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 된 산업단지와 원도심 공동화 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재생법’ 제정이 추진된다.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광역시장협의회(회장 박성효 대전시장) 자리에서 최상철 균형발전위원장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5대 거점 광역권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대도시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며 “올 상반기 내 6대 광역시 중심의 발전계획을 수립해 대통령께 보고하고 재가를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제시된 5대 거점 광역권 발전계획은 △원도심 도시재생 및 노후산단 재개발 지원 △대도시 및 광역생활철도 추진 △용도지역 간 통합을 골자로 한 토지이용 개선 △대도시권 중심의 첨단미래산업 중점 육성 △4대강 살리기의 대도시 연계 방안 등이다.
최 위원장은 도시 재생과 관련 “대도시들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원도심 공동화와 노후산단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재생 차원에서 ‘도시재생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노후산단을 첨단산단으로 재개발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구 1200만명이 밀집된 전국 6대 광역시의 녹색교통 확충 키워드로 ‘고무바퀴에서 쇠바퀴로(from rubber to rail)’ 계획을 제시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광역생활권 확장에 철도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토지이용 개선 방안으로는 ‘벨트에서 녹색으로(from belt to green)’를 제시하고 “현재의 용도간 분리를 원리로 삼고 있는 용도지역지구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광역시장협의회(회장 박성효 대전시장) 자리에서 최상철 균형발전위원장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5대 거점 광역권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대도시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며 “올 상반기 내 6대 광역시 중심의 발전계획을 수립해 대통령께 보고하고 재가를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제시된 5대 거점 광역권 발전계획은 △원도심 도시재생 및 노후산단 재개발 지원 △대도시 및 광역생활철도 추진 △용도지역 간 통합을 골자로 한 토지이용 개선 △대도시권 중심의 첨단미래산업 중점 육성 △4대강 살리기의 대도시 연계 방안 등이다.
최 위원장은 도시 재생과 관련 “대도시들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원도심 공동화와 노후산단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재생 차원에서 ‘도시재생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노후산단을 첨단산단으로 재개발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구 1200만명이 밀집된 전국 6대 광역시의 녹색교통 확충 키워드로 ‘고무바퀴에서 쇠바퀴로(from rubber to rail)’ 계획을 제시하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광역생활권 확장에 철도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토지이용 개선 방안으로는 ‘벨트에서 녹색으로(from belt to green)’를 제시하고 “현재의 용도간 분리를 원리로 삼고 있는 용도지역지구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