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
미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이라는 보고서에서 경기선행지수의 움직임으로 판단해 볼 때 미국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가격 하락이 본격화하고 있고 부채 증대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로 개인의 소비지출이 둔화하기 시작했으며, 투자와 고용여건도 악화하고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아울러 물가가 급등하고 있고 부동산 가격 하락과 금융경색 영향으로 경기 둔화가 실물부문으로 전이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미국 경제가 경기의 국면전환을 촉발할 정책적 수단이나 모멘텀이 부족해 경기 둔화 내지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경기의 침체국면이 앞으로 지속하고 과도한 가계부채로 인해 가계부문 구조조정이 장기화된다는 전망이 우세한데다 6개월 후 경기방향을 알려주는 경기선행지수가 계속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또 2001년 IT 거품 붕괴 이후 경기회복기에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부동산 등의 자산효과에 바탕을 둔 소비의 견조한 증가세가 성장동력으로 작용했지만 현재는 경기를 주도할 만한 성장 모멘텀이 없다는 점도 경기회복 속도 둔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 증가율이 2001년의 경기침체기에 비해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어 미국경제가 급격히 침체하기 보다는 완만한 둔화추세를 장기간 지속할 가능성이 높고 회복도 하반기 이후 경기가 급속히 살아나는 V 자형보다는 서서히 회복되는U 자형 패턴을 나타낼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연구원은 아직 미국 경기의 급랭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어 경제 운용 기조를 안정에 두는 게 바람직하지만 미국 경기침체가 본격화돼 국내의 경기 급랭으로 이어질 경우 물가보다는 침체 방지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수출경기 냉각에 대응해 비(非) 미주지역에 대한 수출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비준, 주요 국책사업에 대한 외자유치 강화, 우리 수출기업에 대한 무형적 관세철폐 등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 율 기자
미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미국 경기침체 장기화 가능성 진단’이라는 보고서에서 경기선행지수의 움직임으로 판단해 볼 때 미국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가격 하락이 본격화하고 있고 부채 증대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로 개인의 소비지출이 둔화하기 시작했으며, 투자와 고용여건도 악화하고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아울러 물가가 급등하고 있고 부동산 가격 하락과 금융경색 영향으로 경기 둔화가 실물부문으로 전이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미국 경제가 경기의 국면전환을 촉발할 정책적 수단이나 모멘텀이 부족해 경기 둔화 내지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경기의 침체국면이 앞으로 지속하고 과도한 가계부채로 인해 가계부문 구조조정이 장기화된다는 전망이 우세한데다 6개월 후 경기방향을 알려주는 경기선행지수가 계속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또 2001년 IT 거품 붕괴 이후 경기회복기에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부동산 등의 자산효과에 바탕을 둔 소비의 견조한 증가세가 성장동력으로 작용했지만 현재는 경기를 주도할 만한 성장 모멘텀이 없다는 점도 경기회복 속도 둔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 증가율이 2001년의 경기침체기에 비해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어 미국경제가 급격히 침체하기 보다는 완만한 둔화추세를 장기간 지속할 가능성이 높고 회복도 하반기 이후 경기가 급속히 살아나는 V 자형보다는 서서히 회복되는U 자형 패턴을 나타낼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연구원은 아직 미국 경기의 급랭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어 경제 운용 기조를 안정에 두는 게 바람직하지만 미국 경기침체가 본격화돼 국내의 경기 급랭으로 이어질 경우 물가보다는 침체 방지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수출경기 냉각에 대응해 비(非) 미주지역에 대한 수출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비준, 주요 국책사업에 대한 외자유치 강화, 우리 수출기업에 대한 무형적 관세철폐 등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 율 기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