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안승섭기자 = 극심한 부동산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건설주의 하락폭이 모든 업종 중에서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올해 8월28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업종별 지수 등락률을 조사한 결과 건설업종이 45.80% 하락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비금속광물(-28.74%), 운수장비(-28.56%), 유통(-27.99%)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전기가스(-11.69%), 통신(-13.00%), 전기전자(-13.03%), 음식료품(-16.07%) 등은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건설업종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건설업종이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년 말 5.39%에서 올해 8월28일에는 3.76%로 줄었다.반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던 전기전자업종은 같은 기간 그 비중이 16.57%에서 18.43%로 늘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올해 들어 미분양 아파트 급증 등 극심한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해 건설주 투자심리가 악화된 반면 상반기 좋은 실적을 내놓은 전기전자업종은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말했다.
ssah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1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올해 8월28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업종별 지수 등락률을 조사한 결과 건설업종이 45.80% 하락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비금속광물(-28.74%), 운수장비(-28.56%), 유통(-27.99%)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전기가스(-11.69%), 통신(-13.00%), 전기전자(-13.03%), 음식료품(-16.07%) 등은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건설업종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건설업종이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년 말 5.39%에서 올해 8월28일에는 3.76%로 줄었다.반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던 전기전자업종은 같은 기간 그 비중이 16.57%에서 18.43%로 늘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올해 들어 미분양 아파트 급증 등 극심한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해 건설주 투자심리가 악화된 반면 상반기 좋은 실적을 내놓은 전기전자업종은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말했다.
ssah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