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에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소장비도입에 있어 장비선정이 국내실정에 맞지 않는데다 유지보수 미비로 인해 인력감축효과도 제대로 나타나지 않아 노조와의 갈등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값비싼 외제일색, 국산보다 비효율적=원미구는 지난 1월 스위스 회사인 BucherSchorling으로부터 노면청소차 4대를 도입했다. 노면청소차는 도로 위를 주행하며 물, 솔, 흡입호스 등으로 도로의 표면과 하수구 등을 청소하는 차량이다. 현재 환율로 비교했을 때 4세제곱미터 적재함을 가진 국산 표준형은 9천만원정도인데 비해 1.8세제곱미터 짜리 외제은 1억 2천만원으로 3천만원 상당의 예산이 더 들어가는 셈이다.
해당 스위스산 청소차는 용량부족으로 한 시간 남짓 작업한 후 한 시간 이상 떨어진 폐기물처리장까지 가서 적재함을 비워야 한다. 시의 논리는 외산이 차체가 작고 허리가 꺾이는 굴절식이라 좁은 길도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폭 8미터 이상의 도로만 가로환경 미화대상이므로 네 대 모두 소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
이 장비는 유럽의 도로와 공원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도로가 혼잡하고 적재함을 비울 수 있는 연계차량이 없는 한국에서는 과부하가 걸리기 쉽다는 것이다. 기계선정에 있어 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서울시의 경우도 잦은 고장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청소차를 운행하는 박모씨(49, 부천시 소사구)는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데도 왜 비싼 외산 위주로 구매하는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기존차량 유지보수 안돼 미화원의 작업량 늘어=부천시에는 구가 직접 관리하는 다섯 대의 노면청소차가 더 있다. 시가 책정한 유지비용은 턱없이 부족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구청에 배치된 외제의 경우 고장이 나도 부품조달이 되지 않아 작업을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결국 미화원들의 수작업이 늘어나게 돼 노조는 추가인력배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시는 노조와 신경전을 벌이기 보다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값비싼 외제일색, 국산보다 비효율적=원미구는 지난 1월 스위스 회사인 BucherSchorling으로부터 노면청소차 4대를 도입했다. 노면청소차는 도로 위를 주행하며 물, 솔, 흡입호스 등으로 도로의 표면과 하수구 등을 청소하는 차량이다. 현재 환율로 비교했을 때 4세제곱미터 적재함을 가진 국산 표준형은 9천만원정도인데 비해 1.8세제곱미터 짜리 외제은 1억 2천만원으로 3천만원 상당의 예산이 더 들어가는 셈이다.
해당 스위스산 청소차는 용량부족으로 한 시간 남짓 작업한 후 한 시간 이상 떨어진 폐기물처리장까지 가서 적재함을 비워야 한다. 시의 논리는 외산이 차체가 작고 허리가 꺾이는 굴절식이라 좁은 길도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폭 8미터 이상의 도로만 가로환경 미화대상이므로 네 대 모두 소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
이 장비는 유럽의 도로와 공원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도로가 혼잡하고 적재함을 비울 수 있는 연계차량이 없는 한국에서는 과부하가 걸리기 쉽다는 것이다. 기계선정에 있어 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서울시의 경우도 잦은 고장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청소차를 운행하는 박모씨(49, 부천시 소사구)는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데도 왜 비싼 외산 위주로 구매하는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기존차량 유지보수 안돼 미화원의 작업량 늘어=부천시에는 구가 직접 관리하는 다섯 대의 노면청소차가 더 있다. 시가 책정한 유지비용은 턱없이 부족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구청에 배치된 외제의 경우 고장이 나도 부품조달이 되지 않아 작업을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결국 미화원들의 수작업이 늘어나게 돼 노조는 추가인력배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시는 노조와 신경전을 벌이기 보다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