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될 것” 49.0%로 실제전망과 차이 … “대운하·영어교육 가장 우려되는 정책”
내일신문-한길리서치 정례여론조사
국민들은 “올해 6%대의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이 당선인의 약속에 큰 기대를 보였다. 반면, 한반도대운하와 대학입시 및 영어교육정책을 가장 우려스러운 정책으로 꼽았다. 내일신문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의 2월 정례여론조사 결과다. ▶관련기사 3면
조사는 인수위 출범 뒤 한달 보름 가량 지난 10~12일 이뤄졌다. 이 당선인과 인수위의 활동과 그동안 발표한 새 정부의 주요정책에 대한 여론의 평가가 이뤄진 시점이다. 전국 성인남녀 900명(신뢰도 95%, 표본오차 ±3.26%P)을 상대로 인수위가 내놓은 각 분야 6개 정책을 제시하고, 가장 기대되는 것과 가장 우려스러운 것을 물었다.
가장 기대되는 새 정부 정책으로는 단연 ‘올해 6% 경제성장’(41.4%)가 1순위로 꼽혔다. 2순위를 차지한 항목도 지분형 아파트, 1가구 1주택 종부세 완화 등이 제시된 부동산정책(17.9%)으로 경제관련 분야였다. 이어 예비여야간 기싸움이 팽팽한 정부조직 축소개편(14.4%)이 3위에 올랐다.
국민들은 ‘6% 성장’에 대해 기대감 뿐 아니라 실현 가능성도 상당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명박 정부가 6%대 경제성장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률이 49.0%로 ‘가능성이 낮다’(45.1%)는 반응을 오차범위 안에서 제쳤다.
‘경제가 나아질 것’이란 국민들의 기대는 관련 전문가와 전문기관 등의 현실진단과 거리가 있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전문가들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미국의 경기침체, 유가상승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대외여건 악화로 우리 경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지난해 재경부의 2008년 경제전망도 기존의 5% 성장에서 4.7%로 낮춰졌다.
국민 기대와 실제 경제전망간의 이런 괴리는 지나친 기대치가 오히려 이명박 정부에 부담으로 돌아올 가능성을 안고 있다.
국민들이 새 정부 정책 가운데 가장 우려하는 사안은 한반도대운하(43.5%)와 대학입시 및 영어교육정책(27.9%)이었다. 3위로는 부동산정책(8.3%)이 올랐다.
‘대운하 건설이 가장 걱정된다’는 의견은 50대 이상(47.3%), 대구·경북(45.6%)과 충청(47.2%), 보수성향층(49.2%) 등 이 당선인 지지층에서 특히 높았다. 대운하 건설에 대해 찬반여부를 별도 항목으로 물었을 때도 반대의견이 절반을 넘는 52.3%를 기록했다. 찬성은 38.7%였다.
대입 및 영어교육강화 등 교육정책이 우려스럽다는 응답은 자녀가 초·중·고교에 다니는 30대(39.6%), 40대(41.4%) 여성층에서 많았다. 한나라당 지지층(25.5%)이 통합민주당 지지층(21.1%)보다 더 걱정하는 것도 특징이다.
여론의 이런 흐름은 대운하와 영어교육 강화가 4월 총선의 쟁점으로 등장할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이 당선인의 국정수행에 대해 응답자의 50.2%가 ‘잘한다’, 12.4%가 ‘잘못한다’(5점 척도)고 답했다. 4점 척도로는 긍정평가가 61.4%, 부정평가가 18.0%였다. 인수위 활동에 대해 ‘잘한다’는 45.7%, ‘잘못한다’는 21.0%(5점 척도)로 이 당선인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았다. 4점 척도 기준 인수위 평가는 긍정 56.9%, 부정 25.2%였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내일신문-한길리서치 정례여론조사
국민들은 “올해 6%대의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이 당선인의 약속에 큰 기대를 보였다. 반면, 한반도대운하와 대학입시 및 영어교육정책을 가장 우려스러운 정책으로 꼽았다. 내일신문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의 2월 정례여론조사 결과다. ▶관련기사 3면
조사는 인수위 출범 뒤 한달 보름 가량 지난 10~12일 이뤄졌다. 이 당선인과 인수위의 활동과 그동안 발표한 새 정부의 주요정책에 대한 여론의 평가가 이뤄진 시점이다. 전국 성인남녀 900명(신뢰도 95%, 표본오차 ±3.26%P)을 상대로 인수위가 내놓은 각 분야 6개 정책을 제시하고, 가장 기대되는 것과 가장 우려스러운 것을 물었다.
가장 기대되는 새 정부 정책으로는 단연 ‘올해 6% 경제성장’(41.4%)가 1순위로 꼽혔다. 2순위를 차지한 항목도 지분형 아파트, 1가구 1주택 종부세 완화 등이 제시된 부동산정책(17.9%)으로 경제관련 분야였다. 이어 예비여야간 기싸움이 팽팽한 정부조직 축소개편(14.4%)이 3위에 올랐다.
국민들은 ‘6% 성장’에 대해 기대감 뿐 아니라 실현 가능성도 상당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명박 정부가 6%대 경제성장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률이 49.0%로 ‘가능성이 낮다’(45.1%)는 반응을 오차범위 안에서 제쳤다.
‘경제가 나아질 것’이란 국민들의 기대는 관련 전문가와 전문기관 등의 현실진단과 거리가 있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전문가들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미국의 경기침체, 유가상승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대외여건 악화로 우리 경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지난해 재경부의 2008년 경제전망도 기존의 5% 성장에서 4.7%로 낮춰졌다.
국민 기대와 실제 경제전망간의 이런 괴리는 지나친 기대치가 오히려 이명박 정부에 부담으로 돌아올 가능성을 안고 있다.
국민들이 새 정부 정책 가운데 가장 우려하는 사안은 한반도대운하(43.5%)와 대학입시 및 영어교육정책(27.9%)이었다. 3위로는 부동산정책(8.3%)이 올랐다.
‘대운하 건설이 가장 걱정된다’는 의견은 50대 이상(47.3%), 대구·경북(45.6%)과 충청(47.2%), 보수성향층(49.2%) 등 이 당선인 지지층에서 특히 높았다. 대운하 건설에 대해 찬반여부를 별도 항목으로 물었을 때도 반대의견이 절반을 넘는 52.3%를 기록했다. 찬성은 38.7%였다.
대입 및 영어교육강화 등 교육정책이 우려스럽다는 응답은 자녀가 초·중·고교에 다니는 30대(39.6%), 40대(41.4%) 여성층에서 많았다. 한나라당 지지층(25.5%)이 통합민주당 지지층(21.1%)보다 더 걱정하는 것도 특징이다.
여론의 이런 흐름은 대운하와 영어교육 강화가 4월 총선의 쟁점으로 등장할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이 당선인의 국정수행에 대해 응답자의 50.2%가 ‘잘한다’, 12.4%가 ‘잘못한다’(5점 척도)고 답했다. 4점 척도로는 긍정평가가 61.4%, 부정평가가 18.0%였다. 인수위 활동에 대해 ‘잘한다’는 45.7%, ‘잘못한다’는 21.0%(5점 척도)로 이 당선인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았다. 4점 척도 기준 인수위 평가는 긍정 56.9%, 부정 25.2%였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