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현장까지 기술이전 빨라진다
농촌진흥청 등에서 개발한 농업기술을 농업현장에 전달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농진청(청장 김재수)은 오는 7일 농업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설립한다고 3일 발표했다. 농업기술 실용화를 촉진하는 최초의 전문기구가 탄생하는 것이다.
◆연구개발성과 사업화 = 김재수 농진청장은 “그동안 농진청에서 좋은 기술을 개발해놓고도 실용화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았다”며 “그 이유는 연구를 위한 연구 때문이기도 했고, 연구자가 실용화까지 담당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업무수행 방식에서 비롯된 것도 있어 이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재단을 설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은 연구개발 성과를 마케팅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종자·종묘의 실증평가 및 보급업무도 맡고 농자재, 농식품, 토양, 수질 등 농업환경 분석 및 검정업무도 담당한다.
농진청은 재단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농진청의 토지와 건물 장비 등을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국회에 관련 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우수인력 포진 = 재단은 기획운영부, 기술마케팅부 등 4부 11팀 3센터 161명 정원으로 구성됐다. 농진청은 재단설립을 앞두고 조직을 개편해 120명의 정원을 축소하고, 재단으로 이동할 인원을 선발했다.
농진청에서 재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무원에서 민간인으로 신분이 바뀌게 돼 농진청 내부에선 재단이 우수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란 비관론이 제기됐지만 결과는 달랐다.
농진청에서 89명이 재단근무를 희망했지만 농진청 차장을 위원장으로 한 선발위원회는 심사를 통해 67명만 받았다. 여인홍 농진청 기획조정관은 “농진청에서 자리잡지 못한 사람이 재단으로 옮긴다는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재단설립취지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받지 않았다”며 “재단의 성공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는 우수인력을 통해 가능하다”고 말했다.
농진청의 한 관계자는 “22명이 탈락되자 재단근무가 확정된 사람들이 ‘재단에 붙었다’며 좋아한다”며 “마지못해 재단으로 옮기는 듯한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농진청은 우수인력을 구하기 위해 △재단직원의 정년을 공무원과 같이 하고 △보수도 상향조정했다. 인센티브 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농진청은 전북으로 옮기지만 재단은 수원에 남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농촌진흥청 등에서 개발한 농업기술을 농업현장에 전달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농진청(청장 김재수)은 오는 7일 농업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설립한다고 3일 발표했다. 농업기술 실용화를 촉진하는 최초의 전문기구가 탄생하는 것이다.
◆연구개발성과 사업화 = 김재수 농진청장은 “그동안 농진청에서 좋은 기술을 개발해놓고도 실용화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았다”며 “그 이유는 연구를 위한 연구 때문이기도 했고, 연구자가 실용화까지 담당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업무수행 방식에서 비롯된 것도 있어 이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재단을 설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은 연구개발 성과를 마케팅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종자·종묘의 실증평가 및 보급업무도 맡고 농자재, 농식품, 토양, 수질 등 농업환경 분석 및 검정업무도 담당한다.
농진청은 재단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농진청의 토지와 건물 장비 등을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국회에 관련 법 개정안을 제출했다.
◆우수인력 포진 = 재단은 기획운영부, 기술마케팅부 등 4부 11팀 3센터 161명 정원으로 구성됐다. 농진청은 재단설립을 앞두고 조직을 개편해 120명의 정원을 축소하고, 재단으로 이동할 인원을 선발했다.
농진청에서 재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무원에서 민간인으로 신분이 바뀌게 돼 농진청 내부에선 재단이 우수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란 비관론이 제기됐지만 결과는 달랐다.
농진청에서 89명이 재단근무를 희망했지만 농진청 차장을 위원장으로 한 선발위원회는 심사를 통해 67명만 받았다. 여인홍 농진청 기획조정관은 “농진청에서 자리잡지 못한 사람이 재단으로 옮긴다는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재단설립취지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받지 않았다”며 “재단의 성공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는 우수인력을 통해 가능하다”고 말했다.
농진청의 한 관계자는 “22명이 탈락되자 재단근무가 확정된 사람들이 ‘재단에 붙었다’며 좋아한다”며 “마지못해 재단으로 옮기는 듯한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농진청은 우수인력을 구하기 위해 △재단직원의 정년을 공무원과 같이 하고 △보수도 상향조정했다. 인센티브 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농진청은 전북으로 옮기지만 재단은 수원에 남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