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패 : (이탤릭체로 기울여서) 지난해엔 건국 60주년이라더니…
정부, ‘대한민국’ 임정 90주년 기념행사 확정
건국절 논란 끝내 … ‘3·1절기념’ 문법에 안맞아 ‘3·1운동’으로 변경 필요
정부는 23일 국무총리 주재로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90주년 기념행사 계획을 확정했다. ‘제90주년 3․1절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행사추진위원회’도 발족시켰다.
한승수 국무총리와 김영일 광복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종교계, 언론계, 여성계, 학계, 경제계, 노동계, 문화예술계, 사회단체와 독립운동단체 및 정계인사 대표 33인이 위원으로 위촉됐다.
정부는 이 행사계획을 확정함으로써 지난해 시비를 불렀던 건국절 문제를 매듭지었다. 지난해 정부가 건국60주년을 기념하면서 뉴라이트 등 일부세력들이 1948년 8월15일을 건국절로 삼자고 주장, 항일독립운동세력들의 강력한 반발을 산 바 있다.
이날 회의장에서도 이 문제가 상당시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기념행사 추진위원들은 “지난해에는 대한민국 60주년을 기념하더니 올해는 또 90주년이냐”며 대한민국의 건국기준일을 명확히 할 것을 한 총리에게 요구했다. 반면 정부일각에서는 행사명칭에서 ‘대한민국’을 뺀 채 임시정부만을 사용하자는 의견도 회의 전까지 대두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못박아 ‘제90주년 3․1절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행사’로 정했다. 두 행사를 하나로 묶어 기념하는 이 명칭은 1948년 제정된 제헌헌법과 맥락을 같이한다.
제헌헌법은 서문에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이제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함에 있어서”라고 되어 있다. 3·1운동과 임정수립을 건국으로 보고 1948년 8월15일은 ‘재건’으로 못 박아 놓은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3·1절 기념보다는 3·1운동기념으로 표현을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게 제기됐다. 기념대상은 3·1운동이지 3·1절이 아니기 때문이다. 3·1절은 3·1운동을 기념하는 국가경축일을 의미한다. 문법상으로도 ‘3·1절 기념행사’란 ‘3·1운동을 기념하는 날을 기념하는 행사’라는 뜻이 되어버린다.
추진위원들은 “제주도부터 함경도까지, 중국 미국 등 전세계에 걸쳐, 노동자 농민 서민 여성부터 지식인 양반들까지 모두가 망라돼 전개한 ‘운동’이었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는 이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병기 기자 j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정부, ‘대한민국’ 임정 90주년 기념행사 확정
건국절 논란 끝내 … ‘3·1절기념’ 문법에 안맞아 ‘3·1운동’으로 변경 필요
정부는 23일 국무총리 주재로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90주년 기념행사 계획을 확정했다. ‘제90주년 3․1절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행사추진위원회’도 발족시켰다.
한승수 국무총리와 김영일 광복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종교계, 언론계, 여성계, 학계, 경제계, 노동계, 문화예술계, 사회단체와 독립운동단체 및 정계인사 대표 33인이 위원으로 위촉됐다.
정부는 이 행사계획을 확정함으로써 지난해 시비를 불렀던 건국절 문제를 매듭지었다. 지난해 정부가 건국60주년을 기념하면서 뉴라이트 등 일부세력들이 1948년 8월15일을 건국절로 삼자고 주장, 항일독립운동세력들의 강력한 반발을 산 바 있다.
이날 회의장에서도 이 문제가 상당시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기념행사 추진위원들은 “지난해에는 대한민국 60주년을 기념하더니 올해는 또 90주년이냐”며 대한민국의 건국기준일을 명확히 할 것을 한 총리에게 요구했다. 반면 정부일각에서는 행사명칭에서 ‘대한민국’을 뺀 채 임시정부만을 사용하자는 의견도 회의 전까지 대두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못박아 ‘제90주년 3․1절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행사’로 정했다. 두 행사를 하나로 묶어 기념하는 이 명칭은 1948년 제정된 제헌헌법과 맥락을 같이한다.
제헌헌법은 서문에서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이제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함에 있어서”라고 되어 있다. 3·1운동과 임정수립을 건국으로 보고 1948년 8월15일은 ‘재건’으로 못 박아 놓은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3·1절 기념보다는 3·1운동기념으로 표현을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게 제기됐다. 기념대상은 3·1운동이지 3·1절이 아니기 때문이다. 3·1절은 3·1운동을 기념하는 국가경축일을 의미한다. 문법상으로도 ‘3·1절 기념행사’란 ‘3·1운동을 기념하는 날을 기념하는 행사’라는 뜻이 되어버린다.
추진위원들은 “제주도부터 함경도까지, 중국 미국 등 전세계에 걸쳐, 노동자 농민 서민 여성부터 지식인 양반들까지 모두가 망라돼 전개한 ‘운동’이었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는 이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병기 기자 j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