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사건’ 끈기로 해결한 수사관들
‘무능’ 비난 일거에 날려
미궁 속으로 빠질 뻔 했던 ‘군포 여대생 납치 사건’이 일선 경찰서 수사관들의 끈기와 집념으로 결국 해결됐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A씨(21) 실종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20일 범죄 피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마지막으로 행적이 확인된 군포보건소 일대에 대대적인 현장 조사에 들어갔다. A씨의 예상 이동로(군포보건소∼안산시 건건동∼안산시 성포동 일대 반경 6㎞)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확인작업에 착수했다. CCTV는 보건소를 비롯해 인근 도로, 주유소, 은행 등 모두 300여개. CCTV를 정밀 분석한 결과 사건시간대(12월 19일 오후 3시10분~오후 7시28분) 운행한 차량은 7200대에 달했다. 전담 수사 인력 30여 명이 차량 소유주를 찾아다니며 당일 행적을 일일이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용의자 강모(38)씨가 CCTV에 잡혔다. 동일 전과의 범죄자를 유형별로 분류하는‘범죄 프로파일링 기법’을 동원했다. 강씨는 강도강간과 특수절도 등 전과 9범. 강씨를 상대로 알리바이와 휴대전화 통화내역 조사 등 막바지 수사를 진행했다. 결국 24일 강 씨로부터 범행 일체를 자백 받았다. 끈기에 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한 저인망식 수사의 결과였다. 그동안 불안에 떨었던 경기서남부 주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고 경찰로서는 ‘무능한 경찰’이라는 비난을 일거에 날린 쾌거였다.
‘공개수사로 전환한 뒤 한 달이 지나도록 범인 윤곽조차 못잡고 있다’는 여론의 질타에, ‘용산참사’문제까지 겹치며 경찰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은 상황이었지만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최선을 다했기에 더욱 값진 결과였다.
‘용산참사’ 책임회피 급급한 수뇌부
‘여론 만들기’ 조직적 동원
경찰의 강제진압으로 시민 5명과 경찰특공대원 1명이 목숨을 잃은 ‘용산 철거민 참사’발생 열흘째. 과잉진압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참담한 결과에 ‘동의대 사태’이후 최악의 진압작전으로 남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책임소재를 가릴 진상규명도 중요하지만 ‘무리한 진압’을 승인한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를 비롯 지휘선상에 있었던 경찰수뇌부가 먼저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과정이야 어찌됐든 결과적으로 실패한 작전인 만큼 경찰 수장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경찰수뇌부는 그러나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소신파’로 평가받는 김 내정자조차 ‘용산참사’ 문제엔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여론의 향배가 바뀌기를 기다리는 눈치다.
경찰은 실제 설 연휴 기간 ‘용산참사’와 관련 경찰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농성자들의 과격행동을 주로 담은 사고현장 동영상을 여론 주도층에 유포했다.▶관련기사 20면
경찰 내부 여론마저 나빠지자 경찰청 정보부에서 급하게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촛불시위 때처럼 ‘내외부 여론 반전용’으로 ‘동영상 카드’를 다시 꺼내든 셈이다.
지방의 한 경찰청은 경찰들에게 ‘모 방송사의 용산참사 관련 인터넷 여론투표에 적극 참여하라’는 내용의 단체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등 여론을 경찰에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경찰청 내부게시판엔 “용산 참사의 책임을 묻는 인터넷 포털이나 언론사 여론 조사에 적극적으로 투표하자”는 독려성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사실상 경찰이 조직적인 여론조작에 나선 모양새다. 책임회피에만 급급한 경찰수뇌부로 인해 치안과 법질서 유지라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할 일선 경찰들까지 ‘여론조작’ 논란에 휘말려 들고 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무능’ 비난 일거에 날려
미궁 속으로 빠질 뻔 했던 ‘군포 여대생 납치 사건’이 일선 경찰서 수사관들의 끈기와 집념으로 결국 해결됐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A씨(21) 실종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20일 범죄 피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마지막으로 행적이 확인된 군포보건소 일대에 대대적인 현장 조사에 들어갔다. A씨의 예상 이동로(군포보건소∼안산시 건건동∼안산시 성포동 일대 반경 6㎞)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확인작업에 착수했다. CCTV는 보건소를 비롯해 인근 도로, 주유소, 은행 등 모두 300여개. CCTV를 정밀 분석한 결과 사건시간대(12월 19일 오후 3시10분~오후 7시28분) 운행한 차량은 7200대에 달했다. 전담 수사 인력 30여 명이 차량 소유주를 찾아다니며 당일 행적을 일일이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용의자 강모(38)씨가 CCTV에 잡혔다. 동일 전과의 범죄자를 유형별로 분류하는‘범죄 프로파일링 기법’을 동원했다. 강씨는 강도강간과 특수절도 등 전과 9범. 강씨를 상대로 알리바이와 휴대전화 통화내역 조사 등 막바지 수사를 진행했다. 결국 24일 강 씨로부터 범행 일체를 자백 받았다. 끈기에 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한 저인망식 수사의 결과였다. 그동안 불안에 떨었던 경기서남부 주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고 경찰로서는 ‘무능한 경찰’이라는 비난을 일거에 날린 쾌거였다.
‘공개수사로 전환한 뒤 한 달이 지나도록 범인 윤곽조차 못잡고 있다’는 여론의 질타에, ‘용산참사’문제까지 겹치며 경찰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은 상황이었지만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최선을 다했기에 더욱 값진 결과였다.
‘용산참사’ 책임회피 급급한 수뇌부
‘여론 만들기’ 조직적 동원
경찰의 강제진압으로 시민 5명과 경찰특공대원 1명이 목숨을 잃은 ‘용산 철거민 참사’발생 열흘째. 과잉진압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참담한 결과에 ‘동의대 사태’이후 최악의 진압작전으로 남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책임소재를 가릴 진상규명도 중요하지만 ‘무리한 진압’을 승인한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를 비롯 지휘선상에 있었던 경찰수뇌부가 먼저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과정이야 어찌됐든 결과적으로 실패한 작전인 만큼 경찰 수장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경찰수뇌부는 그러나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소신파’로 평가받는 김 내정자조차 ‘용산참사’ 문제엔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여론의 향배가 바뀌기를 기다리는 눈치다.
경찰은 실제 설 연휴 기간 ‘용산참사’와 관련 경찰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농성자들의 과격행동을 주로 담은 사고현장 동영상을 여론 주도층에 유포했다.▶관련기사 20면
경찰 내부 여론마저 나빠지자 경찰청 정보부에서 급하게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촛불시위 때처럼 ‘내외부 여론 반전용’으로 ‘동영상 카드’를 다시 꺼내든 셈이다.
지방의 한 경찰청은 경찰들에게 ‘모 방송사의 용산참사 관련 인터넷 여론투표에 적극 참여하라’는 내용의 단체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등 여론을 경찰에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경찰청 내부게시판엔 “용산 참사의 책임을 묻는 인터넷 포털이나 언론사 여론 조사에 적극적으로 투표하자”는 독려성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사실상 경찰이 조직적인 여론조작에 나선 모양새다. 책임회피에만 급급한 경찰수뇌부로 인해 치안과 법질서 유지라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할 일선 경찰들까지 ‘여론조작’ 논란에 휘말려 들고 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