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정硏 "재건축사업 영향"..대책마련 촉구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재건축사업을 통해 서울 강남지역에서 소형아파트 8만여 가구가 사라지는 것으로 추산돼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권영덕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6일 ''대규모 저밀도 아파트 재건축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강남지역에서 재건축사업으로 전용면적 40㎡ 안팎의 소형주택 3만2천가구가 이미 없어졌고, 사업 미시행지구까지 포함하면 8만여 가구가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반면 전용면적 85㎡ 이상의 중대형 아파트는 8만여 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권 위원은 분석했다.
권 위원은 소형아파트가 없어지고 중대형아파트가 늘어나는 주된 이유로 개발자와 수요자가 중대형 주택을 선호하는 점을 꼽았다.
권 위원은 "소형주택의 멸실로 서민주택난이 가중되고 주택시장이 왜곡되고 있다"며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강남지역의 소형주택 멸실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위원은 이와 관련한 하나의 대책으로 서울시가 공공임대주택 공급비율을 조정해 소형주택이 많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sungjinpark@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권영덕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6일 ''대규모 저밀도 아파트 재건축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강남지역에서 재건축사업으로 전용면적 40㎡ 안팎의 소형주택 3만2천가구가 이미 없어졌고, 사업 미시행지구까지 포함하면 8만여 가구가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반면 전용면적 85㎡ 이상의 중대형 아파트는 8만여 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권 위원은 분석했다.
권 위원은 소형아파트가 없어지고 중대형아파트가 늘어나는 주된 이유로 개발자와 수요자가 중대형 주택을 선호하는 점을 꼽았다.
권 위원은 "소형주택의 멸실로 서민주택난이 가중되고 주택시장이 왜곡되고 있다"며 지역 간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강남지역의 소형주택 멸실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위원은 이와 관련한 하나의 대책으로 서울시가 공공임대주택 공급비율을 조정해 소형주택이 많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sungjinpark@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