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언론사 세무비리 수사가 10일째 접어들고 있으나 검찰은 여전히 정중동의 자세를 견지하면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언론기업 및 언론 사주를 무더기로 수사하는 상황을 맞아 검찰은 언론탄압이라는 빌미를 제공하지 않고 조세정의 실현이라는 수사 명분을 유지하기 위해 고심하는 흔적이 역력하다.
◇언론-검찰 치열한 신경전= 검찰의 언론사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고발 당사자인 언론은 수사 기관인 검찰의 행보를 읽어내느라 여념이 없었다. 특히 전체 수사의 흐름을 짚을 수 있는 관계자 소환 일정 및 소환 대상 규모를 놓고 언론과 검찰은 유례없는 치열한 신경전을 벌여왔다.
검찰이 언론사 조세포탈 및 언론사주의 개인비리 수사라는 사상초유의 수사를 진행하면서 눈에 띄게 강조하는 것은 수사 보안. 국세청이 6개 언론사와 일부 언론사주를 고발한 지난달 29일 이후 대부분의 언론사가 경리실무자 등 관계자 소환 시기를 이번 주말경으로 확정해 보도하자 검찰은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검찰은 ‘원칙과 정도’에 따른 수사만을 되뇌이며 소환시기 및 소환 대상 규모에 대해 정확한 확인을 피했고 언론의 이에 대한 보도는 날마다 오락가락 할 수밖에 없었다. 양측 신경전의 절정은 1차 소환대상 인원. 일부 언론이 30명선을 언급하자 검찰은 “너무 적지 않냐”고 흘리듯 말했고 이에 언론은 제각기 60∼100명선으로 상향 수정해 보도한 게 대표적인 사례. 검찰관계자는 “수사일정을 낱낱히 밝히기 어려운 상황이다 보니 언론보도를 보면 원래 수사 일정이 헛갈릴 지경”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초호화 변호인단 구성= 검찰 주변에서 일부 사주의 구속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분분한 가운데 해당 언론사들은 최강의 변호단 구성에 전력하고 있다. 최근 각 언론사가 접촉한 변호사들의 면면을 살피면 과거 법원이나 검찰 수뇌부를 그대로 옮겨논 형국.
조선일보는 송무분야에 국내 최고라는 법무법인 태평양이 주력부대다. ‘당대 최고 검사’로 불리던 이명재 전 서울고검장이 선두에 섰고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 특별검사를 지낸 강원일 변호사, 최광률 전 헌재재판관 등이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다.
국민일보는 김대중 대통령의 야당 총재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조승형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에게 선임을 의뢰했으며 중앙일보도 국내 최대 로펌인 ‘김&장’의 선임을 추진 중이다. 동아일보는 옷로비 의혹 사건의 이종왕 변호사와 서울지검 특수부 출신의 양신석 검사 등을 접촉 중이다.
◇검찰, 철통보안 강조= 언론사 수사 배경을 놓고 갖가지 설들이 제기되면서 검찰은 언론 접촉에 신중함을 보이는 동시에 일말의 오해도 사지 않으려는 듯 집안 단속에 여념없는 모습이다.
검찰은 우선 기자들과의 접촉을 박상길 서울지검 3차장으로 한정시키면서 대언론창구를 단일화시켰다. 이에따라 다른 수사검사들은 약속이나 한 듯 이번 언론사 수사와 관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으며 특히 사실상 대언론 수사의 야전사령관격인 특수부 1, 2, 3부장들은 예전과 달리 수사보안에 극도로 민감한 모습이다. 검찰 한 관계자는 “윗선에서 언론수사와 관련해 함구령이 내렸다”고 전하기도 했다.
검찰 고위관계자들도 전례없이 언론에 예민한 상황임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김대웅 서울지검장 등 고위관계자들은 사건 초반부터 ‘초상권 보장’을 요구하며 카메라 및 사진기자들의 후레쉬 세례를 거부했다. 이를 놓고 취재기자들이 “검찰이 지나치게 몸을 사린다”며 강력 반발하자 한차례에 한해 사진 촬영에 협조하기로 타협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언론사 추가 고발 잇따라= 국세청의 언론사 세무비리 고발이후 언론관련 단체들의 고발기 잇따르고 있다. 전국사무금융노조연맹은 지난 3일 “조선일보 방우영 회장과 방상훈 사장 등 경영진이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꾀하며 언론계의 공정경쟁을 저해하고 국가경쟁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며 이들을 업무상 배임혐의로 서울지검에 고발했다.
5일에는 전국언론노동조합이 한국일보 장재국 회장을 비롯한 사주 일가 11명을 무더기로 고발했다. 이들은 장씨 일가가 불투명 경영을 일삼으며 회사를 최악의 상황으로 끌고 갔다며 즉각적인 퇴진과 법적 심판을 요구했다. 이와함께 한국일보 노조는 경영 정상화와 편집권 보장 등을 요구하며 이날 12시간 동안 시한부 제작거부를 벌이기도 했다.
언론단체는 “이번 언론사 세무비리 조사가 언론탄압이라는 야당의 정치공세에도 불구하고 언론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일부 보수 언론 및 야당은 역사의 준엄한 소명의식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검찰 치열한 신경전= 검찰의 언론사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고발 당사자인 언론은 수사 기관인 검찰의 행보를 읽어내느라 여념이 없었다. 특히 전체 수사의 흐름을 짚을 수 있는 관계자 소환 일정 및 소환 대상 규모를 놓고 언론과 검찰은 유례없는 치열한 신경전을 벌여왔다.
검찰이 언론사 조세포탈 및 언론사주의 개인비리 수사라는 사상초유의 수사를 진행하면서 눈에 띄게 강조하는 것은 수사 보안. 국세청이 6개 언론사와 일부 언론사주를 고발한 지난달 29일 이후 대부분의 언론사가 경리실무자 등 관계자 소환 시기를 이번 주말경으로 확정해 보도하자 검찰은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검찰은 ‘원칙과 정도’에 따른 수사만을 되뇌이며 소환시기 및 소환 대상 규모에 대해 정확한 확인을 피했고 언론의 이에 대한 보도는 날마다 오락가락 할 수밖에 없었다. 양측 신경전의 절정은 1차 소환대상 인원. 일부 언론이 30명선을 언급하자 검찰은 “너무 적지 않냐”고 흘리듯 말했고 이에 언론은 제각기 60∼100명선으로 상향 수정해 보도한 게 대표적인 사례. 검찰관계자는 “수사일정을 낱낱히 밝히기 어려운 상황이다 보니 언론보도를 보면 원래 수사 일정이 헛갈릴 지경”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초호화 변호인단 구성= 검찰 주변에서 일부 사주의 구속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분분한 가운데 해당 언론사들은 최강의 변호단 구성에 전력하고 있다. 최근 각 언론사가 접촉한 변호사들의 면면을 살피면 과거 법원이나 검찰 수뇌부를 그대로 옮겨논 형국.
조선일보는 송무분야에 국내 최고라는 법무법인 태평양이 주력부대다. ‘당대 최고 검사’로 불리던 이명재 전 서울고검장이 선두에 섰고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 특별검사를 지낸 강원일 변호사, 최광률 전 헌재재판관 등이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다.
국민일보는 김대중 대통령의 야당 총재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조승형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에게 선임을 의뢰했으며 중앙일보도 국내 최대 로펌인 ‘김&장’의 선임을 추진 중이다. 동아일보는 옷로비 의혹 사건의 이종왕 변호사와 서울지검 특수부 출신의 양신석 검사 등을 접촉 중이다.
◇검찰, 철통보안 강조= 언론사 수사 배경을 놓고 갖가지 설들이 제기되면서 검찰은 언론 접촉에 신중함을 보이는 동시에 일말의 오해도 사지 않으려는 듯 집안 단속에 여념없는 모습이다.
검찰은 우선 기자들과의 접촉을 박상길 서울지검 3차장으로 한정시키면서 대언론창구를 단일화시켰다. 이에따라 다른 수사검사들은 약속이나 한 듯 이번 언론사 수사와 관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으며 특히 사실상 대언론 수사의 야전사령관격인 특수부 1, 2, 3부장들은 예전과 달리 수사보안에 극도로 민감한 모습이다. 검찰 한 관계자는 “윗선에서 언론수사와 관련해 함구령이 내렸다”고 전하기도 했다.
검찰 고위관계자들도 전례없이 언론에 예민한 상황임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김대웅 서울지검장 등 고위관계자들은 사건 초반부터 ‘초상권 보장’을 요구하며 카메라 및 사진기자들의 후레쉬 세례를 거부했다. 이를 놓고 취재기자들이 “검찰이 지나치게 몸을 사린다”며 강력 반발하자 한차례에 한해 사진 촬영에 협조하기로 타협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언론사 추가 고발 잇따라= 국세청의 언론사 세무비리 고발이후 언론관련 단체들의 고발기 잇따르고 있다. 전국사무금융노조연맹은 지난 3일 “조선일보 방우영 회장과 방상훈 사장 등 경영진이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꾀하며 언론계의 공정경쟁을 저해하고 국가경쟁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며 이들을 업무상 배임혐의로 서울지검에 고발했다.
5일에는 전국언론노동조합이 한국일보 장재국 회장을 비롯한 사주 일가 11명을 무더기로 고발했다. 이들은 장씨 일가가 불투명 경영을 일삼으며 회사를 최악의 상황으로 끌고 갔다며 즉각적인 퇴진과 법적 심판을 요구했다. 이와함께 한국일보 노조는 경영 정상화와 편집권 보장 등을 요구하며 이날 12시간 동안 시한부 제작거부를 벌이기도 했다.
언론단체는 “이번 언론사 세무비리 조사가 언론탄압이라는 야당의 정치공세에도 불구하고 언론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일부 보수 언론 및 야당은 역사의 준엄한 소명의식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