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을 앞둔 공무원의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공로연수제도가 위로성 해외여행으로 변질돼 혈세만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도와 일선 시군이 최근 국회행자위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공로연수 대상자 371명 중 309명이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이 가운데 275명은 부부동반이었으며, 이들에게는 모두 14억8198만원의 예산이 집행됐다.
여행경비는 창원시가 1인당 389만원, 진해시가 375만원, 하동군이 355만원이었고 창녕군 89만원, 고성군 140만원 등 3배 이상차이가 나는 등 천차만별이었다.
막대한 예산이 지원되고 있으나 이들 연수에 대한 검증절차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남도는 19명의 공로연수자들이 부부동반(37명)으로 1억1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8박 10일간 유럽 5개국을 다녀왔다.
연수목적은 선진국 퇴직공무원의 사회적응실태를 벤치마킹한다고 돼 있으나 영국 대영박물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과 개선문, 로마명소 시찰 등 유명관광지 시찰이 일정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제출된 연수결과보고서명은 ‘신항 환적체계 개선방안, 양돈농가 돼지소모성 질병예방 및 한미 FTA대응방안, 농가소득원이 될 수 있는 소리곤충 사육방법’ 등 ‘여행따로 보고서따로’였다.
행자위 정성호 의원은 “해외연수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도, 별도의 검증절차조차 없는 말년 공무원들의 위로여행에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퇴직공무원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도는 지난 2년간 퇴직공무원 사회진출프로그램으로 공인중개사반과 웰빙원예반 2개를 운영했으나 지원실적은 단 2명에 지원금은 57만원에 불과했다. 이는 같은 기간 해외연수경비 1억1000만원의 0.1%도 되지 않는 수치다.
행자위 김정권 의원은 “해외여행 등은 엄격히 제한하고 공로연수에 대한 구체적 규정을 마련하는 한편 사회적응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경남도 이용학 인사과장은 “부부동반 등 예우차원의 해외연수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해외연수보다는 실질적으로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원종태 기자 jt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남도와 일선 시군이 최근 국회행자위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공로연수 대상자 371명 중 309명이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이 가운데 275명은 부부동반이었으며, 이들에게는 모두 14억8198만원의 예산이 집행됐다.
여행경비는 창원시가 1인당 389만원, 진해시가 375만원, 하동군이 355만원이었고 창녕군 89만원, 고성군 140만원 등 3배 이상차이가 나는 등 천차만별이었다.
막대한 예산이 지원되고 있으나 이들 연수에 대한 검증절차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남도는 19명의 공로연수자들이 부부동반(37명)으로 1억1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8박 10일간 유럽 5개국을 다녀왔다.
연수목적은 선진국 퇴직공무원의 사회적응실태를 벤치마킹한다고 돼 있으나 영국 대영박물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과 개선문, 로마명소 시찰 등 유명관광지 시찰이 일정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제출된 연수결과보고서명은 ‘신항 환적체계 개선방안, 양돈농가 돼지소모성 질병예방 및 한미 FTA대응방안, 농가소득원이 될 수 있는 소리곤충 사육방법’ 등 ‘여행따로 보고서따로’였다.
행자위 정성호 의원은 “해외연수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도, 별도의 검증절차조차 없는 말년 공무원들의 위로여행에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퇴직공무원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도는 지난 2년간 퇴직공무원 사회진출프로그램으로 공인중개사반과 웰빙원예반 2개를 운영했으나 지원실적은 단 2명에 지원금은 57만원에 불과했다. 이는 같은 기간 해외연수경비 1억1000만원의 0.1%도 되지 않는 수치다.
행자위 김정권 의원은 “해외여행 등은 엄격히 제한하고 공로연수에 대한 구체적 규정을 마련하는 한편 사회적응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경남도 이용학 인사과장은 “부부동반 등 예우차원의 해외연수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해외연수보다는 실질적으로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원종태 기자 jt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