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등으로 경기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 절반이 최근 감원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27일 인크루트 조사 발표에 따르면 직장인 1648명중 48.8%(805명)가 ‘최근 감원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는 여성(44.5%)보다는 남성(52.1%)이, 미혼(38.9%)보다는 기혼(54.7%)이, 정규직(47.2%)보다 비정규직(54.6%)이 더 불안해했다. 또 연령별로는 40대(59.1%)와 50대(60.4%)가 20대(35.3%)와 30대(47.9%)보다 불안감이 높았고, 학력별로는 대졸자(52.9%)가 고졸이하(42.6%)보다 불안해했다.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53.2%)-중견기업(53.2%)-공기업(48.9%)-중소기업(47.6%)-외국계기업(35.9%) 등의 순이었다.
감원 불안감이 커진 이유에 대해서는 ‘회사 경영상태나 실적이 좋지 않아서’(40.7%), ‘경기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40.0%) 등의 응답이 높았다. 이어 ‘직급, 연령, 고용형태, 결혼 등의 개인 여건이 불리해서’(20.6%)라거나 ‘담당 부서의 사업 여건이나 실적이 좋지 않아서’(11.2%), ‘주변 회사의 감원 소식’(11.1%) 등의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들은 ‘재직중인 회사가 감원을 하고 있거나, 할지 모른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42.7%(703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51.4%), 공기업(48.9%), 중견기업(45.3%), 외국계기업(41.0%), 중소기업(39.5%)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감원을 진행하거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기업 재직자는 79.5%가 감원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은 기업의 재직자도 26.0%가량 감원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감원 불안감을 느끼는 직장인들은 ‘이직이나 창업에 대한 정보를 찾는 일이 많아졌다’(53.3%)는 이들이 많았다. 이밖에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자기계발 노력을 하고 있다’(32.3%)거나 ‘업무 시간이 길어졌다’(22.9%), ‘상사와의 친분을 위한 만남이 잦아졌다’(7.0%), ‘회의 발언이 많아졌다’(6.6%)는 등의 응답률이 높았다.
‘감원 대상이 된다면, 재취업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73.0%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93.4%)-40대(81.8%)-30대(65.4%)-20대(54.2%)순이었고, 학력별로는 고졸이하(84.4%)-대졸(71.5%)-전문대졸(70.4%)-석박사 이상(62.5%)순으로 재취업 가능성을 낮게 점치고 있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7일 인크루트 조사 발표에 따르면 직장인 1648명중 48.8%(805명)가 ‘최근 감원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는 여성(44.5%)보다는 남성(52.1%)이, 미혼(38.9%)보다는 기혼(54.7%)이, 정규직(47.2%)보다 비정규직(54.6%)이 더 불안해했다. 또 연령별로는 40대(59.1%)와 50대(60.4%)가 20대(35.3%)와 30대(47.9%)보다 불안감이 높았고, 학력별로는 대졸자(52.9%)가 고졸이하(42.6%)보다 불안해했다.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53.2%)-중견기업(53.2%)-공기업(48.9%)-중소기업(47.6%)-외국계기업(35.9%) 등의 순이었다.
감원 불안감이 커진 이유에 대해서는 ‘회사 경영상태나 실적이 좋지 않아서’(40.7%), ‘경기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40.0%) 등의 응답이 높았다. 이어 ‘직급, 연령, 고용형태, 결혼 등의 개인 여건이 불리해서’(20.6%)라거나 ‘담당 부서의 사업 여건이나 실적이 좋지 않아서’(11.2%), ‘주변 회사의 감원 소식’(11.1%) 등의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들은 ‘재직중인 회사가 감원을 하고 있거나, 할지 모른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42.7%(703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51.4%), 공기업(48.9%), 중견기업(45.3%), 외국계기업(41.0%), 중소기업(39.5%)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감원을 진행하거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기업 재직자는 79.5%가 감원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으며, 그렇지 않은 기업의 재직자도 26.0%가량 감원 불안감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감원 불안감을 느끼는 직장인들은 ‘이직이나 창업에 대한 정보를 찾는 일이 많아졌다’(53.3%)는 이들이 많았다. 이밖에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자기계발 노력을 하고 있다’(32.3%)거나 ‘업무 시간이 길어졌다’(22.9%), ‘상사와의 친분을 위한 만남이 잦아졌다’(7.0%), ‘회의 발언이 많아졌다’(6.6%)는 등의 응답률이 높았다.
‘감원 대상이 된다면, 재취업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73.0%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93.4%)-40대(81.8%)-30대(65.4%)-20대(54.2%)순이었고, 학력별로는 고졸이하(84.4%)-대졸(71.5%)-전문대졸(70.4%)-석박사 이상(62.5%)순으로 재취업 가능성을 낮게 점치고 있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