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학관 이전 논란

문화재청 이전 요청 … 중앙과학관은 난색

지역내일 2008-05-26 (수정 2008-05-26 오전 8:46:18)
“40년 가까이 공짜로 썼으면 이제는 비워줄 때도 되지 않았나.” “무슨 소리. 서울에 과학관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겠나.” 문화재청과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국립중앙과학관이 서울 종로구 와룡동 2번지 소재 국립서울과학관 자리를 놓고 힘겨루기를 진행 중이다.
문화재청은 이젠 방을 뺄 때라고 요구하지만, 과학관 측은 요지부동이다. 문화재청은 최근 들어 궁능관리과와 사적과 등의 명의로 서울대공원 앞 과천 국립과학관이 완공되는 오는 11월까지는 서울과학관을 비워달라는 공문을 여러 차례 보내는 등의 퇴거 압박 강도를 한층 높이기 시작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여러 번 공문을 보냈는데도 아예 답변조차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이 내세우는 퇴거 요구의 근거는 크게 두 가지. 첫째, 서울과학관 자리는 엄연히 문화재청이 관리하는 창덕궁 소유이며 둘째, 서울을 유네스코의 역사문화도시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서울과학관 자리를 포함한 창덕궁 일대를 정비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서울과학관이 현재 자리에 들어서게 된 것은 19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박정희 정부는 수도권 주민들의 과학화라는 명분을 내걸고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창덕궁 구역 한 켠에다가 과학관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공사를 시작한 과학관은 1972년 9월에 문을 열었다. 부지 3354평을 차지한 과학관은 지하 1층, 지상 5층 콘크리트 건물로 연면적 4905평이며 전시장 면적은 2875평이다. 따라서 서울과학관은 부지는 문화재청, 건물은 중앙과학관이 소유하는 이상한 ‘동거관계’를 36년째 계속하고 있다. 물론 부지 사용료는 없다. 문화재청의 퇴거 요구에 중앙과학관은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과학관 관계자는 “매년 한 번 정도 (문화재청에서) 으레 그런 공문을 보내오지만 우린 신경 쓰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비워줄 의도가 전혀 없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우리나라 과학관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 서울에 그나마 하나 있는 과학관을 폐쇄해야겠느냐”고 반문하면서 “대전의중앙과학관과 과천과학관, 그리고 서울과학관은 각기 특성에 맞게 운영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