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 희망 지자체에 일정 연기 통보 안해 혼란
올해만 2회 연기 … 다음 정권에 ‘공’넘어갈 듯
로봇랜드를 유치하려는 지방자치단체가 또 다시 혼란에 빠졌다. 산업자원부가 두 번씩이나 유치 지역 선정 일정을 연기했기 때문이다.
산자부는 당초 지난 8월 말로 예정됐던 입지선정을 10월 말로 한 차례 연기했다가 다시 11월로 늦췄다.
산자부는 로봇랜드 입지선정을 두 차례나 연기하면서 지자체에 일정조차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8월에는 본지 보도(8월 17일자 5면) 후 뒤늦게 심사 일정과 사업 연기를 공식 통보했다. 예정된 일정을 1주일도 채 남겨두지 않은 때였다. 이번에는 아직 일정통보도 없다.
심학봉 산자부 로봇팀장은 “당초 국감 일정을 잘못 예측해 10월 말로 입지 선정 심사를 미뤘는데 국감이 다음 달까지 이어져 일정을 늦춘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들의 불만은 커질 대로 커졌다. 유치전에 전력을 쏟고 있는 지자체의 행정력 낭비가 심각한데다 연기 이유였던 ‘유치전 과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우려했던 ‘과열’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입지 선정이 연기될수록 유치전은 오히려 더 과열될 것”이라며 “선정 기간이 길어질수록 아까운 행정력만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산자부의 사업시행 의지가 약해지면서 로봇랜드도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처럼 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장소 미정’이 통보 못한 이유? = 산자부는 심사를 준비하는 지자체에 일정 통보조차 하지 않았다.
산자부는 10월 말로 예정돼있던 심사 일정을 지난주까지 유치신청 지자체에 통보해 주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설명 없이 통보를 미루고 있다. 산자부는 “심사를 진행할 장소를 결정하지 못해 지자체에 일정 통보를 하지 못했을 뿐”이라며 황당한 대답을 내놨다.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인데도 준비부족으로 한 차례 입지선정을 미룬 상태에서 고작 ‘심사 장소 미결정’을 이유로 일정 통보를 미룬 것이다.
심학봉 팀장은 “다음달 6~8일쯤 심사를 진행할 계획인데, 개별적으로 물어오는 지자체에는 일정을 알려줬다”는 변명을 내놨다. 결국 묻지 않은 지자체에는 일정을 알려주지 않은 것이다. 일정 전달도 전화나 말로 전한 비공식적인 방식이다.
유치를 희망하는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일정이 열기된다는 소문만 있지 아직까지 연락받은 일은 없다”고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일정 연기로 행정력 낭비 심각 = 현재 서울과 울산 전북 제주를 제외한 거의 모든 시·도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 8월 이미 모든 준비를 마쳤지만 일정이 미뤄지면서 두달을 더 이 일에 매달렸다. 사업 유치를 위해 한시적으로 구성한 테스크포스팀을 계속 유지해야 했고, 선정 때까지 가만히 있을 수 없어 계속 이벤트도 만들어야 했다.
인천시가 8일부터 ‘로봇 UCC 공모전’을 열고 있으며 대전시는 지난 3일 ‘로봇랜드 유치기원 시민음악회’를, 경기도 안산시는 5일 ‘어린이 로봇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하는 등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새로운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5년 로봇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2013년까지 세계 3대 지능형 로봇기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2012년까지 대규모 로봇랜드를 조성해 로봇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로봇랜드는 이런 배경에서 출발한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상설 로봇전시관과 로봇체험관 전용경기장 로봇놀이시설 등을 갖춘 산업연계형 테마파크다.
대전 김신일 대구 최세호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올해만 2회 연기 … 다음 정권에 ‘공’넘어갈 듯
로봇랜드를 유치하려는 지방자치단체가 또 다시 혼란에 빠졌다. 산업자원부가 두 번씩이나 유치 지역 선정 일정을 연기했기 때문이다.
산자부는 당초 지난 8월 말로 예정됐던 입지선정을 10월 말로 한 차례 연기했다가 다시 11월로 늦췄다.
산자부는 로봇랜드 입지선정을 두 차례나 연기하면서 지자체에 일정조차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8월에는 본지 보도(8월 17일자 5면) 후 뒤늦게 심사 일정과 사업 연기를 공식 통보했다. 예정된 일정을 1주일도 채 남겨두지 않은 때였다. 이번에는 아직 일정통보도 없다.
심학봉 산자부 로봇팀장은 “당초 국감 일정을 잘못 예측해 10월 말로 입지 선정 심사를 미뤘는데 국감이 다음 달까지 이어져 일정을 늦춘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들의 불만은 커질 대로 커졌다. 유치전에 전력을 쏟고 있는 지자체의 행정력 낭비가 심각한데다 연기 이유였던 ‘유치전 과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우려했던 ‘과열’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입지 선정이 연기될수록 유치전은 오히려 더 과열될 것”이라며 “선정 기간이 길어질수록 아까운 행정력만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산자부의 사업시행 의지가 약해지면서 로봇랜드도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처럼 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장소 미정’이 통보 못한 이유? = 산자부는 심사를 준비하는 지자체에 일정 통보조차 하지 않았다.
산자부는 10월 말로 예정돼있던 심사 일정을 지난주까지 유치신청 지자체에 통보해 주기로 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설명 없이 통보를 미루고 있다. 산자부는 “심사를 진행할 장소를 결정하지 못해 지자체에 일정 통보를 하지 못했을 뿐”이라며 황당한 대답을 내놨다.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인데도 준비부족으로 한 차례 입지선정을 미룬 상태에서 고작 ‘심사 장소 미결정’을 이유로 일정 통보를 미룬 것이다.
심학봉 팀장은 “다음달 6~8일쯤 심사를 진행할 계획인데, 개별적으로 물어오는 지자체에는 일정을 알려줬다”는 변명을 내놨다. 결국 묻지 않은 지자체에는 일정을 알려주지 않은 것이다. 일정 전달도 전화나 말로 전한 비공식적인 방식이다.
유치를 희망하는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일정이 열기된다는 소문만 있지 아직까지 연락받은 일은 없다”고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일정 연기로 행정력 낭비 심각 = 현재 서울과 울산 전북 제주를 제외한 거의 모든 시·도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 8월 이미 모든 준비를 마쳤지만 일정이 미뤄지면서 두달을 더 이 일에 매달렸다. 사업 유치를 위해 한시적으로 구성한 테스크포스팀을 계속 유지해야 했고, 선정 때까지 가만히 있을 수 없어 계속 이벤트도 만들어야 했다.
인천시가 8일부터 ‘로봇 UCC 공모전’을 열고 있으며 대전시는 지난 3일 ‘로봇랜드 유치기원 시민음악회’를, 경기도 안산시는 5일 ‘어린이 로봇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하는 등 로봇랜드 유치를 위한 새로운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5년 로봇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2013년까지 세계 3대 지능형 로봇기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2012년까지 대규모 로봇랜드를 조성해 로봇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로봇랜드는 이런 배경에서 출발한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상설 로봇전시관과 로봇체험관 전용경기장 로봇놀이시설 등을 갖춘 산업연계형 테마파크다.
대전 김신일 대구 최세호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