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각국 전문가들의 아이디어가 서울에 쏟아졌다.
7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는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공동 주최한 ‘축산발생 온실가스 국제워크숍’이 열렸다. 10일까지 4일간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을 비롯 일본 미국 캐나다 중국 베트남 등 12개국 전문가들이 참석해 각국의 온실가스 정책을 확인하고 축산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첫째날 발표에 나선 중국 농업과학아카데미의 유에 리 박사는 “거대하게 발전하는 중국의 축산이 과거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축 사육밀도를 조절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에서 온 웬디 파워 박사는 “미국에선 중서부지역 온실가스 저감합의, 동북부지역 온난화가스발의, 서부 기후협약 등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워크숍에서 농진청은 쇠고기와 우유 생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 트림을 줄이기 위해 장내 메탄가스 생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사료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농진청은 지방산 성분이 소의 장내 박테리아의 활성을 억제시켜 메탄가스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2005년 국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5억9000만톤이며 이중 농업이 차지하는 양은 1470만톤, 축산 부문은 570만톤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 정도가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의 장내 발효와 축분 분해 과정에서 나온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7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는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공동 주최한 ‘축산발생 온실가스 국제워크숍’이 열렸다. 10일까지 4일간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을 비롯 일본 미국 캐나다 중국 베트남 등 12개국 전문가들이 참석해 각국의 온실가스 정책을 확인하고 축산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첫째날 발표에 나선 중국 농업과학아카데미의 유에 리 박사는 “거대하게 발전하는 중국의 축산이 과거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축 사육밀도를 조절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에서 온 웬디 파워 박사는 “미국에선 중서부지역 온실가스 저감합의, 동북부지역 온난화가스발의, 서부 기후협약 등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워크숍에서 농진청은 쇠고기와 우유 생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 트림을 줄이기 위해 장내 메탄가스 생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사료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농진청은 지방산 성분이 소의 장내 박테리아의 활성을 억제시켜 메탄가스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바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2005년 국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량으로 5억9000만톤이며 이중 농업이 차지하는 양은 1470만톤, 축산 부문은 570만톤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 정도가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의 장내 발효와 축분 분해 과정에서 나온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