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의 탄생
조승연 지음
더난출판 / 2만8000원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은 유럽의 르네상스 시대에 만들어졌다. 왕과 기사가 농민을 착취해서 부를 나눠 갖던 봉건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노력하고 수완이 뛰어난 슈퍼부자들의 창의력과 아이디어로 돈을 벌기 시작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각종 문화가 발전한 것도 이러한 부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사업가들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사법을 개발했고 효율적인 항해를 위한 무역선을 만들었다. 죽음을 무릎 쓰고 미지의 땅에 진출해 유럽에 커피와 사탕수수를 들여놓아 유럽의 극빈층들을 가난에서 벗어나도록 했다. 창의적인 경영시스템에서 부가 창출된 것이다.
‘비즈니스의 탄생’의 저자인 조승연씨는 이들을 가리켜 ‘1세대 비즈니스 리더’라고 지칭했다. 조씨는 영국의 경영 컨설팅 및 리더십 교육회사 UFM의 최연소 상임이사다.
저자는 부를 벌어들인 이들에게는 ‘불변의 법칙’이 있다고 말한다.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 사람 냄새는 사업을 해야 부가 저절로 굴어 들어오고, 더불어 잘 먹고 잘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만 오랫동안 부가 달아나지 않는다고 했다.
성공적인 비즈니스는 사람들을 좀 더 편하고 잘살게 하며,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해 성취감을 준다. 이렇듯 ‘삶의 질’을 높여준 대가로 부를 이뤄야 좋은 비즈니스라는 이야기다.
이 책에는 르네상스 최강의 금융권력자인 메디치 가문과 정치권력을 이용한 자크 쾨르, 해상왕 엔히크, 최고의 미디어 재벌인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 현대금융업의 아버지 야콥 푸거, 부동산 재벌 에르난 코르테스 등의 거상과 베네치아, 동인도회사 등의 투자 방식과 창의적인 경영에 대해 소개했다.
이중에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자크 쾨르다. 정치와 경제를 떼려야 뗄 수 없는 한국의 기업인들에게는 프랑스 역사상 최대 부장인 자크 쾨르의 성공 비결에 대해 알고 싶을 것이다.
쾨르는 새로운 항구를 열어 경제 인프라를 구축해 가난한 어촌을 부유한 상업도시로 성장시켰다. 이 과정에서 쾨르는 당시 정치권력인 샤를 7세를 적절히 이용했다.
1448년 쾨르가 프랑스 왕실에 빌려준 돈은 20만 황금에쿠, 현재 화폐로 환산하면 10조원이 넘는 규모다. 경제학자들은 당시 쾨르의 자산은 현재 프랑스 최대 상장기업인 CAC40의 증시 가치를 합한 것보다 크다고 한다.
하지만 정치와 권력에 근접해 있다면 적을 만들게 되고 비참한 최후를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느 누구나 권력의 단맛과 늘어난 허영심으로 파멸의 길로 들어서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부분 돈을 계급상승의 도구로 봤지만 쾨르는 계급상승을 돈 버는 도구로 본 것이다.
쾨르의 고향은 프랑스 중부 지방에 위치한 부르주라는 소도시다. 언어학자들은 프랑스인들이 쾨르를 ‘부르주에서 온 사람’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기득권 계층을 지칭하는 ‘부르주아’의 어원이라고 주장할 정도다.
프랑스는 부르고뉴-영국 연합국과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했고, 왕실의 돈을 불릴 수 있는 사람으로 쾨르를 꼽았다. 쾨르를 돈을 벌기 위해 당시에 금기했던 이슬람교도와의 거래를 추진한다. 왕에게 자기 사촌을 이집트 대사로 임명시켜줄 것을 요구했고 교황을 직접 만나 ‘그리스도 교구의 부를 늘리는 일’이라며 이교도(이집트, 터키, 시리아 등 이슬람교도들)와의 상거래를 허락받는다. 군수사업에도 눈을 돌려 광석을 수입해 무기를 만들고 모피로 만든 갑옷을 발명하기도 했다.
지금 같으면 비리 사건으로 대서특필되고 사회적 지탄을 받을 일이다. 그러나 쾨르는 정치권력과 인맥을 목적에 맞게 관리를 하면서 비교적 장수했다. 하지만 쾨르의 재산을 탐낸 샤를 7세의 배신으로 그는 재산을 모두 뺏기고 추방당했다. 분산투자가 아닌 왕에게 투자를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에서 분산투자를 적절히 활용한 야콥 푸거의 성공사례를 눈여겨 볼 수 있다. 광산업으로 돈을 번 푸거는 금속이 돈의 척도로 쓰이는 것에 착안해 광산업에 뛰어들었다. 당시에는 황금에 투자하는 것이 부를 늘리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고정관념도 깼다. 재산을 늘리기 위해 땅 황금 채권 보물 등 여러 투자수단에 돈을 나눴다. 오늘날 사업다각화와 분산투자의 개념을 이미 터득하고 있었던 것이다. 1546년에 푸거가 보유한 기업의 자본금은 순금 1만7000kg에 달했다. 그의 돈은 독일 최대 상장회사 30개를 모아 놓은 DAX30지수 회사시장 가치를 모아 놓은 것과 비슷한 액수다.
푸거는 아들에게 “현금 가치도 그것으로 살 수 있는 물건 가치로 결정된다”며 “보석 비단 등 값비싼 사치품등 재고품을 많이 보유하라”고 충고했다.
르네상스 시대 슈퍼부자의 비결
문화투자로 민심을 사로잡아 (메디치 가문의 문화마케팅)
정치권력을 활용 (자크 쾨르의 정치와 기업 관계 정립)
몸이 아닌 머리로 장사 (베네치아의 전략적 동업)
안 되면 되게 하라 (엔히케의 아웃소싱 경영)
센세이셔널을 일으켜라 (라이몬디의 센세이셔널 마케팅)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야콥 푸거의 분산투자)
아낌없이 투자하고 개척하라 (코르테스의 프런티어 정신)
후발주자 우위를 이용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후발주자 법칙)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조승연 지음
더난출판 / 2만8000원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은 유럽의 르네상스 시대에 만들어졌다. 왕과 기사가 농민을 착취해서 부를 나눠 갖던 봉건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노력하고 수완이 뛰어난 슈퍼부자들의 창의력과 아이디어로 돈을 벌기 시작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각종 문화가 발전한 것도 이러한 부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사업가들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사법을 개발했고 효율적인 항해를 위한 무역선을 만들었다. 죽음을 무릎 쓰고 미지의 땅에 진출해 유럽에 커피와 사탕수수를 들여놓아 유럽의 극빈층들을 가난에서 벗어나도록 했다. 창의적인 경영시스템에서 부가 창출된 것이다.
‘비즈니스의 탄생’의 저자인 조승연씨는 이들을 가리켜 ‘1세대 비즈니스 리더’라고 지칭했다. 조씨는 영국의 경영 컨설팅 및 리더십 교육회사 UFM의 최연소 상임이사다.
저자는 부를 벌어들인 이들에게는 ‘불변의 법칙’이 있다고 말한다.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 사람 냄새는 사업을 해야 부가 저절로 굴어 들어오고, 더불어 잘 먹고 잘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만 오랫동안 부가 달아나지 않는다고 했다.
성공적인 비즈니스는 사람들을 좀 더 편하고 잘살게 하며,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해 성취감을 준다. 이렇듯 ‘삶의 질’을 높여준 대가로 부를 이뤄야 좋은 비즈니스라는 이야기다.
이 책에는 르네상스 최강의 금융권력자인 메디치 가문과 정치권력을 이용한 자크 쾨르, 해상왕 엔히크, 최고의 미디어 재벌인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 현대금융업의 아버지 야콥 푸거, 부동산 재벌 에르난 코르테스 등의 거상과 베네치아, 동인도회사 등의 투자 방식과 창의적인 경영에 대해 소개했다.
이중에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자크 쾨르다. 정치와 경제를 떼려야 뗄 수 없는 한국의 기업인들에게는 프랑스 역사상 최대 부장인 자크 쾨르의 성공 비결에 대해 알고 싶을 것이다.
쾨르는 새로운 항구를 열어 경제 인프라를 구축해 가난한 어촌을 부유한 상업도시로 성장시켰다. 이 과정에서 쾨르는 당시 정치권력인 샤를 7세를 적절히 이용했다.
1448년 쾨르가 프랑스 왕실에 빌려준 돈은 20만 황금에쿠, 현재 화폐로 환산하면 10조원이 넘는 규모다. 경제학자들은 당시 쾨르의 자산은 현재 프랑스 최대 상장기업인 CAC40의 증시 가치를 합한 것보다 크다고 한다.
하지만 정치와 권력에 근접해 있다면 적을 만들게 되고 비참한 최후를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느 누구나 권력의 단맛과 늘어난 허영심으로 파멸의 길로 들어서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부분 돈을 계급상승의 도구로 봤지만 쾨르는 계급상승을 돈 버는 도구로 본 것이다.
쾨르의 고향은 프랑스 중부 지방에 위치한 부르주라는 소도시다. 언어학자들은 프랑스인들이 쾨르를 ‘부르주에서 온 사람’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기득권 계층을 지칭하는 ‘부르주아’의 어원이라고 주장할 정도다.
프랑스는 부르고뉴-영국 연합국과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필요로 했고, 왕실의 돈을 불릴 수 있는 사람으로 쾨르를 꼽았다. 쾨르를 돈을 벌기 위해 당시에 금기했던 이슬람교도와의 거래를 추진한다. 왕에게 자기 사촌을 이집트 대사로 임명시켜줄 것을 요구했고 교황을 직접 만나 ‘그리스도 교구의 부를 늘리는 일’이라며 이교도(이집트, 터키, 시리아 등 이슬람교도들)와의 상거래를 허락받는다. 군수사업에도 눈을 돌려 광석을 수입해 무기를 만들고 모피로 만든 갑옷을 발명하기도 했다.
지금 같으면 비리 사건으로 대서특필되고 사회적 지탄을 받을 일이다. 그러나 쾨르는 정치권력과 인맥을 목적에 맞게 관리를 하면서 비교적 장수했다. 하지만 쾨르의 재산을 탐낸 샤를 7세의 배신으로 그는 재산을 모두 뺏기고 추방당했다. 분산투자가 아닌 왕에게 투자를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에서 분산투자를 적절히 활용한 야콥 푸거의 성공사례를 눈여겨 볼 수 있다. 광산업으로 돈을 번 푸거는 금속이 돈의 척도로 쓰이는 것에 착안해 광산업에 뛰어들었다. 당시에는 황금에 투자하는 것이 부를 늘리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고정관념도 깼다. 재산을 늘리기 위해 땅 황금 채권 보물 등 여러 투자수단에 돈을 나눴다. 오늘날 사업다각화와 분산투자의 개념을 이미 터득하고 있었던 것이다. 1546년에 푸거가 보유한 기업의 자본금은 순금 1만7000kg에 달했다. 그의 돈은 독일 최대 상장회사 30개를 모아 놓은 DAX30지수 회사시장 가치를 모아 놓은 것과 비슷한 액수다.
푸거는 아들에게 “현금 가치도 그것으로 살 수 있는 물건 가치로 결정된다”며 “보석 비단 등 값비싼 사치품등 재고품을 많이 보유하라”고 충고했다.
르네상스 시대 슈퍼부자의 비결
문화투자로 민심을 사로잡아 (메디치 가문의 문화마케팅)
정치권력을 활용 (자크 쾨르의 정치와 기업 관계 정립)
몸이 아닌 머리로 장사 (베네치아의 전략적 동업)
안 되면 되게 하라 (엔히케의 아웃소싱 경영)
센세이셔널을 일으켜라 (라이몬디의 센세이셔널 마케팅)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야콥 푸거의 분산투자)
아낌없이 투자하고 개척하라 (코르테스의 프런티어 정신)
후발주자 우위를 이용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후발주자 법칙)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