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관계자="" 코멘트="" 수정,="" 포스코측="" 입장="" 추가="">>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의 산업단지지역 17개 지점의 하천수와 방류수에서 다이옥신 농도를 조사한 결과 포항공단 내 장흥동 동촌교지점 하천의 다이옥신 농도가 ℓ당 3.6pg(1조분의 1g)으로 일본의 하천기준(1pg/ℓ)을 3배 이상 초과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포항철강산업단지 내의 공장들에서 다이옥신이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하지만 검출 단위가 피코그램이다보니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안산시 신길천과 창원시 남천의 다이옥신 농도 또한 각각 1.3pg/ℓ로 일본의 하천 기준을 초과했고 여수시 월내동 폐수처리장 방류수 중 농도는 11.7pg/ℓ로 일본의 방류수 기준(10pg/ℓ)을 넘겼다.
다이옥신은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아 생체 내에 축적되고 먹이사슬을 통해 농축돼 면역력 감소, 암이나 생식기관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수질검사를 포함해 대기ㆍ토양ㆍ강바닥 등 산단지역 91개 지점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의 잔류실태를 조사했으며 대기ㆍ토양ㆍ강바닥 중 다이옥신 농도가 일본의 환경기준을 넘는 지점은 없었다.대기중 다이옥신 농도는 공기 1㎥ 당 0.003∼0.269pg, 평균농도는 0.076pg/㎥로05년(0.154pg)보다 50% 줄었고 강바닥(0∼37.6pg/g), 토양(0.001∼56.2pg/g)의 농도도 일본의 다이옥신 환경기준(공기 0.6pg, 강바닥 150pg, 토양 1천pg) 이내였다.다이옥신의 대기 중 농도가 대폭 감소한 이유는 소형 소각로 신설을 금지하고 중소형 소각시설이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처음 조사대상에 포함한 불소계화합물(PFOS, PFOA)의 수질 중 농도는 동물실험 결과와 비교할 때 안전한 수준"이라며 "이들 물질은 어류나 조류의 급성, 만성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91개 지점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 61종의 검출 여부를 실험한 결과 다이옥신 등 28종이 검출됐으며 04년 46종, 05년 38종 등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에는 다이옥신 일일 허용노출량을 체중 1㎏당 4pg으로, 대기중 다이옥신 농도 기준을 0.6pg으로 설정했지만 수질기준 등은 아직 정하지 않았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제철소의 다이옥신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투자해 왔으며 이번 검사 지점인 동촌교는 제철소보다 상류에 있기 때문에 다른 공장의 영향을 받았을지는 몰라도 제철소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noanoa@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환경부>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의 산업단지지역 17개 지점의 하천수와 방류수에서 다이옥신 농도를 조사한 결과 포항공단 내 장흥동 동촌교지점 하천의 다이옥신 농도가 ℓ당 3.6pg(1조분의 1g)으로 일본의 하천기준(1pg/ℓ)을 3배 이상 초과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포항철강산업단지 내의 공장들에서 다이옥신이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하지만 검출 단위가 피코그램이다보니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안산시 신길천과 창원시 남천의 다이옥신 농도 또한 각각 1.3pg/ℓ로 일본의 하천 기준을 초과했고 여수시 월내동 폐수처리장 방류수 중 농도는 11.7pg/ℓ로 일본의 방류수 기준(10pg/ℓ)을 넘겼다.
다이옥신은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아 생체 내에 축적되고 먹이사슬을 통해 농축돼 면역력 감소, 암이나 생식기관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수질검사를 포함해 대기ㆍ토양ㆍ강바닥 등 산단지역 91개 지점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의 잔류실태를 조사했으며 대기ㆍ토양ㆍ강바닥 중 다이옥신 농도가 일본의 환경기준을 넘는 지점은 없었다.대기중 다이옥신 농도는 공기 1㎥ 당 0.003∼0.269pg, 평균농도는 0.076pg/㎥로05년(0.154pg)보다 50% 줄었고 강바닥(0∼37.6pg/g), 토양(0.001∼56.2pg/g)의 농도도 일본의 다이옥신 환경기준(공기 0.6pg, 강바닥 150pg, 토양 1천pg) 이내였다.다이옥신의 대기 중 농도가 대폭 감소한 이유는 소형 소각로 신설을 금지하고 중소형 소각시설이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처음 조사대상에 포함한 불소계화합물(PFOS, PFOA)의 수질 중 농도는 동물실험 결과와 비교할 때 안전한 수준"이라며 "이들 물질은 어류나 조류의 급성, 만성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91개 지점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 61종의 검출 여부를 실험한 결과 다이옥신 등 28종이 검출됐으며 04년 46종, 05년 38종 등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에는 다이옥신 일일 허용노출량을 체중 1㎏당 4pg으로, 대기중 다이옥신 농도 기준을 0.6pg으로 설정했지만 수질기준 등은 아직 정하지 않았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제철소의 다이옥신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투자해 왔으며 이번 검사 지점인 동촌교는 제철소보다 상류에 있기 때문에 다른 공장의 영향을 받았을지는 몰라도 제철소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noanoa@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환경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