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강영두 기자 = 철근 등 철강 제품값이 10% 오르면 국내 건설공사의 평균 원가는 0.83%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1년간 건설관련 철강제품 값은 평균 28% 상승했으며,이에 따른 전체 건설공사비는 평균 2.8%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0일 밝혔다.
그러나 공공공사의 경우 평균 70%대에 낙찰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건설업체가 체감하는 원가부담은 평균 3.9%, 최대 7.0%가 될 것으로 건설산업연구원은 예측했다.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설물별 원가 인상률은 발전플랜트가 4.9%로 가장 높았으며 ▲교량 4.6% ▲철도 4.4% ▲일반건물 3.7% ▲아파트 3.5% ▲업무용 시설물 2.9% 등 순으로 높았다.
연구원은 철강 원자재 가격이 10% 오르면 국내 건설공사의 평균 원가는 0.83%, 최대 1.31%까지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결과는 철강 관련 원자재 가격 상승이 순수 건설공사비에 끼치는 영향만을 분석한 것으로, 실제 시장에서는 철근 등 철강제품 가격 상승 속도가건설원가에 반영되는 속도를 훨씬 앞지르고 있다"며 건설업체들의 공사원가 부담 증대를 우려했다.
k0279@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1년간 건설관련 철강제품 값은 평균 28% 상승했으며,이에 따른 전체 건설공사비는 평균 2.8%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0일 밝혔다.
그러나 공공공사의 경우 평균 70%대에 낙찰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건설업체가 체감하는 원가부담은 평균 3.9%, 최대 7.0%가 될 것으로 건설산업연구원은 예측했다.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설물별 원가 인상률은 발전플랜트가 4.9%로 가장 높았으며 ▲교량 4.6% ▲철도 4.4% ▲일반건물 3.7% ▲아파트 3.5% ▲업무용 시설물 2.9% 등 순으로 높았다.
연구원은 철강 원자재 가격이 10% 오르면 국내 건설공사의 평균 원가는 0.83%, 최대 1.31%까지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결과는 철강 관련 원자재 가격 상승이 순수 건설공사비에 끼치는 영향만을 분석한 것으로, 실제 시장에서는 철근 등 철강제품 가격 상승 속도가건설원가에 반영되는 속도를 훨씬 앞지르고 있다"며 건설업체들의 공사원가 부담 증대를 우려했다.
k0279@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