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정책혼선에 ‘한나라당 견제론’ 고개 … ‘박재승 공천심사위’ 행보 주목
대통합민주신당의 총선전망은 여전히 비관적이다. 한나라당의 대선압승이 총선 싹쓸이로 이어질 것이란 시나리오가 아직은 유효하다. 정당지지도마저 한자리수를 맴돌고 있어 한나라당 과반의석 저지보다 개헌저지선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당 안팎에서는 “결국엔 호남당으로 전락할 것”이라거나 “50~60석이나 넘기겠느냐”는 비관론이 팽배하다.
한나라당 일방독주의 역학관계를 바꿔내지 못하면 ‘맥 못추는 야당’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손학규 대표의 민주신당으로선 ‘견제와 균형의 논리’가 먹혀들 구도와 전선 형성이 절실하다. 이를 위한 첫째 조건과 전략이 ‘면모 일신’이란 게 정치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 체제가 유권자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의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이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인수위 혼선, 한나라 공천갈등은 ‘호재’ = 대선 뒤 인수위 출범시기까지 여론은 “거대 예비여권을 견제할 필요가 있다”는 당위론에는 동의했지만, “예비야권에는 찍어줄 정당과 후보가 보이지 않는다”는 기류가 강했다. 이런 분위기가 50%를 넘는 한나라당 지지율, 10%에 못미치는 민주신당 지지율이란 지표로 반영됐다.
하지만 인수위가 설익은 구상을 새 정부 정책으로 쏟아내는 혼선이 반복되자 민심 속에는 동요와 우려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영어교육 강화를 골자로 한 교육정책, 한반도대운하 조기추진 논란 등은 찬반논쟁으로 전선을 형성할 조짐을 나타냈고, 통일부 폐지여부를 쟁점으로 한 정부조직개편안은 한나라당과 나머지 정당간 대립선을 그어냈다.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이를 두고 “인수위가 무리한 정책추진으로 스스로 견제론을 만드는 형국”이라고 표현한다.
김무성 최고위원의 탈당시사와 친박근혜 의원들의 집단대응을 부른 한나라당의 공천갈등도 민주신당의 입장에선 호재다. 갈등이 폭발하면 보수권 분열, 봉합하면 공천쇄신 실패로 인식될 수 있어 민주신당이 공천개혁에 성공할 경우, 비교우위에 설 수 있다.
한나라당 일방우위의 구도에 균열이 가고, ‘견제론’이 전선으로 힘을 발휘하는 국면전환이 생겨날 개연성을 기대할만한 흐름이다.
◆“유권자 마음 돌릴 지도부 결단 중요” = 그러나 외부의 객관적 조건이 달라진다고 해서 유권자들 사이에 “민주신당 후보들에게 힘을 실어주자”는 변화가 따라올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흩어진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나오게 할 동기가 부족해서다. 서울이 지역구인 이목희 의원은 “당 지지율이 한자리 수이지만, 부동층이 25%를 넘는다”면서 “이들의 마음을 돌리려면 눈에 띄는 변화가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호남을 포함한 대대적 공천혁신, 중진정치인의 수도권 출사표 등 당 전체의 결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천개혁을 통한 면모일신과 변화가 총선생존을 위한 최대과제로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공천과정에서 불거져 나올 정동영계 등 여타 계파의 반발, 충청권 의원들의 동요 등의 걸림돌을 넘어서는 것도 손학규 체제 민주신당이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이와 맞물린 민주당과의 통합문제도 예비야권의 분열극복이란 차원에서 무시하기 힘들다.
결국 손학규 체제가 일궈낼 변화의 질과 크기에 따라 외부 선거구도와 전선이 달라질 수도 굳어버릴 수도 있는 정황이 만들어져 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평가다. 서울지역의 또다른 의원은 “손 대표가 발빠르게 치고나가는 결단이 중요해진 시점이 다가왔다”고 했다. 개헌저지선 확보의 첫걸음을 지도부가 열어가야 한다는 주문이다.
김상범 기자 cal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통합민주신당의 총선전망은 여전히 비관적이다. 한나라당의 대선압승이 총선 싹쓸이로 이어질 것이란 시나리오가 아직은 유효하다. 정당지지도마저 한자리수를 맴돌고 있어 한나라당 과반의석 저지보다 개헌저지선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당 안팎에서는 “결국엔 호남당으로 전락할 것”이라거나 “50~60석이나 넘기겠느냐”는 비관론이 팽배하다.
한나라당 일방독주의 역학관계를 바꿔내지 못하면 ‘맥 못추는 야당’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손학규 대표의 민주신당으로선 ‘견제와 균형의 논리’가 먹혀들 구도와 전선 형성이 절실하다. 이를 위한 첫째 조건과 전략이 ‘면모 일신’이란 게 정치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 체제가 유권자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의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이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인수위 혼선, 한나라 공천갈등은 ‘호재’ = 대선 뒤 인수위 출범시기까지 여론은 “거대 예비여권을 견제할 필요가 있다”는 당위론에는 동의했지만, “예비야권에는 찍어줄 정당과 후보가 보이지 않는다”는 기류가 강했다. 이런 분위기가 50%를 넘는 한나라당 지지율, 10%에 못미치는 민주신당 지지율이란 지표로 반영됐다.
하지만 인수위가 설익은 구상을 새 정부 정책으로 쏟아내는 혼선이 반복되자 민심 속에는 동요와 우려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영어교육 강화를 골자로 한 교육정책, 한반도대운하 조기추진 논란 등은 찬반논쟁으로 전선을 형성할 조짐을 나타냈고, 통일부 폐지여부를 쟁점으로 한 정부조직개편안은 한나라당과 나머지 정당간 대립선을 그어냈다.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이를 두고 “인수위가 무리한 정책추진으로 스스로 견제론을 만드는 형국”이라고 표현한다.
김무성 최고위원의 탈당시사와 친박근혜 의원들의 집단대응을 부른 한나라당의 공천갈등도 민주신당의 입장에선 호재다. 갈등이 폭발하면 보수권 분열, 봉합하면 공천쇄신 실패로 인식될 수 있어 민주신당이 공천개혁에 성공할 경우, 비교우위에 설 수 있다.
한나라당 일방우위의 구도에 균열이 가고, ‘견제론’이 전선으로 힘을 발휘하는 국면전환이 생겨날 개연성을 기대할만한 흐름이다.
◆“유권자 마음 돌릴 지도부 결단 중요” = 그러나 외부의 객관적 조건이 달라진다고 해서 유권자들 사이에 “민주신당 후보들에게 힘을 실어주자”는 변화가 따라올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흩어진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나오게 할 동기가 부족해서다. 서울이 지역구인 이목희 의원은 “당 지지율이 한자리 수이지만, 부동층이 25%를 넘는다”면서 “이들의 마음을 돌리려면 눈에 띄는 변화가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호남을 포함한 대대적 공천혁신, 중진정치인의 수도권 출사표 등 당 전체의 결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천개혁을 통한 면모일신과 변화가 총선생존을 위한 최대과제로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공천과정에서 불거져 나올 정동영계 등 여타 계파의 반발, 충청권 의원들의 동요 등의 걸림돌을 넘어서는 것도 손학규 체제 민주신당이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이와 맞물린 민주당과의 통합문제도 예비야권의 분열극복이란 차원에서 무시하기 힘들다.
결국 손학규 체제가 일궈낼 변화의 질과 크기에 따라 외부 선거구도와 전선이 달라질 수도 굳어버릴 수도 있는 정황이 만들어져 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평가다. 서울지역의 또다른 의원은 “손 대표가 발빠르게 치고나가는 결단이 중요해진 시점이 다가왔다”고 했다. 개헌저지선 확보의 첫걸음을 지도부가 열어가야 한다는 주문이다.
김상범 기자 cal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