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물가가 전년대비 3.9%나 치솟자 급격한 물가상승이 올해 임금교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일 정부와 노동계에 따르면 전년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0%로 올라선 이후 11월 3.5%, 12월 3.6%, 올해 1월 3.9%, 2월 3.6%에 이어 6개월 연속 3%를 웃돌았다. 3월에도 4% 가까이 물가가 오르자 노동계에선 조합원들의 임금인상 요구수준이 높아지고 이로 인한 갈등도 심화될 것이란 예측이 제기되고 있다.
양노총은 최근 대학생 자녀의 등록금 인상과 자동차용 유류, 도시가스 등의 가격 상승으로 예년에 비해 조합원의 실질임금 인상요구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민주노총 우문숙 대변인은 “노조로부터 올해 실질적인 임금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특히 비정규직의 경우 그동안 실질임금은 하락했고, 올해 물가인상으로 생활이 어려워져 투쟁수위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노총 박영삼 대변인은 “물가인상으로 인한 조합원들의 임금인상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동시에 원자재가격도 인상돼 사업주의 임금억제요구도 높기 때문에 임금교섭으로 인한 노사갈등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양노총은 아직 물가인상을 반영한 가이드라인은 조정할 계획은 없는 상태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최근 올해 임금인상률 요구안으로 각각 9.1%, 8.0%를,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18.1%, 20.2%를 제시한 바 있다. 경총은 회원사들에게 인상률 2.6%를 권고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급격한 물가인상으로 노조가 임금인상률을 가중해서 높이려할 가능성이 높다”며 “하지만 고유가와 원자재가 인상으로 기업들도 경영난을 겪고 있어 합리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임금인상을 두고 노사간 마찰이 심해지겠지만, 노사관계가 순탄치 않은 사업장과 임금교섭 선도사업장을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일 정부와 노동계에 따르면 전년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0%로 올라선 이후 11월 3.5%, 12월 3.6%, 올해 1월 3.9%, 2월 3.6%에 이어 6개월 연속 3%를 웃돌았다. 3월에도 4% 가까이 물가가 오르자 노동계에선 조합원들의 임금인상 요구수준이 높아지고 이로 인한 갈등도 심화될 것이란 예측이 제기되고 있다.
양노총은 최근 대학생 자녀의 등록금 인상과 자동차용 유류, 도시가스 등의 가격 상승으로 예년에 비해 조합원의 실질임금 인상요구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민주노총 우문숙 대변인은 “노조로부터 올해 실질적인 임금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특히 비정규직의 경우 그동안 실질임금은 하락했고, 올해 물가인상으로 생활이 어려워져 투쟁수위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노총 박영삼 대변인은 “물가인상으로 인한 조합원들의 임금인상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동시에 원자재가격도 인상돼 사업주의 임금억제요구도 높기 때문에 임금교섭으로 인한 노사갈등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양노총은 아직 물가인상을 반영한 가이드라인은 조정할 계획은 없는 상태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최근 올해 임금인상률 요구안으로 각각 9.1%, 8.0%를,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18.1%, 20.2%를 제시한 바 있다. 경총은 회원사들에게 인상률 2.6%를 권고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급격한 물가인상으로 노조가 임금인상률을 가중해서 높이려할 가능성이 높다”며 “하지만 고유가와 원자재가 인상으로 기업들도 경영난을 겪고 있어 합리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임금인상을 두고 노사간 마찰이 심해지겠지만, 노사관계가 순탄치 않은 사업장과 임금교섭 선도사업장을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