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기름유출사고와 같은 대규모 재난발생 시 조사·평가를 통해 재난관리 체계의 문제 등을 점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가진 중앙재난조사평가협의회가 구성됐다.
행정안전부는 대규모 재난 발생과정에서 기관간 협조 미비, 지휘체계 혼선, 인적·물적 동원 체계 허술 등의 문제점이 반복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회를 구성하고 유형별 전문기관·단체의 민간 전문가 21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1일 밝혔다.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소속으로 설치·운영되는 중앙재난조사평가협의회는 앞으로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재난유형별 합동조사평가단을 현장에 파견, 재난대응 과정을 분석하고 발생원인에 대한 기술적·공학적인 조사·평가를 실시한다.
협의회는 교통·시설물 붕괴, 화재·폭발, 환경오염, 에너지·통신 등 국가기반체계 마비, AI 등 전염병 확산 등 전문분야별 5개 분과협의회로 운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협의회의 설치는 통합적 재난관리체계 구축의 일환"이라며 "각종 재난 발생 시 정부의 대응과정과 발생원인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게 된다"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행정안전부는 대규모 재난 발생과정에서 기관간 협조 미비, 지휘체계 혼선, 인적·물적 동원 체계 허술 등의 문제점이 반복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회를 구성하고 유형별 전문기관·단체의 민간 전문가 21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1일 밝혔다.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소속으로 설치·운영되는 중앙재난조사평가협의회는 앞으로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재난유형별 합동조사평가단을 현장에 파견, 재난대응 과정을 분석하고 발생원인에 대한 기술적·공학적인 조사·평가를 실시한다.
협의회는 교통·시설물 붕괴, 화재·폭발, 환경오염, 에너지·통신 등 국가기반체계 마비, AI 등 전염병 확산 등 전문분야별 5개 분과협의회로 운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협의회의 설치는 통합적 재난관리체계 구축의 일환"이라며 "각종 재난 발생 시 정부의 대응과정과 발생원인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게 된다"고 말했다.
홍범택 기자 durumi@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