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20주 연속 상승하면서 8개월만에 3.3㎡ 600만원으로 올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서울 아파트 120만134가구를 대상으로 전세가격을 조사한 결과 3.3㎡당 600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10월 최고 3.3㎡ 당 608만원까지 올랐으나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다. 전세가격은 올 2월 585만원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20주 연속 올라 8개월만에 600만원대를 회복했다.
오름세로 돌아선 2월 이후 현재까지 구별 변동액을 살펴보면 송파구가 668만원에서 735만원으로 67만원(10%) 올라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서초구가 37만원(4.77%) 상승한 812만원, 강남구는 30만원(3.52%) 오른 883만원을 기록했다. 강동구는 23만원(4.57%) 뛴 526만원으로 조사됐다. 비강남권에서는 송파구와 인접한 광진구가 28만원(4.49%) 상승한 652만원을 기록했다. 강서구는 지하철 9호선의 영향으로 18만원(3.69%) 오른 506만원으로 조사돼 사상 최고가를 넘어섰다.
공재걸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1분기에는 강남 등 일부 지역만 강세였지만 2분기 들어서는 강북 등 대부분 지역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서울 아파트 120만134가구를 대상으로 전세가격을 조사한 결과 3.3㎡당 600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10월 최고 3.3㎡ 당 608만원까지 올랐으나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로 전환됐다. 전세가격은 올 2월 585만원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20주 연속 올라 8개월만에 600만원대를 회복했다.
오름세로 돌아선 2월 이후 현재까지 구별 변동액을 살펴보면 송파구가 668만원에서 735만원으로 67만원(10%) 올라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서초구가 37만원(4.77%) 상승한 812만원, 강남구는 30만원(3.52%) 오른 883만원을 기록했다. 강동구는 23만원(4.57%) 뛴 526만원으로 조사됐다. 비강남권에서는 송파구와 인접한 광진구가 28만원(4.49%) 상승한 652만원을 기록했다. 강서구는 지하철 9호선의 영향으로 18만원(3.69%) 오른 506만원으로 조사돼 사상 최고가를 넘어섰다.
공재걸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1분기에는 강남 등 일부 지역만 강세였지만 2분기 들어서는 강북 등 대부분 지역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