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마다 수백억 펀드 조성 … 전략산업·특산물 육성 목적
전국 자치단체들이 펀드 조성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자금을 끌어들여 경영·기술자금이 부족한 전략산업과 지역특산물을 육성하려는 목적이다.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살아나면 지역경제도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의 관심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투자자가 모이지 않아 실패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 지자체 펀드가 전략산업 육성 =
충북도는 500억원의 ‘경제특별도 펀드’ 조성을 통해 전략산업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도비 50억원과 6개 금융기관 290억원 등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한 뒤 도내 벤처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예정이며, 펀드 운용 기간은 7년 정도다.
충북도는 지난해에도 110억원 규모의 ‘바이오토피아 펀드’를 조성, 현재까지 55억원의 투자를 완료했다. 이 펀드는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 집행이 완료된다.
강원도는 전략산업인 의료기기와 바이오벤처 육성을 위해 올해부터 2014년까지 ‘강원 바이오 메디컬 펀드’를 운영하기로 했다. 도와 춘천·원주·강릉시가 30억원, 중기청 한국모태펀드 60억원, 기타 일반 투자자 등이 60억원을 출자해 바이오 메디컬 중소기업을 단기간에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500억원 규모의 ‘벤처·창업 펀드’를 조성·운영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모바일·메카트로닉스·디스플레이·바이오 등 지역 성장산업에 대한 투자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밖에도 대구시는 ‘기업구조조정 펀드’ 조성에도 나섰다. 영세기업 위주의 저부가가치형 생산체제로 300인 이하의 중소기업(전체 제조업의 99.8% 차지)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앞으로 3년간 부실하거나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체 중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 투자된다.
이 밖에도 부산시는 지난해 8억원의 ‘아시아 영화 펀드’를 조성해 영화제작을 지원했다. 지난해 27편의 영화에 투자, 이 중 5편이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됐다. 울산시도 저소득층 자활기반을 위해 2010년까지 50억원 규모의 ‘지역사회복지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미 중소제조업 육성 등을 위해 600억원 이상의 기업관련 펀드를 운영하고 있다.
◆ 지역특산물도 펀드로 육성한다 =
경기도는 지난 10일 ‘한우 펀드’를 출시했다. 한우펀드는 군인연금회와 기업은행에서 모금한 70억원 규모로 생후 6개월 된 거세 한우 송아지 1340마리를 구입해 ‘양평 개군한우’ ‘경기북부 한우백년’ ‘이천 임금님표 한우’ 등 3개 브랜드사업단 35개 농가에 24개월간 위탁 사육한다. 농민들은 송아지 구입비와 사료값, 사육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소를 사육할 수 있고 가격폭락에도 손실을 입지 않아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다.
전남도는 농림부 등과 공동 출자해 만든 ‘전남농수산 펀드’도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006년 3월 전남도 20억원 등 자본금 100억원 규모로 설립된 전남농수산 펀드는 현재 5개 업체에 모두 38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펀드는 지역 업체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충남 청양의 포장김치류 제조업체에는 김치 원료 구입량의 50% 이상을 전남산으로 구입한다는 조건으로 10억원을 투자했다. 경기 성남의 항바이러스제 제조업체와 서울 강남의 인터넷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에도 원자재 구입 총량의 50% 이상을 전남 지역에서 구입하는 조건을 달아 투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농수산 기업에 대한 투자는 농수산업이 소외된 산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해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농수산 기업이 스타 기업으로 성장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의욕만 앞서 실패하기도 =
하지만 지역경제를 살리겠다고 만든 펀드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강원도가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조성했던 50억원 규모의 ‘IT산업 육성 펀드’는 기업들의 무관심으로 40억원만 투자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당시 IT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한 조건에서 의욕만 앞섰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경남의 ‘청년일자리 창출 펀드’도 도지사의 정치자금 조달 창구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투자를 약속했던 투자자들이 외면하는 바람에 초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4년 11월 결성된 이 펀드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조성된 것이다. 2011년까지 7년간 운영되며, 기금 200억원 중 100억원 이상이 도내 창업·벤처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전국의 지자체들이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앞다퉈 펀드를 조성하고 있어 매력 상품으로 뜨고 있다”며 “그러나 순수 경제이익보다 무너진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취지의 펀드가 많은 만큼 실효성을 따지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신일 기자 전국종합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국 자치단체들이 펀드 조성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자금을 끌어들여 경영·기술자금이 부족한 전략산업과 지역특산물을 육성하려는 목적이다.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살아나면 지역경제도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의 관심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투자자가 모이지 않아 실패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 지자체 펀드가 전략산업 육성 =
충북도는 500억원의 ‘경제특별도 펀드’ 조성을 통해 전략산업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도비 50억원과 6개 금융기관 290억원 등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한 뒤 도내 벤처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예정이며, 펀드 운용 기간은 7년 정도다.
충북도는 지난해에도 110억원 규모의 ‘바이오토피아 펀드’를 조성, 현재까지 55억원의 투자를 완료했다. 이 펀드는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 집행이 완료된다.
강원도는 전략산업인 의료기기와 바이오벤처 육성을 위해 올해부터 2014년까지 ‘강원 바이오 메디컬 펀드’를 운영하기로 했다. 도와 춘천·원주·강릉시가 30억원, 중기청 한국모태펀드 60억원, 기타 일반 투자자 등이 60억원을 출자해 바이오 메디컬 중소기업을 단기간에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500억원 규모의 ‘벤처·창업 펀드’를 조성·운영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모바일·메카트로닉스·디스플레이·바이오 등 지역 성장산업에 대한 투자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밖에도 대구시는 ‘기업구조조정 펀드’ 조성에도 나섰다. 영세기업 위주의 저부가가치형 생산체제로 300인 이하의 중소기업(전체 제조업의 99.8% 차지)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펀드다. 앞으로 3년간 부실하거나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체 중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 투자된다.
이 밖에도 부산시는 지난해 8억원의 ‘아시아 영화 펀드’를 조성해 영화제작을 지원했다. 지난해 27편의 영화에 투자, 이 중 5편이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됐다. 울산시도 저소득층 자활기반을 위해 2010년까지 50억원 규모의 ‘지역사회복지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미 중소제조업 육성 등을 위해 600억원 이상의 기업관련 펀드를 운영하고 있다.
◆ 지역특산물도 펀드로 육성한다 =
경기도는 지난 10일 ‘한우 펀드’를 출시했다. 한우펀드는 군인연금회와 기업은행에서 모금한 70억원 규모로 생후 6개월 된 거세 한우 송아지 1340마리를 구입해 ‘양평 개군한우’ ‘경기북부 한우백년’ ‘이천 임금님표 한우’ 등 3개 브랜드사업단 35개 농가에 24개월간 위탁 사육한다. 농민들은 송아지 구입비와 사료값, 사육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소를 사육할 수 있고 가격폭락에도 손실을 입지 않아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다.
전남도는 농림부 등과 공동 출자해 만든 ‘전남농수산 펀드’도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006년 3월 전남도 20억원 등 자본금 100억원 규모로 설립된 전남농수산 펀드는 현재 5개 업체에 모두 38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펀드는 지역 업체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충남 청양의 포장김치류 제조업체에는 김치 원료 구입량의 50% 이상을 전남산으로 구입한다는 조건으로 10억원을 투자했다. 경기 성남의 항바이러스제 제조업체와 서울 강남의 인터넷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에도 원자재 구입 총량의 50% 이상을 전남 지역에서 구입하는 조건을 달아 투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농수산 기업에 대한 투자는 농수산업이 소외된 산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해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농수산 기업이 스타 기업으로 성장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의욕만 앞서 실패하기도 =
하지만 지역경제를 살리겠다고 만든 펀드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강원도가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조성했던 50억원 규모의 ‘IT산업 육성 펀드’는 기업들의 무관심으로 40억원만 투자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당시 IT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한 조건에서 의욕만 앞섰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경남의 ‘청년일자리 창출 펀드’도 도지사의 정치자금 조달 창구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투자를 약속했던 투자자들이 외면하는 바람에 초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4년 11월 결성된 이 펀드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조성된 것이다. 2011년까지 7년간 운영되며, 기금 200억원 중 100억원 이상이 도내 창업·벤처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전국의 지자체들이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앞다퉈 펀드를 조성하고 있어 매력 상품으로 뜨고 있다”며 “그러나 순수 경제이익보다 무너진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취지의 펀드가 많은 만큼 실효성을 따지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신일 기자 전국종합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