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재테크 짭짤…주식.펀드 20%↑

지역내일 2009-07-06
금ㆍ채권 ''OK''…부동산도 꿈틀

(서울=연합뉴스) 곽세연 기자 = 올해 상반기 재테크시장은 맑았다.주식, 펀드는 6개월새 평균 20% 이상의 수익률을 올렸고, 금과 채권은 전반적으로 투자 매력이 떨어졌지만 선전했다. 부동산시장도 봄기운이 감돌고 있다.작년 하반기 이후 계속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투자의 기회로 삼았다면 꽤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었다. 실제 브라질펀드로 100% 이상 수익을 내고, 기아차 신주인수권부사채(BW)로 차를 바꾸고 쌍용차 단타로 3배를 먹었다는 등 주위에서 돈 벌었다는 얘기도 심심찮게 들렸다. 재테크 전문가들은 하반기에는 상승 탄력이 떨어질 것으로 보면서 주식, 펀드, 금 등 한 분야를 고르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분야에 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라고 조언했다.◇ 주식형펀드 수익률 고공행진국내외 증시가 급반등하면서 수익률이 회복돼 상반기 국내외 주식형펀드에서 발생한 이익은 국내 6조5천537억원, 해외 9조6천565억원 등 총 16조2천102억원으로 추산됐다.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설정기간 1개월,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 714개의 상반기 유형 평균 수익률은 26.00%였다. 해외주식형펀드 774개도 33.01%를 기록했다. 반기 기준으로 국내주식형펀드 수익률은 2005년 하반기 이후3년 만에 가장 높았고, 해외주식형펀드는 사상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국내주식형펀드의 1년 수익률은 -11.96%, 해외주식형은 -23.70%로 회복됐다. 국내, 해외주식형펀드 가운데 수익률이 가장 좋은 ''마이트리플스타''와 ''미래에셋인디아인프라섹터''의 경우 연초 이후 수익률이 90% 안팎에 달했다.

◇ 주식 직접투자 재미 쏠쏠…코스닥 46%↑작년 기록적인 폭락세를 보였던 코스피지수가 급반등에 나서 주식 직접투자도 꽤 재미를 봤다.
코스피지수는 작년 말 1,124.47에서 지난달 30일 1,390.07로 마감해 23.62%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작년 말 332.05에서 485.15로 무려 46.11%나 올라 주요국 증시 가운데 상승률 7위를 기록했다. 특히 공모주는 대박 공식이 성립됐다. 30개 신규 상장기업의 공모가 대비 지난달 말 주가 상승률은 평균 96.7%에 달했다. 개인 청약 경쟁률이 높아 손에 쥐는 물량은 많지 않았지만, 배정만 받으면 단기간 높은 수익을 안겨준 효자였다.

◇ 채권도 괜찮아한국채권평가의 종합채권지수는 작년 말 162.60이었으나 6월 말 현재 166.94로 상승해 2.67%의 수익을 냈다. 국내 시장에 투자되는 공모 채권형펀드 94개의 평균 수익률도 2.35%를 기록했다.
작년 하반기만큼 높은 수익률을 올리지는 못했지만, 1년 수익률은 8.00%로 ''예금금리+α'' 수준을 유지했다.주식 관련 채권이나 회사채는 어려운 시기에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들의 수요가 늘면서 투자자에게 유리한 구조로 나와 수익률이 더 높았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경우 기아차, 대우차판매, 코오롱 등이 짭짤했다.
◇ 금 투자 선전계좌를 이용해 금 거래를 할 수 있는 신한은행의 ''골드리슈금적립'' 상품은 2008년 말 매매기준가격이 1g 3만7천296원에서 6월30일 3만8천661원으로 3.65%의 수익률을 올렸다. 매매시 필요한 수수료 등을 감안하면 2% 정도로, 두자릿대를 기록하던작년에 비해 수익률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에 비해 금펀드는 금 외에 원자재 값이 고공행진을 벌이면서 ''블랙록월드골드''와 ''기은SG골드마이닝''은 각각 연초 이후 수익률이 20.06%, 13.78%를 나타냈다.
◇ 부동산 강남 중심으로 기지개국민은행의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전국 집값은 작년 말보다 0.6% 하락했으며 서울로 한정해도 0.3% 내렸다. 아파트도 작년 말보다 전국과 서울이 각각 0.8%와 0.3% 내렸다.
1분기만 해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이어진 글로벌 경기침체로 1.0% 떨어졌으나 2분기 들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와 재건축 규제완화, 개발호재와 주택가격 바닥 등이 맞물리면서 0.4% 반등해 작년 말 대비 하락폭을 다소 만회했다이 영향으로 강남 등 일부 지역은 오름세로 돌아섰다. 재건축 아파트가 상승을 견인한 강남지역은 강남구(1.8%), 강동구(4.9%), 송파구(0.1%), 양천구(3.1%)는 올라 하락세가 멈췄고, 지난해 큰 폭으로 하락했던 과천은 전년 말 대비 10.3% 상승하는 급등세를 기록했다.
ksyeo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