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졸자 정규직 직장인 5명중 1명은 직장에서 학벌로 인한 소외감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지난 3월 6일부터 13일까지 직장인 2024명에게 물은 결과 ‘회사생활을 하면서 학벌로 인해 소외감을 느낀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26.4%(534명)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졸업학교 소재지별로 나눠보면 지방대학을 졸업한 직장인의 경우 30.2%가, 서울소재 대학을 졸업한 이들은 19.3%가 이처럼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는 현재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35.1%)이 중소・벤처기업(25.1%)이나 외국계 기업(20.8%)에 비해 학벌 소외감 경험비율이 높았다.
학벌 소외감을 경험한 이들(534명)에게 그 이유에 대해 묻자 ‘회사가 출신학교에 따라 직원역량을 평가한다는 느낌을 받아서’(29.2%)’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뒤이어 △같은 학교 출신끼리 이익집단을 형성하기 때문(24.3%) △경력보다 학벌에 의한 연봉차별(14.8%) △승진 등의 인사고과에 학벌을 반영한다는 느낌을 받았을 때(14.4%) △지방대 출신을 무시한다는 느낌을 받았을 때(11.4%) 등의 순이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잡코리아는 지난 3월 6일부터 13일까지 직장인 2024명에게 물은 결과 ‘회사생활을 하면서 학벌로 인해 소외감을 느낀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26.4%(534명)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졸업학교 소재지별로 나눠보면 지방대학을 졸업한 직장인의 경우 30.2%가, 서울소재 대학을 졸업한 이들은 19.3%가 이처럼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는 현재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35.1%)이 중소・벤처기업(25.1%)이나 외국계 기업(20.8%)에 비해 학벌 소외감 경험비율이 높았다.
학벌 소외감을 경험한 이들(534명)에게 그 이유에 대해 묻자 ‘회사가 출신학교에 따라 직원역량을 평가한다는 느낌을 받아서’(29.2%)’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뒤이어 △같은 학교 출신끼리 이익집단을 형성하기 때문(24.3%) △경력보다 학벌에 의한 연봉차별(14.8%) △승진 등의 인사고과에 학벌을 반영한다는 느낌을 받았을 때(14.4%) △지방대 출신을 무시한다는 느낌을 받았을 때(11.4%) 등의 순이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