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공원건립추진협의회와 추모공원부지선정위원회가 5일 추모공원 부지로 2곳을 선정, 서울시장에게 추천함에 따라 추모공원 건립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서울시는 추모공원 부지가 2곳으로 압축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들을 상대로 공청회나 주민설명회 등을 열어 건립규모와 시설, 보상방안 등을 설명한 뒤 토지보상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늦어도 올해안에 착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대상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지역 주민들은 추모공원 건설은 필요하지만 우리동네는 안된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이 예상된다.
◇ 추진배경 = 200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추모공원은 5만여평 규모에 무연·무취 화장로 20기가 설치될 화장장과 5만위가 안치될 수 있는 추모의 집, 공원시설 등이 들어설 첨단 종합장묘시설로 꾸며질 계획이다.
서울시는 장묘시설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완전히 바꿀 수 있도록 최첨단 기술과 최고의 시설로 설계, 시민들이 휴식과 산책 등을 즐기는 쾌적한 공원 개념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가 추모공원을 서두르는 것은 시내 화장률이 50%에 달하게 되면서 현재 설치된 화장장·납골당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금 추세대로라면 내년 3월말이면 현재의 납골시설은 모두 만장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고양시 대자동 장묘사업소내 장재장 납골당 시설 2곳(1만3434위)를 비롯해 용미리1묘지의 왕릉식 납골분며 2곳(8100위)와 옥외벽식 납골시설(5348위) 등은 이미 만장됐으며, 용미리2묘지 납골시설도 전체 수용규모인 3만6945위 가운데 지난 4월말 현재 1만6140위만이 남아 있는 상태다.
◇ 추진과정 = 추모공원 건립 추진은 지난 97년 8월 서울시 장묘시설설치·관리조례가 개정되면서 본격 시작됐다. 이후 실무작업을 거쳐 99년 7월 추모공원 건립 기본계획안이 수립됐으며 같은달 학계·전문가·시민단체·시의원 등으로 추모공원입지선정 자문위원회가 구성됐다.
지난해 1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장묘시설 확보가 의무화되면서 수도권행정협의회를 통해 추모공원 부지 선정을 시 외곽에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했으나 경기도의 반대로 추모공원의 서울시내 건립이 불가피해졌다.
이후 지난해 8월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SK, 서울시 등 3개 기관 대표가 추모공원 건립을 합의했다. 장개협은 추모공원 건립 부지를 선정하고 SK는 추모공원 건립후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며 시는 토지보상, 각종 인·허가 및 건립후 운영을 맡기로 했다.
◇ 주민반발 = 해당 지역 주민들은 “우리지역에 화장장 건립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서초구 추모공원 건립반대 대책위 김덕배 사무처장은 “서울시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상황이 이렇게 된 만큼 철회될때까지 불법적인 방법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또 “고속도로, 시장공관, 시청, 정부종합청사 앞 시위를 계획중”이라며 “원지동 세원마을 지역 노인 3명은 현재 분신하겠다고 나서기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서구 오곡동 주민대책위 대표 김진규씨도 “주민들의 여론에 따라 투쟁 방침을 정할 것”이라며 “왜 우리 동네가 높은 점수를 받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강서구 공항동의 곽판구 구의원은 “절대 안된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강력하게 저지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서울 서초구의 경우 최근까지 후보지 지역주민들로 결사대원 280여명을 조직하고 50여명의 고문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대규모 반대운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추모공원 부지가 2곳으로 압축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들을 상대로 공청회나 주민설명회 등을 열어 건립규모와 시설, 보상방안 등을 설명한 뒤 토지보상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늦어도 올해안에 착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대상지역으로 꼽히고 있는 지역 주민들은 추모공원 건설은 필요하지만 우리동네는 안된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이 예상된다.
◇ 추진배경 = 200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추모공원은 5만여평 규모에 무연·무취 화장로 20기가 설치될 화장장과 5만위가 안치될 수 있는 추모의 집, 공원시설 등이 들어설 첨단 종합장묘시설로 꾸며질 계획이다.
서울시는 장묘시설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완전히 바꿀 수 있도록 최첨단 기술과 최고의 시설로 설계, 시민들이 휴식과 산책 등을 즐기는 쾌적한 공원 개념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가 추모공원을 서두르는 것은 시내 화장률이 50%에 달하게 되면서 현재 설치된 화장장·납골당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금 추세대로라면 내년 3월말이면 현재의 납골시설은 모두 만장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고양시 대자동 장묘사업소내 장재장 납골당 시설 2곳(1만3434위)를 비롯해 용미리1묘지의 왕릉식 납골분며 2곳(8100위)와 옥외벽식 납골시설(5348위) 등은 이미 만장됐으며, 용미리2묘지 납골시설도 전체 수용규모인 3만6945위 가운데 지난 4월말 현재 1만6140위만이 남아 있는 상태다.
◇ 추진과정 = 추모공원 건립 추진은 지난 97년 8월 서울시 장묘시설설치·관리조례가 개정되면서 본격 시작됐다. 이후 실무작업을 거쳐 99년 7월 추모공원 건립 기본계획안이 수립됐으며 같은달 학계·전문가·시민단체·시의원 등으로 추모공원입지선정 자문위원회가 구성됐다.
지난해 1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장묘시설 확보가 의무화되면서 수도권행정협의회를 통해 추모공원 부지 선정을 시 외곽에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했으나 경기도의 반대로 추모공원의 서울시내 건립이 불가피해졌다.
이후 지난해 8월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SK, 서울시 등 3개 기관 대표가 추모공원 건립을 합의했다. 장개협은 추모공원 건립 부지를 선정하고 SK는 추모공원 건립후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며 시는 토지보상, 각종 인·허가 및 건립후 운영을 맡기로 했다.
◇ 주민반발 = 해당 지역 주민들은 “우리지역에 화장장 건립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서초구 추모공원 건립반대 대책위 김덕배 사무처장은 “서울시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상황이 이렇게 된 만큼 철회될때까지 불법적인 방법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또 “고속도로, 시장공관, 시청, 정부종합청사 앞 시위를 계획중”이라며 “원지동 세원마을 지역 노인 3명은 현재 분신하겠다고 나서기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서구 오곡동 주민대책위 대표 김진규씨도 “주민들의 여론에 따라 투쟁 방침을 정할 것”이라며 “왜 우리 동네가 높은 점수를 받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강서구 공항동의 곽판구 구의원은 “절대 안된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강력하게 저지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서울 서초구의 경우 최근까지 후보지 지역주민들로 결사대원 280여명을 조직하고 50여명의 고문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대규모 반대운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