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시장·군수협의회가 낙동강특별법과 관련해 반대 세부안을 작성, 환경부와 토론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세운 가운데 낙동강을 끼고 있는 유역 도시의 YMCA 대표들이 경북도와 경남·부산 사이의 ‘동-동 갈등’을 극복하는 의견조율에 착수함에 따라 낙동강특별법을 둘러싼 갈등이 새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특히 낙동강특별법 세부안에 대한 꼼꼼한 평가와 지역별 의견조율이라는 새로운 과정에 들
어감에 따라 대규모 집회를 중심으로 진행돼 왔던 ‘반대운동’의 변화 방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안동을 비롯한 문경, 영주 등 낙동강 상류지역 YMCA 대표들과 대구, 구미 등 중류지역, 부
산, 진주 등 하류지역 YMCA 대표들은 지난 10일 구미에 모여 허심탄회한 의견 개진을 펼
쳤다.
이 자리에서 안동 YMCA 대표는 “경북북부지역민의 경우 그동안 안동·임하 양댐으로 수
십년간 피해를 입어왔다”며 “낙동강특별법이 현행대로 통과된다면 북부지역민의 생존권은
완전히 짓밟히게 될 것”이라며 기존의 입장을 확고히했다.
반면 부산 YMCA의 관계자는 “부산 역시 낙동강의 오염된 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며 “경북도민들의 생존권을 무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낙동강을 살리자는 것이
부사지역민의 한결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YMCA연맹 관계자는 “낙동강특별법은 개별지역의 문제가 아닌 영남권 전
체의 문제”라며 “좀더 생각을 가지고 접근할 때 강의 이용과 보존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
임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3시간여 동안 진행된 회의는 뚜렷한 결말이나 공동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막을 내
렸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갈등과 충돌만 반복되어 오던 그동안의 상황을 뛰어넘어 ‘상생
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해 추후 의견조율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특히 낙동강특별법 세부안에 대한 꼼꼼한 평가와 지역별 의견조율이라는 새로운 과정에 들
어감에 따라 대규모 집회를 중심으로 진행돼 왔던 ‘반대운동’의 변화 방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안동을 비롯한 문경, 영주 등 낙동강 상류지역 YMCA 대표들과 대구, 구미 등 중류지역, 부
산, 진주 등 하류지역 YMCA 대표들은 지난 10일 구미에 모여 허심탄회한 의견 개진을 펼
쳤다.
이 자리에서 안동 YMCA 대표는 “경북북부지역민의 경우 그동안 안동·임하 양댐으로 수
십년간 피해를 입어왔다”며 “낙동강특별법이 현행대로 통과된다면 북부지역민의 생존권은
완전히 짓밟히게 될 것”이라며 기존의 입장을 확고히했다.
반면 부산 YMCA의 관계자는 “부산 역시 낙동강의 오염된 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며 “경북도민들의 생존권을 무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낙동강을 살리자는 것이
부사지역민의 한결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YMCA연맹 관계자는 “낙동강특별법은 개별지역의 문제가 아닌 영남권 전
체의 문제”라며 “좀더 생각을 가지고 접근할 때 강의 이용과 보존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
임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3시간여 동안 진행된 회의는 뚜렷한 결말이나 공동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막을 내
렸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갈등과 충돌만 반복되어 오던 그동안의 상황을 뛰어넘어 ‘상생
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해 추후 의견조율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