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년 맞은 한나라당 ‘민본21’
지난해 5월 광화문을 가득채운 거대한 촛불 앞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암담해졌다. 집권의 첫 발도 못 뗀 이명박정부와 거대여당이 국민과의 소통에 실패한 현실에 참담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촛불이 사그라진 9월, 한나라당 초선의원 12명은 민본(民本)의 이름을 내걸고 모였다. 국민을 근본에 둔 정치를 하자는 취지였다.
민본21이 결성 1주년을 맞았다. 미래연대(16대)와 수요모임(17대)의 전통을 잇는 여당내 개혁적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은 그동안 여권 쇄신과 정치개혁, 국민통합에 앞장서면서 주목을 끌었다.
민본21은 결성 초기 여권의 우편향 정책을 바로잡는데 집중했다. 지난해 9월 다주택소유자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반대하고 나섰다. 11월엔 정부의 감세기조에 대해 “고소득층과 대기업의 감세 폭과 시기를 조정하자”고 제안했다. 서민 지원예산을 대폭 늘리자고 주장했다.
활약상은 당정청 쇄신에서 더욱 빛났다. 4월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참패한 직후 당내에선 “덮고가자”는 흐름이 강했지만, 민본21은 “이대론 안된다”며 “국정기조를 중도실용으로 잡고 서민의 위화감을 부르는 편향된 정책기조를 수정하라”고 요구했다. 당정청의 인적쇄신 필요성도 제기했다. 청와대 눈치나 살피고 “시키면 무조건 따르는” 일방통행식 당 운영에 익숙한 한나라당으로선 신선한 충격이었다.
결국 청와대는 중도실용으로의 복귀를 선언했고 청와대와 내각을 일신했다. 박희태 당 대표가 물러났다. 쇄신특위가 설치돼 당정청 쇄신안을 내놓았다.
민본21의 차별성은 모임특유의 성실성에서 비롯됐다는 평이다. 매주 목요일 조찬세미나를 빼놓지않았다. 치열한 토론을 통해 회원 3분의 2가 찬성하면 소수자도 이에 따르는 다수결문화를 뿌리내린 것도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다만 민본21도 한나라당의 고질병인 계파갈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했다. 민본21은 친이와 친박이 뒤섞여있다. 이 때문에 조기전당대회 개최 등 계파 이해가 첨예하게 맞선 사안을 놓고는 단일한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않았다.
민본21은 활동보고서를 통해 “민심에 부응하는 정부·여당으로 거듭나는데 불쏘시개가 되고자했으나 진전도 있었고 한계도 많았다”고 토로했다.
민본21은 10일 결성 2년차 활동이 시작됨을 알렸다. 1기 간사였던 김성식·주광덕 의원이 임기만료로 물러나고, 권영진·황영철 의원을 2기 간사로 선출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난해 5월 광화문을 가득채운 거대한 촛불 앞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암담해졌다. 집권의 첫 발도 못 뗀 이명박정부와 거대여당이 국민과의 소통에 실패한 현실에 참담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촛불이 사그라진 9월, 한나라당 초선의원 12명은 민본(民本)의 이름을 내걸고 모였다. 국민을 근본에 둔 정치를 하자는 취지였다.
민본21이 결성 1주년을 맞았다. 미래연대(16대)와 수요모임(17대)의 전통을 잇는 여당내 개혁적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은 그동안 여권 쇄신과 정치개혁, 국민통합에 앞장서면서 주목을 끌었다.
민본21은 결성 초기 여권의 우편향 정책을 바로잡는데 집중했다. 지난해 9월 다주택소유자 종합부동산세 폐지를 반대하고 나섰다. 11월엔 정부의 감세기조에 대해 “고소득층과 대기업의 감세 폭과 시기를 조정하자”고 제안했다. 서민 지원예산을 대폭 늘리자고 주장했다.
활약상은 당정청 쇄신에서 더욱 빛났다. 4월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참패한 직후 당내에선 “덮고가자”는 흐름이 강했지만, 민본21은 “이대론 안된다”며 “국정기조를 중도실용으로 잡고 서민의 위화감을 부르는 편향된 정책기조를 수정하라”고 요구했다. 당정청의 인적쇄신 필요성도 제기했다. 청와대 눈치나 살피고 “시키면 무조건 따르는” 일방통행식 당 운영에 익숙한 한나라당으로선 신선한 충격이었다.
결국 청와대는 중도실용으로의 복귀를 선언했고 청와대와 내각을 일신했다. 박희태 당 대표가 물러났다. 쇄신특위가 설치돼 당정청 쇄신안을 내놓았다.
민본21의 차별성은 모임특유의 성실성에서 비롯됐다는 평이다. 매주 목요일 조찬세미나를 빼놓지않았다. 치열한 토론을 통해 회원 3분의 2가 찬성하면 소수자도 이에 따르는 다수결문화를 뿌리내린 것도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다만 민본21도 한나라당의 고질병인 계파갈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했다. 민본21은 친이와 친박이 뒤섞여있다. 이 때문에 조기전당대회 개최 등 계파 이해가 첨예하게 맞선 사안을 놓고는 단일한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않았다.
민본21은 활동보고서를 통해 “민심에 부응하는 정부·여당으로 거듭나는데 불쏘시개가 되고자했으나 진전도 있었고 한계도 많았다”고 토로했다.
민본21은 10일 결성 2년차 활동이 시작됨을 알렸다. 1기 간사였던 김성식·주광덕 의원이 임기만료로 물러나고, 권영진·황영철 의원을 2기 간사로 선출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