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두달째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부터 연이어 불거진 ‘언니게이트’나 ‘한나라당 서울시의원 금품수수 사건’ 등 대형사고도 올림픽 금메달에 슬그머니 묻혔다.
특히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잇딴 금메달 낭보는 ‘8‧15를 계기로 강력한 정책드라이브’를 장담한 청와대의 속내와 시기가 딱 맞아 떨어졌다. 최근 이 대통령의 표정이나 발언도 당선 직후의 자신감을 회복해 간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통령 지지율 두달째 상승세 = 실제 각 매체의 최근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내일신문이 지난 주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4점척도로 27.6%를 기록, 촛불정국 직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지난 주에도 KBS 조사 31%, 리얼미터 30%, 동아일보 25.4%를 기록했다. 한달 전과 비교하면 5~10%까지 상승했다.
쇠고기정국이 사실상 마무리된 데다 올림픽 특수도 톡톡히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심지어 일부 청와대 관계자들 사이에는 “금메달 하나 딸 때마다 지지율 1~2%씩 오르고 있다”는 우스개소리가 나올 정도다.
◆상승세 유지방안 놓고는 이견 = 반면 지지율 상승세 분석과 올림픽 이후 국정운영 방식을 놓고는 청와대 내부에서 강경론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8,9월 대공세’를 주장하는 강경론은 현재의 지지율 상승세를 보수층 집결로 평가한다. 따라서 이 대통령의 지지기반(영남 50세이상 보수층 중심)을 중심으로 한 정책공세를 펼쳐 지지기반을 더욱 굳히자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통령 지지율이 35% 이상이면 충분히 국정수행이 가능하므로 지지율에 연연해 하지 말자”는 판단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최근 청와대가 추진 중인 부동산규제완화나 KBS 등 방송사 경영진 교체강행 등의 ‘공세모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강경 기조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야당일 때는 안정적 지지층을 겨냥한 ‘집토끼론’이 먹힐 수 있지만, 국정을 운영하는 집권여당에겐 ‘위험한 도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새 정부의 정책기조가 ‘기업과 부자들만을 위하는 여권’이란 여론이 굳어지면, ‘반쪽 대통령’의 벽에 갇힐 것이란 지적이다. 나아가 집권 초기의 자만에 빠지면 제2의 촛불을 부르는 것도 시간문제란 내부경고도 나온다.
올림픽 이후 이 대통령이 어떤 정책방향을 전면에 내세울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특히 베이징 올림픽에서의 잇딴 금메달 낭보는 ‘8‧15를 계기로 강력한 정책드라이브’를 장담한 청와대의 속내와 시기가 딱 맞아 떨어졌다. 최근 이 대통령의 표정이나 발언도 당선 직후의 자신감을 회복해 간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통령 지지율 두달째 상승세 = 실제 각 매체의 최근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내일신문이 지난 주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4점척도로 27.6%를 기록, 촛불정국 직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지난 주에도 KBS 조사 31%, 리얼미터 30%, 동아일보 25.4%를 기록했다. 한달 전과 비교하면 5~10%까지 상승했다.
쇠고기정국이 사실상 마무리된 데다 올림픽 특수도 톡톡히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심지어 일부 청와대 관계자들 사이에는 “금메달 하나 딸 때마다 지지율 1~2%씩 오르고 있다”는 우스개소리가 나올 정도다.
◆상승세 유지방안 놓고는 이견 = 반면 지지율 상승세 분석과 올림픽 이후 국정운영 방식을 놓고는 청와대 내부에서 강경론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8,9월 대공세’를 주장하는 강경론은 현재의 지지율 상승세를 보수층 집결로 평가한다. 따라서 이 대통령의 지지기반(영남 50세이상 보수층 중심)을 중심으로 한 정책공세를 펼쳐 지지기반을 더욱 굳히자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통령 지지율이 35% 이상이면 충분히 국정수행이 가능하므로 지지율에 연연해 하지 말자”는 판단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최근 청와대가 추진 중인 부동산규제완화나 KBS 등 방송사 경영진 교체강행 등의 ‘공세모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강경 기조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야당일 때는 안정적 지지층을 겨냥한 ‘집토끼론’이 먹힐 수 있지만, 국정을 운영하는 집권여당에겐 ‘위험한 도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새 정부의 정책기조가 ‘기업과 부자들만을 위하는 여권’이란 여론이 굳어지면, ‘반쪽 대통령’의 벽에 갇힐 것이란 지적이다. 나아가 집권 초기의 자만에 빠지면 제2의 촛불을 부르는 것도 시간문제란 내부경고도 나온다.
올림픽 이후 이 대통령이 어떤 정책방향을 전면에 내세울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