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둔화 불구 공급 부족 영향…공실률도 하락
(서울=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 최근 경기 둔화와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서울 도심의 업무용 빌딩(오피스) 임대료는 꾸준히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서울, 6대 광역시에 있는 업무용 빌딩 500동을 대상으로 공실률과임대료(월세기준) 등을 조사한 결과 2분기 서울 지역 업무용 빌딩 임대료는 ㎡당 1만8천600원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800원 올랐다고 7일 밝혔다.
공실률은 3.1%로 0.4%p 하락했으며 종로구와 중구, 강남구, 서초구 등은 2.1%까지 떨어졌다.
도심 업무용 빌딩의 임대료는 공실률이 떨어지면서 ㎡당 2만1천200원까지 올랐다.
서울 도심의 공실률은 대우빌딩, 국제빌딩 리모델링 공사로 임대 공급이 줄고 테헤란로 주변의 공급 부족 현상이 계속돼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6대 광역시 중에는 대구의 공실률이 5.2%로 가장 낮았고, 대전은 3.6%p 증가한 2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임대료는 인천이 ㎡당 8천100원으로 가장 높았다.
부산은 공실률이 8.7%, 임대료가 ㎡당 7천500원을 기록했고, 울산은 작년 하반기 대비 3.3%p 증가한 18.2%의 공실률을 보였다.
국토부는 "서울 지역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경기 둔화 영향이 상쇄돼 보합세를 띨 전망이며, 임대료는 물가상승과 관리비용 증가, 공실 감소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minor@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 최근 경기 둔화와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서울 도심의 업무용 빌딩(오피스) 임대료는 꾸준히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서울, 6대 광역시에 있는 업무용 빌딩 500동을 대상으로 공실률과임대료(월세기준) 등을 조사한 결과 2분기 서울 지역 업무용 빌딩 임대료는 ㎡당 1만8천600원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800원 올랐다고 7일 밝혔다.
공실률은 3.1%로 0.4%p 하락했으며 종로구와 중구, 강남구, 서초구 등은 2.1%까지 떨어졌다.
도심 업무용 빌딩의 임대료는 공실률이 떨어지면서 ㎡당 2만1천200원까지 올랐다.
서울 도심의 공실률은 대우빌딩, 국제빌딩 리모델링 공사로 임대 공급이 줄고 테헤란로 주변의 공급 부족 현상이 계속돼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6대 광역시 중에는 대구의 공실률이 5.2%로 가장 낮았고, 대전은 3.6%p 증가한 2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임대료는 인천이 ㎡당 8천100원으로 가장 높았다.
부산은 공실률이 8.7%, 임대료가 ㎡당 7천500원을 기록했고, 울산은 작년 하반기 대비 3.3%p 증가한 18.2%의 공실률을 보였다.
국토부는 "서울 지역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경기 둔화 영향이 상쇄돼 보합세를 띨 전망이며, 임대료는 물가상승과 관리비용 증가, 공실 감소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minor@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