내 밝혀내지 못함으로써 불교계로부터 미진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진병기 기자 j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