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논란이 일고 있는 식목일 날짜조정과 관련 현재의 4월 5일을 유지키로 했다.
산림청 윤영균 산림자원국장은 24일 “현재 남부지방은 3월 초부터 나무심기가 시작되지만 북부지방은 5월 초까지도 나무를 심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해 4월 5일 식목일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 국장은 “특히 향후 북한지역의 황폐한 산림 복구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나무심는 기간은 3~4월보다 더 늦춰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산림청이 지난해 6~7월 전국 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남부지역민과 도시민 등을 중심으로 54%가 식목일 날짜를 앞당기자는 의견을 내놓았으나 중·북부지역민과 나무심기 유경험자 등은 현행 유지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한편 산림청은 식목일을 전후해 전국적으로 2만2000㏊에 4200만 그루를 심는다. 특히 올해는 경제림 육성단지 450곳 292만㏊를 중심으로 경제수 조림, 생태 조림, 유휴토지 조림, 금강소나무숲 조성 등 내실 있고 실용적인 나무심기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황사와 사막화 방지 등 지구환경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조림사업을 확대하고 목재자원의 안정적 공급과 탄소 흡수원 확충을 위해 해외조림사업도 적극 벌여나갈 방침이다. 인도네시아 등에 1만5000ha, 몽골과 중국 등에 450ha 등이다.
정부대전청사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산림청 윤영균 산림자원국장은 24일 “현재 남부지방은 3월 초부터 나무심기가 시작되지만 북부지방은 5월 초까지도 나무를 심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해 4월 5일 식목일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 국장은 “특히 향후 북한지역의 황폐한 산림 복구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나무심는 기간은 3~4월보다 더 늦춰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산림청이 지난해 6~7월 전국 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남부지역민과 도시민 등을 중심으로 54%가 식목일 날짜를 앞당기자는 의견을 내놓았으나 중·북부지역민과 나무심기 유경험자 등은 현행 유지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한편 산림청은 식목일을 전후해 전국적으로 2만2000㏊에 4200만 그루를 심는다. 특히 올해는 경제림 육성단지 450곳 292만㏊를 중심으로 경제수 조림, 생태 조림, 유휴토지 조림, 금강소나무숲 조성 등 내실 있고 실용적인 나무심기를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황사와 사막화 방지 등 지구환경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조림사업을 확대하고 목재자원의 안정적 공급과 탄소 흡수원 확충을 위해 해외조림사업도 적극 벌여나갈 방침이다. 인도네시아 등에 1만5000ha, 몽골과 중국 등에 450ha 등이다.
정부대전청사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