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이 보이지 않는 가뭄으로 전국이 목이 탄다.
올 초봄부터 계속된 가뭄은 전국적으로 최악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물부족으로 농작물들이
말라죽는 일이 전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식수부족으로 고통을 겪는 지역들이
수두룩하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주요 지역 3곳 가운데 2곳에서 기상관측 이래 최저 강수량을 기록
했다. 더욱이 중부지역에서는 이같은 가뭄이 이달 하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비
소식이 하루가 급한 농심은 제때 모내기 등 농사를 짓지 못해 속을 태우고 있다.
기상청은 “지난 3∼5월 전국 72개 지역 가운데 66.7%인 48개 지점의 강수량이 지역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같은 기간 최저량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 나머지 24개 지역에서도 대부분 강수량 부족현상이 나타나 9개 지역에서 기상관측 이래
두번째로 적은 강수량을, 6개 지역에서는 세번째 최저 강수량을 각각 나타냈다.
이 기간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전국적으로 최저 24.9㎜(충주)에서 최고 377.6㎜(서귀포) 분포
로, 예년 평균의 12∼74%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인천(38.5㎜)과 부산(106.3㎜)의 경우 1904년 이래 최저 강수량을 보였으며, 서울은
46.9㎜로 지난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후 65년 38.8㎜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비
가 내렸다.
이 때문에 저수지가 물이 바닥을 드러내는 일이 속출하고 있으며, 의정부 동두천 등 경기북
부 지방을 비롯, 전국 곳곳에서 제한식수로 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다.
북한지방에서도 봄가뭄은 마찬가지로, 황해도와 평안남도에서는 평년 강수량의 7%(남포)∼
34%(양덕)에 불과했다.
기상청은 “올해에는 중국 화중지방을 중심으로 고기압이 자주 발달하고 내륙지방에서는 장
기간 고온건조한 상태가 지속됐으며, 이 고기압이 남쪽으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
으면서 장기간 건조한 상태가 초래됐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은 또 “이달 상순까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고 건조한 날이 계속되다 남부
지방은 중순께 강수량이 증가하겠지만, 중부지방은 하순께 장마가 시작되면서 가뭄이 해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강수량이 줄어들고 기온이 전국적으로 3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등 여름날씨가 지속
되자 한강 등 전국의 강과 하천에서 수온이 올라가고 갈수기의 오염이 심화돼 물고기가 떼죽
음을 당하는 일도 속출하고 있다. 최근 중랑천에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해 수온상승 산소부
족 등으로 물위에 떠오르는 물고기를 한강 지류로 옮겼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해 안타깝
게 했다.
한편 4일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중의 습기와 부유입자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히면서 하늘
이 희뿌옇게 보이는 ‘박무현상’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걸쳐 나타난 가운데 낮 최고기온이 강
릉 34.9도, 포항 33.1도, 문경·인제 32.7도, 춘천 32.0도, 동두천 31.9도, 서울 30.1도까지 오
르는 등 여름 날씨를 보여 갈증을 더욱 심화시켰다.
올 초봄부터 계속된 가뭄은 전국적으로 최악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물부족으로 농작물들이
말라죽는 일이 전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식수부족으로 고통을 겪는 지역들이
수두룩하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주요 지역 3곳 가운데 2곳에서 기상관측 이래 최저 강수량을 기록
했다. 더욱이 중부지역에서는 이같은 가뭄이 이달 하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비
소식이 하루가 급한 농심은 제때 모내기 등 농사를 짓지 못해 속을 태우고 있다.
기상청은 “지난 3∼5월 전국 72개 지역 가운데 66.7%인 48개 지점의 강수량이 지역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같은 기간 최저량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 나머지 24개 지역에서도 대부분 강수량 부족현상이 나타나 9개 지역에서 기상관측 이래
두번째로 적은 강수량을, 6개 지역에서는 세번째 최저 강수량을 각각 나타냈다.
이 기간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전국적으로 최저 24.9㎜(충주)에서 최고 377.6㎜(서귀포) 분포
로, 예년 평균의 12∼74%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인천(38.5㎜)과 부산(106.3㎜)의 경우 1904년 이래 최저 강수량을 보였으며, 서울은
46.9㎜로 지난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후 65년 38.8㎜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비
가 내렸다.
이 때문에 저수지가 물이 바닥을 드러내는 일이 속출하고 있으며, 의정부 동두천 등 경기북
부 지방을 비롯, 전국 곳곳에서 제한식수로 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다.
북한지방에서도 봄가뭄은 마찬가지로, 황해도와 평안남도에서는 평년 강수량의 7%(남포)∼
34%(양덕)에 불과했다.
기상청은 “올해에는 중국 화중지방을 중심으로 고기압이 자주 발달하고 내륙지방에서는 장
기간 고온건조한 상태가 지속됐으며, 이 고기압이 남쪽으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
으면서 장기간 건조한 상태가 초래됐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은 또 “이달 상순까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고 건조한 날이 계속되다 남부
지방은 중순께 강수량이 증가하겠지만, 중부지방은 하순께 장마가 시작되면서 가뭄이 해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강수량이 줄어들고 기온이 전국적으로 3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등 여름날씨가 지속
되자 한강 등 전국의 강과 하천에서 수온이 올라가고 갈수기의 오염이 심화돼 물고기가 떼죽
음을 당하는 일도 속출하고 있다. 최근 중랑천에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해 수온상승 산소부
족 등으로 물위에 떠오르는 물고기를 한강 지류로 옮겼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해 안타깝
게 했다.
한편 4일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중의 습기와 부유입자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히면서 하늘
이 희뿌옇게 보이는 ‘박무현상’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걸쳐 나타난 가운데 낮 최고기온이 강
릉 34.9도, 포항 33.1도, 문경·인제 32.7도, 춘천 32.0도, 동두천 31.9도, 서울 30.1도까지 오
르는 등 여름 날씨를 보여 갈증을 더욱 심화시켰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