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이용법률 등 20개 의제처리, 인허가 간소화 제시
건설교통부는 공식적으로 특별법 검토를 부인했다. 하지만 국회 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미 대운하 특별법과 관련해서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졌다. 아래는 보고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 제정
□ 검토배경(필요성)
○ 육상교통난 완화, 물류수송비 절감, 관광수요 창출 등을 위하여 하천을 이용한 운하 개발의 필요성 대두
○ 한반도 대운하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수자원을 활용한 물자의 수송 및 지역의 균형발전 등을 촉진
□ 법령정비 방안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
○ 기본방향
- 한반도 대운하(이하 대운하)의 건설 및 유지·관리, 사업시행자에 대한 지원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
○ 개선방안(안)
- 대운하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한 건설예정지역의 지정 및 관리, 사업시행자의 지정, 기본 및 실시설계 수립, 인·허가 등의 의제, 토지의 수용 및 사용, 추진기구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 사업시행자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한 조세 및 부담금 감면, 운하 주변지역 지원사업, 건설자재 및 인력수급대책, 주민에 대한 직업전환훈련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의 관리를 위한 운하관리청 및 운하수탁관리, 운하사업자 및 운하터미널사업자, 선박의 운항조건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사업을 위한 재원의 조달 및 비용의 부담 등에 관한 사항
한반도대운하 특별법시행령
○기본방향
-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
○개선방안(안)
- 대운하 주변지역의 범위, 대운하터미널시설의 종류, 대운하의 구간·명칭 및 대운하터미널의 명칭과 구역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예정지역 안에서의 행위제한의 종류, 행위허가를 받기 위한 절차, 대운하사업의 대행 또는 위탁 대상자의 범위·업무범위·지정기간 등에 관한 사항
- 기본계획 및 실시계획에 포함될 사항, 기본계획의 고시 절차에 관한 사항
- 대운하 준공인가 신청 절차, 대운하사업관련 국가 또는 지자체에 귀속될 공공시설의 범위에 관한 사항
- 대운하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건설자재 및 인력수급대책, 대운하예정지역내 주민에 대한 지원사업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대운하관리의 위탁, 대운사업 및 운하터미널사업의 허가기준 및 조건, 운하건설비의 부담 방법·기준 등에 관한 사항
□ 추진시 고려사항
○ 특별법안에 포함할 특례조항 등에 대한 추후 검토가 필요
○ 타 법령과 상충되는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보나 특별법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관계법률의 개정 필요
※ 하천법,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 법률안 국회상정시 시민단체 등의 조직적인 입법저지 투쟁이 예상되는 바, 이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 필요
○ 상반기 내에 법률안의 국회 통과를 위해서는 국회의원의 전폭적인 협조가 필요한 만큼 지자체, 관련단체 등과 의원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긴밀히 대응할 필요
정리 차염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건설교통부는 공식적으로 특별법 검토를 부인했다. 하지만 국회 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미 대운하 특별법과 관련해서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졌다. 아래는 보고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 제정
□ 검토배경(필요성)
○ 육상교통난 완화, 물류수송비 절감, 관광수요 창출 등을 위하여 하천을 이용한 운하 개발의 필요성 대두
○ 한반도 대운하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수자원을 활용한 물자의 수송 및 지역의 균형발전 등을 촉진
□ 법령정비 방안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
○ 기본방향
- 한반도 대운하(이하 대운하)의 건설 및 유지·관리, 사업시행자에 대한 지원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
○ 개선방안(안)
- 대운하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한 건설예정지역의 지정 및 관리, 사업시행자의 지정, 기본 및 실시설계 수립, 인·허가 등의 의제, 토지의 수용 및 사용, 추진기구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 사업시행자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한 조세 및 부담금 감면, 운하 주변지역 지원사업, 건설자재 및 인력수급대책, 주민에 대한 직업전환훈련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의 관리를 위한 운하관리청 및 운하수탁관리, 운하사업자 및 운하터미널사업자, 선박의 운항조건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사업을 위한 재원의 조달 및 비용의 부담 등에 관한 사항
한반도대운하 특별법시행령
○기본방향
- ‘한반도 대운하 특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
○개선방안(안)
- 대운하 주변지역의 범위, 대운하터미널시설의 종류, 대운하의 구간·명칭 및 대운하터미널의 명칭과 구역 등에 관한 사항
- 대운하예정지역 안에서의 행위제한의 종류, 행위허가를 받기 위한 절차, 대운하사업의 대행 또는 위탁 대상자의 범위·업무범위·지정기간 등에 관한 사항
- 기본계획 및 실시계획에 포함될 사항, 기본계획의 고시 절차에 관한 사항
- 대운하 준공인가 신청 절차, 대운하사업관련 국가 또는 지자체에 귀속될 공공시설의 범위에 관한 사항
- 대운하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건설자재 및 인력수급대책, 대운하예정지역내 주민에 대한 지원사업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대운하관리의 위탁, 대운사업 및 운하터미널사업의 허가기준 및 조건, 운하건설비의 부담 방법·기준 등에 관한 사항
□ 추진시 고려사항
○ 특별법안에 포함할 특례조항 등에 대한 추후 검토가 필요
○ 타 법령과 상충되는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보나 특별법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관계법률의 개정 필요
※ 하천법,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 법률안 국회상정시 시민단체 등의 조직적인 입법저지 투쟁이 예상되는 바, 이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 필요
○ 상반기 내에 법률안의 국회 통과를 위해서는 국회의원의 전폭적인 협조가 필요한 만큼 지자체, 관련단체 등과 의원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긴밀히 대응할 필요
정리 차염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