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김재홍 특파원 = 미국의 경제침체 위기로 앨런 그린스펀 전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명성도 추락위기를 맞고 있다.그린스펀은 전 FRB 의장은 재임시절에는 세계경제의 대통령으로 불리며 경제의 최고 권위자로 추앙을 받았다.하지만 그린스펀은 최근 부동산시장 붕괴의 영향이 점점 확산되면서 전체 경제마저 침체의 늪에 빠질 조짐을 드러내자 2000-2005년의 부동산 붐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경제위기를 자초했다는 비판을 뉴욕 타임스와 미 기업경제연구소(AEI)의 경제전문가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악마는 뒤진 자부터 잡아간다:금융투기의 역사''의 저자인 에드워즈 챈설러는 "그린스펀의 명성은 가계소득 증가 덕분에 얻었지만 거품이 끼어있다"면서 "경제가 꺼지면 슈퍼 스타로서 그의 위상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린스펀의 위상에 대한 위협은 그의 명성 뿐만 아니라 그가 18년6개월간 재임하면서 추진해온 통화정책의 미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비판적인 경제전문가들은 그린스펀이 모기지 대출 및 붐 그리고 주택가격 급등이 가져온 거품을 줄일 수 있는 금리인상을 주저하고 규제를 하는 것을 싫어하는 바람에 미국 경제를 침체위기로 몰아 갈 수 있는 위험에 처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린스펀은 이런 비판은 규제와 통화정책이 할 수 있는 역할 한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반면 앨런 블라인드 전 FRB 부의장과 미 중앙은행 역사의 최권위자인 앨런 멜처카네기 멜론대 교수 등은 여전히 그린스펀에대해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
그린스펀 재임중 경제가 두 차례나 침체를 겪었지만 두 차례 모두 1년이 채 안됐고 최장기간 경제호황을 누렸다는 게 그린스펀이 아직까지 이들로부터 후한 점수를 받고 있는 이유다.
그렇지만 벤 버냉키 FRB 의장은 전임자인 그린스펀의 자유방임적인 시장접근 대신에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한 새로운 규제정책을 내놓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지적했다.
jaehong@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악마는 뒤진 자부터 잡아간다:금융투기의 역사''의 저자인 에드워즈 챈설러는 "그린스펀의 명성은 가계소득 증가 덕분에 얻었지만 거품이 끼어있다"면서 "경제가 꺼지면 슈퍼 스타로서 그의 위상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린스펀의 위상에 대한 위협은 그의 명성 뿐만 아니라 그가 18년6개월간 재임하면서 추진해온 통화정책의 미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비판적인 경제전문가들은 그린스펀이 모기지 대출 및 붐 그리고 주택가격 급등이 가져온 거품을 줄일 수 있는 금리인상을 주저하고 규제를 하는 것을 싫어하는 바람에 미국 경제를 침체위기로 몰아 갈 수 있는 위험에 처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린스펀은 이런 비판은 규제와 통화정책이 할 수 있는 역할 한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반면 앨런 블라인드 전 FRB 부의장과 미 중앙은행 역사의 최권위자인 앨런 멜처카네기 멜론대 교수 등은 여전히 그린스펀에대해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
그린스펀 재임중 경제가 두 차례나 침체를 겪었지만 두 차례 모두 1년이 채 안됐고 최장기간 경제호황을 누렸다는 게 그린스펀이 아직까지 이들로부터 후한 점수를 받고 있는 이유다.
그렇지만 벤 버냉키 FRB 의장은 전임자인 그린스펀의 자유방임적인 시장접근 대신에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한 새로운 규제정책을 내놓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지적했다.
jaehong@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