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평균="" pf="" 연체율="" 등="" 관련="" 내용="" 추가="">>연체채권 1년3개월새 3배로 급증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금융회사가 보유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연체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운데 부실처리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6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오제세(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금융권의 PF 대출잔액은 83조7천819억 원으로2007년 말에 비해 18.5% 급증했다.
같은 기간 은행.상호저축은행.보험.증권.자산운용.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등권역별로 PF 연체율이 대부분 급상승하면서 연체채권 규모는 1조8천960억 원에서 5조6천79억 원으로 3배로 불어났다.
금융권 평균 PF 연체율도 2.68%에서 6.69%로 뛰어올랐다.3월 말 현재 PF 대출잔액이 54조8천591억 원으로 가장 많은 은행권의 연체율이 0.48%에서 3.1%로 급상승했고 저축은행(10조5천억 원. 이하 PF대출잔액)의 연체율도11.6%에서 14.5%로 상승했다.
자산운용사(5조4천500억 원)의 PF 연체율은 0.05%에서 무려 23.9%로 뛰어올랐고, 증권사(2조8천억 원)도 4.6%에서 25.2%로 급상승했다.
보험(5조4천억 원)은 2.8%에서 3.0%, 여전사(3조8천628억 원)는 1.3%에서 5.6%로 각각 PF 연체율이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작년 9월 말 경제위기가 불거진 이후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PF 연체율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며 "올해 3월 말 이후 연체율이 다소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PF 부실이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작년 말부터 금융권의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자산관리공사는 작년 말과 올해 초에 상호저축은행이 보유한 PF 부실채권을 1조7천억 원(채권가액 기준) 규모로 우선 매입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3월 말에도 은행 등 나머지 금융권이 보유한 4조원대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은행권이 보유한 PF 부실채권을 8천억 원 규모로 사들이는데 그치고 있고 저축은행을 제외한 제2금융권의 매입실적은 전무한 상태다.
특히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는 PF대출 연체율이 20%대로 위험관리를 제대로 못했는데도 부실채권 매각을 꺼리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감독당국 관계자는 "부실 PF 매입을 위해 현재 자산관리공사와 금융회사들이 협상을 벌이고 있다"며 "매각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PF 대출은 대체로 부동산 담보가 있는 채권이라서 매입가격을 두고 양측이 이견을 조율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펀드(자산운용사)는 투자자들의 동의가 필요해 절차가 더 복잡하다"면서 "연말까지는 부실 PF 매입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ho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금융권>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금융회사가 보유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연체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운데 부실처리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6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오제세(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금융권의 PF 대출잔액은 83조7천819억 원으로2007년 말에 비해 18.5% 급증했다.
같은 기간 은행.상호저축은행.보험.증권.자산운용.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등권역별로 PF 연체율이 대부분 급상승하면서 연체채권 규모는 1조8천960억 원에서 5조6천79억 원으로 3배로 불어났다.
금융권 평균 PF 연체율도 2.68%에서 6.69%로 뛰어올랐다.3월 말 현재 PF 대출잔액이 54조8천591억 원으로 가장 많은 은행권의 연체율이 0.48%에서 3.1%로 급상승했고 저축은행(10조5천억 원. 이하 PF대출잔액)의 연체율도11.6%에서 14.5%로 상승했다.
자산운용사(5조4천500억 원)의 PF 연체율은 0.05%에서 무려 23.9%로 뛰어올랐고, 증권사(2조8천억 원)도 4.6%에서 25.2%로 급상승했다.
보험(5조4천억 원)은 2.8%에서 3.0%, 여전사(3조8천628억 원)는 1.3%에서 5.6%로 각각 PF 연체율이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작년 9월 말 경제위기가 불거진 이후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PF 연체율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며 "올해 3월 말 이후 연체율이 다소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PF 부실이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작년 말부터 금융권의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자산관리공사는 작년 말과 올해 초에 상호저축은행이 보유한 PF 부실채권을 1조7천억 원(채권가액 기준) 규모로 우선 매입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3월 말에도 은행 등 나머지 금융권이 보유한 4조원대 PF 부실채권을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은행권이 보유한 PF 부실채권을 8천억 원 규모로 사들이는데 그치고 있고 저축은행을 제외한 제2금융권의 매입실적은 전무한 상태다.
특히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는 PF대출 연체율이 20%대로 위험관리를 제대로 못했는데도 부실채권 매각을 꺼리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감독당국 관계자는 "부실 PF 매입을 위해 현재 자산관리공사와 금융회사들이 협상을 벌이고 있다"며 "매각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PF 대출은 대체로 부동산 담보가 있는 채권이라서 매입가격을 두고 양측이 이견을 조율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펀드(자산운용사)는 투자자들의 동의가 필요해 절차가 더 복잡하다"면서 "연말까지는 부실 PF 매입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ho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금융권>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