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부부로 산다는 것
한영민 (현대해상 전략지원부 과장)
서른 여덟 살,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아내의 남편, 10년 차 직장인. 나의 간략한 프로필이다. 하지만 이 간략한 프로필에 뒤따르는 책임과 삶은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아침 6시 알람이 울린다. 옆에서 자고 있는 2살짜리 아들이 깰까 비몽사몽 간에 일어나 멈춤 버튼을 누르고 그렇게 앉아있기를 몇분, 얼마나 흘렀을까? 이젠 더 이상 꾸물거릴 시간이 없다는 듯 2차 알람이 울린다. 매일 반복되는 나의 하루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조심스레 일어나 출근준비를 하고 뒤이어 출근 해야 하는 아내를 깨우다 보면 나보다 더 일어나기 힘들어 한다.
왜 그렇지 않을까? 맞벌이하면서 살림하랴 아이 돌보랴. 대한민국은 맞벌이 부부의 정신적, 육체적 한계를 테스트하기 좋은 나라 아닌가?
차라리 회사가 편안한 안식처
8살이라는 터울을 딛고 결혼해서 서른 여섯에 얻은 첫째 아이. 첫 아이 가지는 심정이야 모든 부모들이 매한가지겠지만 태어나자마자 아토피에 탈장수술에 … 정말 조그마한 놈이 무던히도 가슴 졸이게 만들었던 지난 2년이었던 것 같다.
아내의 육아휴직이 끝나자마자 제일 먼저 한일은 처가 근처로 이사한 것이었다. 당연히 아이의 육아 때문이었고 그때부터 우리 부부와 장모님의 치열한 하루하루가 오늘 아침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곤히 자는 아기를 깨워 출근길에 처갓집에 맡기고 저녁에 퇴근하면서 데려와 밥 먹이고, 놀아주고, 아이 빨래에, 목욕시키고, 우리 부부 또한 밥 먹고 설거지하고, 씻고 자는 것이 일상이다.
퇴근한 이후 밤1~2시까지 쉴 틈 없는 일상이 매일 반복되다 보니 도저히 한 사람만으로는 감당하기가 불가능하다.
아내가 회사일로 집을 며칠 비운 다음에는 오히려 회사가 편안한 휴식장소 같고, 휴일만 다가오면 오히려 빨리 월요일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조차 든다.
몸과 마음이 지치면 서로에게 짜증이 나고 사소한 일에도 민감해지기 마련. 내 나름으로는 누구보다 아내와 아기에게 잘하는 남편이라 굳게 믿고 있었건만 그게 아니었나 보다.
부부싸움을 하면 아내는, “친구들 남편은 다 오빠보다 잘해준다고 하더라” 한다. 도대체 그 남편들 얼굴 함 봤으면 싶다. 누가 나만큼 잘해 준대?
왜 나만 이렇게 일이 많지 …
곰곰히 생각해본다. ‘정말 내가 부족한 걸까? 아니면 정말 다른 남편과 아버지들은 나와 다른 걸까?’
사람은 누구나 자기입장에서 생각하고, 말하고 또 행동한다. 그래서 ‘난 이렇게 잘해주는데 넌 왜?’라고 자꾸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회사 일도 마찬가지. ‘왜 나만 이렇게 많은 일을 해야 하지? 왜 다른 사람은 이런저런 핑계로 빠지려고만 할까?’
그러나 천만의 말씀이다. 그런 생각은 술, 담배보다 더 해롭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영민 (현대해상 전략지원부 과장)
서른 여덟 살, 한 아이의 아버지이자 아내의 남편, 10년 차 직장인. 나의 간략한 프로필이다. 하지만 이 간략한 프로필에 뒤따르는 책임과 삶은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아침 6시 알람이 울린다. 옆에서 자고 있는 2살짜리 아들이 깰까 비몽사몽 간에 일어나 멈춤 버튼을 누르고 그렇게 앉아있기를 몇분, 얼마나 흘렀을까? 이젠 더 이상 꾸물거릴 시간이 없다는 듯 2차 알람이 울린다. 매일 반복되는 나의 하루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조심스레 일어나 출근준비를 하고 뒤이어 출근 해야 하는 아내를 깨우다 보면 나보다 더 일어나기 힘들어 한다.
왜 그렇지 않을까? 맞벌이하면서 살림하랴 아이 돌보랴. 대한민국은 맞벌이 부부의 정신적, 육체적 한계를 테스트하기 좋은 나라 아닌가?
차라리 회사가 편안한 안식처
8살이라는 터울을 딛고 결혼해서 서른 여섯에 얻은 첫째 아이. 첫 아이 가지는 심정이야 모든 부모들이 매한가지겠지만 태어나자마자 아토피에 탈장수술에 … 정말 조그마한 놈이 무던히도 가슴 졸이게 만들었던 지난 2년이었던 것 같다.
아내의 육아휴직이 끝나자마자 제일 먼저 한일은 처가 근처로 이사한 것이었다. 당연히 아이의 육아 때문이었고 그때부터 우리 부부와 장모님의 치열한 하루하루가 오늘 아침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곤히 자는 아기를 깨워 출근길에 처갓집에 맡기고 저녁에 퇴근하면서 데려와 밥 먹이고, 놀아주고, 아이 빨래에, 목욕시키고, 우리 부부 또한 밥 먹고 설거지하고, 씻고 자는 것이 일상이다.
퇴근한 이후 밤1~2시까지 쉴 틈 없는 일상이 매일 반복되다 보니 도저히 한 사람만으로는 감당하기가 불가능하다.
아내가 회사일로 집을 며칠 비운 다음에는 오히려 회사가 편안한 휴식장소 같고, 휴일만 다가오면 오히려 빨리 월요일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조차 든다.
몸과 마음이 지치면 서로에게 짜증이 나고 사소한 일에도 민감해지기 마련. 내 나름으로는 누구보다 아내와 아기에게 잘하는 남편이라 굳게 믿고 있었건만 그게 아니었나 보다.
부부싸움을 하면 아내는, “친구들 남편은 다 오빠보다 잘해준다고 하더라” 한다. 도대체 그 남편들 얼굴 함 봤으면 싶다. 누가 나만큼 잘해 준대?
왜 나만 이렇게 일이 많지 …
곰곰히 생각해본다. ‘정말 내가 부족한 걸까? 아니면 정말 다른 남편과 아버지들은 나와 다른 걸까?’
사람은 누구나 자기입장에서 생각하고, 말하고 또 행동한다. 그래서 ‘난 이렇게 잘해주는데 넌 왜?’라고 자꾸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회사 일도 마찬가지. ‘왜 나만 이렇게 많은 일을 해야 하지? 왜 다른 사람은 이런저런 핑계로 빠지려고만 할까?’
그러나 천만의 말씀이다. 그런 생각은 술, 담배보다 더 해롭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