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총선을 앞두고 386정치인들의 분화가 급속도로 진행될 조짐이다. ‘제3의 길’을 내세운 대통합민주신당 손학규 대표체제가 들어서면서 이 분화는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4일 신계륜 신당 사무총장 내정자의 발언은 386세대의 분화를 공식화시켰다. 신 총장 내정자는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원래 비판적 386과 참여정부에 참여한 386은 다르다”고 전제한 뒤 “참여정부에 참여한 386 의원들은 국민과 함께 한다는 초심을 잃었다”며 친노 386그룹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참여정부에 참여해 부동산 ‘세금폭탄’ 및 경제실정을 초래, 민심이반을 부른 것은 그들 책임이 더 많은 것 아니냐는 것이다.
신 총장 내정자의 발언은 향후 ‘탈 노무현’의 예고로 해석된다. 신 총장 내정자는 2006년 2월 정치자금법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했지만 당시 열린 우리당 소속 의원 76명이 ‘신계륜과 함께 하는 의원 모임’을 결성할 정도로 구심을 형성했었고 이 모임에 김영춘 백원우 김형주 송영길 우상호 이기우 임종석 의원 등 재야·386 출신 인사들이 대거 참여했었다.
386 분화의 첫 신호탄은 물론 이해찬 전 총리의 탈당이다. 이 전 총리는 한나라당 출신인 손 대표의 정체성을 문제 삼았다. 한마디로 손 대표 체제는 ‘정통 야당의 DNA’가 부족하다는 점을 탈당의 명분으로 삼았다.
이 전 총리에 뒤이어 친노 그룹의 탈당과 친노 신당의 창당 등이 뒤따라 거론됐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이 “친노 신당은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며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고 탈당 가능성을 내비쳤던 김형주 의원 등도 일단 당내 잔류의사를 내비치면서 수그러들었다. 총선 전까지 386의 분화가 분당으로까지 번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불씨는 여전하다. 탈당에 적극적이었던 이화영 의원 등 친노그룹 의원들은 “향후 남북·교육 문제 등에 대한 (손 대표의) 정책적 대응과 공천 과정을 좀 더 지켜보면서 탈당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신당 대선 후보 경쟁에서부터 갈림길= 친노 386과 실용 386간의 분화 조짐은 이미 지난 대선 과정에서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87체제’와 참여정부에 대한 평가가 그 기준이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한나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선진평화체제로 가야한다”며 87체제의 대안을 제시했다. 반면 이해찬 전 총리로 대표되는 친노 386그룹은 ‘참여정부 체제의 계승’을 내걸었다. 심지어 17대 대선에서는 실패할 수도 있으나 참여정부의 이념과 노선은 계승되어야 한다는 게 최대 목표였다.
신당 경선 과정에서 손 전 지사를 대선 후보로 내세운 우상호 의원 등 386 일부 세력들은 80년대식 이념의 끝자락을 여전히 쥐고 있는 세력과의 단절을 요구했다. 당연히 안희정씨 등 참여정부 평가포럼을 주도한 친노 386 등과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14일 신계륜 신당 사무총장 내정자의 발언은 386세대의 분화를 공식화시켰다. 신 총장 내정자는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원래 비판적 386과 참여정부에 참여한 386은 다르다”고 전제한 뒤 “참여정부에 참여한 386 의원들은 국민과 함께 한다는 초심을 잃었다”며 친노 386그룹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참여정부에 참여해 부동산 ‘세금폭탄’ 및 경제실정을 초래, 민심이반을 부른 것은 그들 책임이 더 많은 것 아니냐는 것이다.
신 총장 내정자의 발언은 향후 ‘탈 노무현’의 예고로 해석된다. 신 총장 내정자는 2006년 2월 정치자금법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했지만 당시 열린 우리당 소속 의원 76명이 ‘신계륜과 함께 하는 의원 모임’을 결성할 정도로 구심을 형성했었고 이 모임에 김영춘 백원우 김형주 송영길 우상호 이기우 임종석 의원 등 재야·386 출신 인사들이 대거 참여했었다.
386 분화의 첫 신호탄은 물론 이해찬 전 총리의 탈당이다. 이 전 총리는 한나라당 출신인 손 대표의 정체성을 문제 삼았다. 한마디로 손 대표 체제는 ‘정통 야당의 DNA’가 부족하다는 점을 탈당의 명분으로 삼았다.
이 전 총리에 뒤이어 친노 그룹의 탈당과 친노 신당의 창당 등이 뒤따라 거론됐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이 “친노 신당은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며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고 탈당 가능성을 내비쳤던 김형주 의원 등도 일단 당내 잔류의사를 내비치면서 수그러들었다. 총선 전까지 386의 분화가 분당으로까지 번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불씨는 여전하다. 탈당에 적극적이었던 이화영 의원 등 친노그룹 의원들은 “향후 남북·교육 문제 등에 대한 (손 대표의) 정책적 대응과 공천 과정을 좀 더 지켜보면서 탈당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신당 대선 후보 경쟁에서부터 갈림길= 친노 386과 실용 386간의 분화 조짐은 이미 지난 대선 과정에서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87체제’와 참여정부에 대한 평가가 그 기준이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한나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선진평화체제로 가야한다”며 87체제의 대안을 제시했다. 반면 이해찬 전 총리로 대표되는 친노 386그룹은 ‘참여정부 체제의 계승’을 내걸었다. 심지어 17대 대선에서는 실패할 수도 있으나 참여정부의 이념과 노선은 계승되어야 한다는 게 최대 목표였다.
신당 경선 과정에서 손 전 지사를 대선 후보로 내세운 우상호 의원 등 386 일부 세력들은 80년대식 이념의 끝자락을 여전히 쥐고 있는 세력과의 단절을 요구했다. 당연히 안희정씨 등 참여정부 평가포럼을 주도한 친노 386 등과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