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만두 파동 이후 중국산 수입, 급감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들어 불거진 중국산 냉동만두 파동의 여파로, 일본 수입식품 시장에서 중국산 수입이 급감한 반면 한국산 식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 통계 발표에 따르면 2월 한 달 간 일본이 수입한 중국산 식품류는 548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9% 감소했다. 반면 한국산 식품은 82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가 증가했다.
이에 대해 코트라 아대양주팀 김재한 팀장은 “냉동 만두 파동이후, 일본 식품수입 바이어들이 한국산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중국산 식품류에 대한 일본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아 보이는 한국산 수입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했다.
아직 중국산 냉동만두 유해물질의 책임 소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국산 식품을 판매해 온 생협에서는 판매 중지 대상 품목을 329개로 확대했고, 일본 대형 식품업체들은 냉동식품 감산태세에 돌입하는 등 이번 사태의 파문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3월 이후의 통계에서도 중국산 식품 수입의 급격한 감소세가 지속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올해 들어 불거진 중국산 냉동만두 파동의 여파로, 일본 수입식품 시장에서 중국산 수입이 급감한 반면 한국산 식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 통계 발표에 따르면 2월 한 달 간 일본이 수입한 중국산 식품류는 548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9% 감소했다. 반면 한국산 식품은 82억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가 증가했다.
이에 대해 코트라 아대양주팀 김재한 팀장은 “냉동 만두 파동이후, 일본 식품수입 바이어들이 한국산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중국산 식품류에 대한 일본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아 보이는 한국산 수입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했다.
아직 중국산 냉동만두 유해물질의 책임 소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국산 식품을 판매해 온 생협에서는 판매 중지 대상 품목을 329개로 확대했고, 일본 대형 식품업체들은 냉동식품 감산태세에 돌입하는 등 이번 사태의 파문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3월 이후의 통계에서도 중국산 식품 수입의 급격한 감소세가 지속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