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한국, 비례후보들 납부액 14억여원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들이 대선 이후 총선 전후까지 특별당비 또는 차입금 등의 형태로 당에 납부한 금액이 총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창조한국당이 이날 자료를 통해 공개한 후보별 납부액 현황에 따르면 이미 구속된 이한정씨에 이어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비례대표 3번 유원일 전 시흥환경운동 연합 대표(전 당 민원실장 및 총선승리본부 시민사회위원장)는 지난 1월7일 당에 차용장을 받고 1억원을 빌려준데 이어 3월 4∼5일 5000만원씩, 그리고 공천 직전인 25일 1억원 등 총 2억원의 당채를 당 홍보비 마련 등을 위해 매입했으며 4월2일 1억5000만원의 특별당비를 납부하는 등 총 4억5000만원을 냈다.
또한 비례대표 4번을 배정받았던 선경식 (사)민주화운동공제회 상임이사(당 고문)는 1월7일 1억원을 당에 빌려줬고 3월 9일 1억원을 특별당비로 냈으며, 비례대표 11번이었던 박경진 연세대·성균관대 겸임교수는 3월14일 특별당비 5000만원을 냈다.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이용경 전 KT 대표이사는 대선 기간이던 지난해 12월 3일과 6일, 7일 3000만원, 2000만원, 3000만원씩, 총 3차례에 걸쳐 8000만원을 당에 빌려줬으며 총선 이후인 이달 18일 3000만원의 당비를 납부했다.
당이 이날 밝힌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특별당비 및 차입금 납부 규모는 당비 3억3000만원, 당채 2억원, 차입금 2억8000만원 등 8억1000만원(총 4명)이며, 여기에 비례대표 2번인 이한정씨가 지인 2명을 통해 매입한 당채 6억원까지 합하면 총 5명, 14억1000만원 상당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한정씨가 당이 제기한 당선무효소송 등으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3번인 유 전 대표가 승계하도록 돼 있지만, 상위순번 후보들이 줄줄이 당에 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창조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들이 대선 이후 총선 전후까지 특별당비 또는 차입금 등의 형태로 당에 납부한 금액이 총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28일 나타났다.
창조한국당이 이날 자료를 통해 공개한 후보별 납부액 현황에 따르면 이미 구속된 이한정씨에 이어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비례대표 3번 유원일 전 시흥환경운동 연합 대표(전 당 민원실장 및 총선승리본부 시민사회위원장)는 지난 1월7일 당에 차용장을 받고 1억원을 빌려준데 이어 3월 4∼5일 5000만원씩, 그리고 공천 직전인 25일 1억원 등 총 2억원의 당채를 당 홍보비 마련 등을 위해 매입했으며 4월2일 1억5000만원의 특별당비를 납부하는 등 총 4억5000만원을 냈다.
또한 비례대표 4번을 배정받았던 선경식 (사)민주화운동공제회 상임이사(당 고문)는 1월7일 1억원을 당에 빌려줬고 3월 9일 1억원을 특별당비로 냈으며, 비례대표 11번이었던 박경진 연세대·성균관대 겸임교수는 3월14일 특별당비 5000만원을 냈다.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이용경 전 KT 대표이사는 대선 기간이던 지난해 12월 3일과 6일, 7일 3000만원, 2000만원, 3000만원씩, 총 3차례에 걸쳐 8000만원을 당에 빌려줬으며 총선 이후인 이달 18일 3000만원의 당비를 납부했다.
당이 이날 밝힌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특별당비 및 차입금 납부 규모는 당비 3억3000만원, 당채 2억원, 차입금 2억8000만원 등 8억1000만원(총 4명)이며, 여기에 비례대표 2번인 이한정씨가 지인 2명을 통해 매입한 당채 6억원까지 합하면 총 5명, 14억1000만원 상당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한정씨가 당이 제기한 당선무효소송 등으로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3번인 유 전 대표가 승계하도록 돼 있지만, 상위순번 후보들이 줄줄이 당에 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