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중소기업 지원 본연역할 충실해야"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0일 "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 부실 여신을 조속히 정리하고 수익모델을 개발해이익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21일 금융감독원에서 열리는 `저축은행의 경영 건전성 제고를 위한 워크숍''에 앞서 미리 배포한 격려사를 통해 "아직도 시장에서는 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감독당국도 저축은행이 손실흡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본 확충, 배당 자제,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며 "부실 저축은행에대한 인수.합병(M&A) 등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우리 경제는 아직 회복 강도가 약하고 대외여건도 여전히 불확실해 본격적인 회복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따라서 저축은행업계가 섣부른 낙관론에 편승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대형 저축은행은 은행 수준의 리스크(위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며 "출자자 대출 등 대주주의 부당한 경영 간섭으로 저축은행이 부실화되지 않도록 하고 높은 수준의 건전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서민과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며 "저축은행이 원활히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때 금융수요자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고강조했다.
kms1234@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0일 "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 부실 여신을 조속히 정리하고 수익모델을 개발해이익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21일 금융감독원에서 열리는 `저축은행의 경영 건전성 제고를 위한 워크숍''에 앞서 미리 배포한 격려사를 통해 "아직도 시장에서는 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감독당국도 저축은행이 손실흡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본 확충, 배당 자제,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며 "부실 저축은행에대한 인수.합병(M&A) 등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우리 경제는 아직 회복 강도가 약하고 대외여건도 여전히 불확실해 본격적인 회복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따라서 저축은행업계가 섣부른 낙관론에 편승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대형 저축은행은 은행 수준의 리스크(위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며 "출자자 대출 등 대주주의 부당한 경영 간섭으로 저축은행이 부실화되지 않도록 하고 높은 수준의 건전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서민과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저축은행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며 "저축은행이 원활히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때 금융수요자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고강조했다.
kms1234@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