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이달 1일부터 6.11대책에 따른 지방 미분양 아파트의 취득.등록세 감면 혜택이 자치단체별로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미분양 혜택을 받기 위한 건설사들의 참여율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2일 국토해양부와 부산시, 대구시 등 지방 자치단체에 따르면 지난 달 23일부터건설사를 상대로 6월 11일 현재 지방 미분양 아파트 목록에 대한 신고 접수를 받고 있으나 일주일 넘도록 신청 단지가 거의 없었다.
미분양 계약자들이 취득.등록세와 양도세, 대출 완화 혜택 등을 받기 위해서는 건설사가 6월 11일 현재 보유한 미분양을 지자체에 정확하게 신고해 ''미분양 확인증''을 발급받아야 하는데 정작 물건을 팔아야 할 건설사들이 신고를 꺼리는 것이다.미분양 물량이 많은 대구시 수성구의 경우 지난 달 23일부터 미분양 접수를 받고 있으나 아직 한 건도 신고되지 않았다.
대구시 달서구, 부산시 기장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등 다른 미분양 적체 지역도아직 접수된 곳이 없다.부산시 관계자는 "일선 구청의 접수 현황을 취합해보지는 않았지만 아직까지 건설사들의 문의도 없고, 신청 건수도 거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건설사들의 미분양 신고가 저조한 것은 정부의 미분양 대책이 ''득''보다 ''실''이 많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대구에서 아파트를 분양중인 K건설 관계자는 "전부터 분양가 인하에 못지 않은 중도금 무이자나 각종 금융혜택을 줘도 안팔리고 있는 곳이 많아 건설사들이 매력을못느끼고 있다"며 "중개업소에 가면 분양가보다 몇 천만원 싼 매물도 많은데 얼마 안되는 취득.등록세 감면받으려고 미분양을 살 사람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부산에서 미분양을 팔고 있는 D건설은 "계약률을 높일만한 메리트가 없는데 미분양 물량을 솔직하게 신고했다가 소문이 나면 미분양 판매에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며 "타사의 추이를 지켜보고 신고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분양가를 인하하거나 추가 혜택을 줄 경우 기존 계약자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골칫거리다.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미분양 대책 발표후 혜택을 소급 적용해 줄 수 없냐는 기존 계약자들의 문의만 있을 뿐 추가로 사겠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일부는 미분양 물량을 전문 판매업체에 통매각했거나 가계약만 한 경우 신고를 어떻게 해야할 지 곤혹스러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정부의 미분양 대책 자체가 한시적이고, 취득.등록세 감면혜택의 경우 내년 6월말까지 입주하는 물량만 해당되는 등 대상이 한정돼 있다는 점도 건설사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한 이유다.하지만 건설사들이 분양가 인하 등 자구책 없이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외면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지적도 많다.한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사들이 결단을 내려 분양가를 과감하게 인하한다면 당장 팔릴 미분양도 많다"며 "미분양 대책의 실효성만 탓하며 정부의 추가 대책을 기다리기 보다 업체 스스로 솔선수범해서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ms@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미분양 계약자들이 취득.등록세와 양도세, 대출 완화 혜택 등을 받기 위해서는 건설사가 6월 11일 현재 보유한 미분양을 지자체에 정확하게 신고해 ''미분양 확인증''을 발급받아야 하는데 정작 물건을 팔아야 할 건설사들이 신고를 꺼리는 것이다.미분양 물량이 많은 대구시 수성구의 경우 지난 달 23일부터 미분양 접수를 받고 있으나 아직 한 건도 신고되지 않았다.
대구시 달서구, 부산시 기장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등 다른 미분양 적체 지역도아직 접수된 곳이 없다.부산시 관계자는 "일선 구청의 접수 현황을 취합해보지는 않았지만 아직까지 건설사들의 문의도 없고, 신청 건수도 거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처럼 건설사들의 미분양 신고가 저조한 것은 정부의 미분양 대책이 ''득''보다 ''실''이 많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대구에서 아파트를 분양중인 K건설 관계자는 "전부터 분양가 인하에 못지 않은 중도금 무이자나 각종 금융혜택을 줘도 안팔리고 있는 곳이 많아 건설사들이 매력을못느끼고 있다"며 "중개업소에 가면 분양가보다 몇 천만원 싼 매물도 많은데 얼마 안되는 취득.등록세 감면받으려고 미분양을 살 사람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부산에서 미분양을 팔고 있는 D건설은 "계약률을 높일만한 메리트가 없는데 미분양 물량을 솔직하게 신고했다가 소문이 나면 미분양 판매에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며 "타사의 추이를 지켜보고 신고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분양가를 인하하거나 추가 혜택을 줄 경우 기존 계약자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골칫거리다.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미분양 대책 발표후 혜택을 소급 적용해 줄 수 없냐는 기존 계약자들의 문의만 있을 뿐 추가로 사겠다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일부는 미분양 물량을 전문 판매업체에 통매각했거나 가계약만 한 경우 신고를 어떻게 해야할 지 곤혹스러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정부의 미분양 대책 자체가 한시적이고, 취득.등록세 감면혜택의 경우 내년 6월말까지 입주하는 물량만 해당되는 등 대상이 한정돼 있다는 점도 건설사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한 이유다.하지만 건설사들이 분양가 인하 등 자구책 없이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외면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지적도 많다.한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사들이 결단을 내려 분양가를 과감하게 인하한다면 당장 팔릴 미분양도 많다"며 "미분양 대책의 실효성만 탓하며 정부의 추가 대책을 기다리기 보다 업체 스스로 솔선수범해서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ms@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