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전·현직 신문·방송사 기자들이 인터넷 대안언론을 지향하며 만든 '뉴스통'(www.newstong.com)이 지난 2일 공식 출범했다. 인터넷 사이트 개설 준비과정에서부터, 화제를 불러모았던 '뉴스통'은 특히 현직기자들이 운영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언론계와 시민단체의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뉴스통은 긍정과 부정 사이를 넘나들고 있다. 기존 언론계의 부정적인 풍토나 한계를
현실로 끄집어내 극복하기 위해 현직기자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점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이
다. 반면 뉴스통의 존재가치를 규정하는 기사 내용과 운영상의 문제가 극복되지 않을 때 나
타날 결과에 대한 우려 또한 만만찮다. 실제 한 언론사 내부문제와 관련한 기사가 해당사의
반발로 예상외의 파장을 일으키자 뉴스통은 지레 겁을 먹고 삭제, 이후 네티즌들의 항의에
직면해 다시 되살리는 등 출발단계에서부터 운영상 허점을 내보였다.
뉴스통은 "기존 언론을 인정하는 속에서 출발한다"고 전제하면서 "지역사회 전 영역에 걸쳐
성역을 인정하지 않고 차별없는 취재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정보 제공에 앞장서겠
다"고 포부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진 '언론계 엿보기'가 주종을 이루면서 취재 영역의 범주가 지나치게 제한적이
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언론사 내부의 아픈 속사정까지 들춰져 기자들 사이에서 반감을
초래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이는 언론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탓도 있지만 실명이
아닌 가명을 통한 기사라는데 신뢰성 여부를 놓고 논란의 무게중심이 쏠리고 있다.
가명 기사, 신뢰성 논란
한 언론사 기자는 "새로운 시도이지만 기자 이름부터 진실이 아닌 것은 언론매체로서 무책
임한 행위이지 않느냐"며 "가명을 실명으로 바꿀 때 기사의 신뢰도는 물론 대안언론으로서
의 힘을 갖게될 것이다"고 충고했다. 익명성이라는 형식상의 한계가 내용의 한계로 갈수있
다는 우려다. 이 때문에 법적 책임까지 감당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뉴스통 운영주체 역시 이견이 없어 보인다. 뉴스통 한 관계자는 "현직
기자가 2중으로 소속되는 것도 문제지만, 때론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는 일을 해야할 뉴스통
의 입장과 명분이 현실에서는 불이익을 당할 소지가 커 실명 전환이 쉽지않다"고 토로했다.
취재 범주와 관련해 "아직은 기사가 언론계에 치중돼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지역현안은 물론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은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운영주체를 비롯한 법적 책임문제를 둘러싸고 내부에서 대책을 논의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논의 핵심은 현직기자의 운영주체 참여 여부와 기사의 실명 처리로 집약된
다. 뉴스통에 참여하고 있는 광주MBC 한 기자는 "형식상 현직기자들이 운영주체가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결국 현직기자들의 지지를 얼마나 이끌어 내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자는 현직기자들의 지지정도에 따라 실명을 통한 보도시점을 앞당
길수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직기자 지지폭 관건
이같은 의견을 전제로 한다면 다수의 현직기자들 참여여부가 대안언론의 성패를 가늠하는
필요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 몇몇 현직기자들의 참여로 국한된다면 결국 '그
들만의 매체'로 전락할수있다는 해석이다. 이 때문에 뉴스통 참여여부를 공개하는 것도 필요
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광주MBC 한 기자는 "회사 보도국장에게 '본업에 해를 끼치지
않은 선에서 개인 양심과 직업윤리에 따라 개인 시간을 할애해 뉴스통에 참여하겠다'고 밝
히고 이를 회사에서 인정받았다"고 소개했다.
'본업도 못하는 기자가 뭐하느냐'며 비난받을 소지를 사전에 방지하고 오히려 수긍하도록 만
들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경우가 모든 회사에 적용될 수 없다는 현실이 뉴스통 참
여 현직기자들의 어려움이다.
현재로선 이에대한 해답을 바로 내놓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뉴스통이
대안언론의 역할을 자임하고 나선만큼 그에 걸맞는 위상과 성격을 스스로 만들어 보여줘야
한다는 점이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기자는 기사로 말한다는 것을 잊지않길 바란다"며
"기사가 보다 완벽성을 갖출 것"을 요구했다.
현재 뉴스통은 긍정과 부정 사이를 넘나들고 있다. 기존 언론계의 부정적인 풍토나 한계를
현실로 끄집어내 극복하기 위해 현직기자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점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이
다. 반면 뉴스통의 존재가치를 규정하는 기사 내용과 운영상의 문제가 극복되지 않을 때 나
타날 결과에 대한 우려 또한 만만찮다. 실제 한 언론사 내부문제와 관련한 기사가 해당사의
반발로 예상외의 파장을 일으키자 뉴스통은 지레 겁을 먹고 삭제, 이후 네티즌들의 항의에
직면해 다시 되살리는 등 출발단계에서부터 운영상 허점을 내보였다.
뉴스통은 "기존 언론을 인정하는 속에서 출발한다"고 전제하면서 "지역사회 전 영역에 걸쳐
성역을 인정하지 않고 차별없는 취재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정보 제공에 앞장서겠
다"고 포부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진 '언론계 엿보기'가 주종을 이루면서 취재 영역의 범주가 지나치게 제한적이
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언론사 내부의 아픈 속사정까지 들춰져 기자들 사이에서 반감을
초래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이는 언론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탓도 있지만 실명이
아닌 가명을 통한 기사라는데 신뢰성 여부를 놓고 논란의 무게중심이 쏠리고 있다.
가명 기사, 신뢰성 논란
한 언론사 기자는 "새로운 시도이지만 기자 이름부터 진실이 아닌 것은 언론매체로서 무책
임한 행위이지 않느냐"며 "가명을 실명으로 바꿀 때 기사의 신뢰도는 물론 대안언론으로서
의 힘을 갖게될 것이다"고 충고했다. 익명성이라는 형식상의 한계가 내용의 한계로 갈수있
다는 우려다. 이 때문에 법적 책임까지 감당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뉴스통 운영주체 역시 이견이 없어 보인다. 뉴스통 한 관계자는 "현직
기자가 2중으로 소속되는 것도 문제지만, 때론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는 일을 해야할 뉴스통
의 입장과 명분이 현실에서는 불이익을 당할 소지가 커 실명 전환이 쉽지않다"고 토로했다.
취재 범주와 관련해 "아직은 기사가 언론계에 치중돼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지역현안은 물론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은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운영주체를 비롯한 법적 책임문제를 둘러싸고 내부에서 대책을 논의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논의 핵심은 현직기자의 운영주체 참여 여부와 기사의 실명 처리로 집약된
다. 뉴스통에 참여하고 있는 광주MBC 한 기자는 "형식상 현직기자들이 운영주체가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결국 현직기자들의 지지를 얼마나 이끌어 내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자는 현직기자들의 지지정도에 따라 실명을 통한 보도시점을 앞당
길수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직기자 지지폭 관건
이같은 의견을 전제로 한다면 다수의 현직기자들 참여여부가 대안언론의 성패를 가늠하는
필요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 몇몇 현직기자들의 참여로 국한된다면 결국 '그
들만의 매체'로 전락할수있다는 해석이다. 이 때문에 뉴스통 참여여부를 공개하는 것도 필요
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광주MBC 한 기자는 "회사 보도국장에게 '본업에 해를 끼치지
않은 선에서 개인 양심과 직업윤리에 따라 개인 시간을 할애해 뉴스통에 참여하겠다'고 밝
히고 이를 회사에서 인정받았다"고 소개했다.
'본업도 못하는 기자가 뭐하느냐'며 비난받을 소지를 사전에 방지하고 오히려 수긍하도록 만
들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경우가 모든 회사에 적용될 수 없다는 현실이 뉴스통 참
여 현직기자들의 어려움이다.
현재로선 이에대한 해답을 바로 내놓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뉴스통이
대안언론의 역할을 자임하고 나선만큼 그에 걸맞는 위상과 성격을 스스로 만들어 보여줘야
한다는 점이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기자는 기사로 말한다는 것을 잊지않길 바란다"며
"기사가 보다 완벽성을 갖출 것"을 요구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