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중독치료센터 4곳 설치, 유해사이트 지킴이 운영
서울시가 아동·청소년 맞춤 복지를 실현한다.
서울시는 아동·청소년을 사회유해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꿈나무 프로젝트’를 구상,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10년까지 총 34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우선 2010년까지 2000여 억원을 들여 시내 4곳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센터를 개설하고, 유해 사이트나 학교 주변 위생환경을 감시하는 지킴이를 운영한다. ‘인터넷 중독 치료예방센터(I Will)’은 지난해 9월 시립광진청소년수련관에 개소한 2년 과정의 센터를 권역별로 1개소씩 총 4개소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아동·청소년 관련단체 어머니 회원 50명을 주축으로 유해 사이트를 감시, 신고하는 ‘사이버 지킴이 Mom 119’를 운영한다. 학교 주변을 식품 안전구역으로 정해 위생환경도 감시한다. 학교 주변 200m 이내를 ‘식품안전보호구역(Safe Food Zone)’으로 지정하고 초등학교당 1명씩 총 572명의 위생감시 모니터요원을 배치해 위생환경을 감시, 개선할 계획이다.
아토피 아동을 위한 친환경 어린이집이 대폭 확대된다.
시는 친환경 마감재 사용과 친환경 급식 제공 등을 의무화한 ‘친환경 어린이집’을 내년까지 자치구 당 1곳씩 25곳을 시범 설치한 뒤 2010년까지 4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이와 함께 저소득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책과 놀이를 결합한 ‘서울 꿈나무 책놀이방’을 올해 6곳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총 16곳 설치하고, 어린이 전용 공공도서관도 2010년까지 총 10곳 건립할 계획이다.
어린이 전용 놀이터도 확대한다. 시는 ‘상상 어린이공원’ 300곳과 ‘문화가 있는 놀이터’ 96곳 및 ‘U-어린이 행복놀이터’를 시범 조성한다. 또 아파트 등지의 어린이 놀이터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노원구 ‘영어 사이언스 파크’ 및 상암동 ‘디지털콘텐츠 체험월드’ 건립 등의 계획도 추진하기로 했다.
주용태 서울시 청소년담당관은 “건강한 도시생활의 기본 조건인 아동과 청소년이 안전하고 행복한 환경 조성을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아동·청소년 맞춤 복지를 실현한다.
서울시는 아동·청소년을 사회유해 요소로부터 보호하는 ‘꿈나무 프로젝트’를 구상, 이를 추진하기 위해 2010년까지 총 34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우선 2010년까지 2000여 억원을 들여 시내 4곳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센터를 개설하고, 유해 사이트나 학교 주변 위생환경을 감시하는 지킴이를 운영한다. ‘인터넷 중독 치료예방센터(I Will)’은 지난해 9월 시립광진청소년수련관에 개소한 2년 과정의 센터를 권역별로 1개소씩 총 4개소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아동·청소년 관련단체 어머니 회원 50명을 주축으로 유해 사이트를 감시, 신고하는 ‘사이버 지킴이 Mom 119’를 운영한다. 학교 주변을 식품 안전구역으로 정해 위생환경도 감시한다. 학교 주변 200m 이내를 ‘식품안전보호구역(Safe Food Zone)’으로 지정하고 초등학교당 1명씩 총 572명의 위생감시 모니터요원을 배치해 위생환경을 감시, 개선할 계획이다.
아토피 아동을 위한 친환경 어린이집이 대폭 확대된다.
시는 친환경 마감재 사용과 친환경 급식 제공 등을 의무화한 ‘친환경 어린이집’을 내년까지 자치구 당 1곳씩 25곳을 시범 설치한 뒤 2010년까지 4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이와 함께 저소득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책과 놀이를 결합한 ‘서울 꿈나무 책놀이방’을 올해 6곳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총 16곳 설치하고, 어린이 전용 공공도서관도 2010년까지 총 10곳 건립할 계획이다.
어린이 전용 놀이터도 확대한다. 시는 ‘상상 어린이공원’ 300곳과 ‘문화가 있는 놀이터’ 96곳 및 ‘U-어린이 행복놀이터’를 시범 조성한다. 또 아파트 등지의 어린이 놀이터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노원구 ‘영어 사이언스 파크’ 및 상암동 ‘디지털콘텐츠 체험월드’ 건립 등의 계획도 추진하기로 했다.
주용태 서울시 청소년담당관은 “건강한 도시생활의 기본 조건인 아동과 청소년이 안전하고 행복한 환경 조성을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