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지지도가 20%대까지 떨어졌던 지난 5~6월, 한나라당에서는 “누가 나가도 10월 재보궐선거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패배감이 팽배했다.
‘5대0’이라는 4월 재보선 완패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겹치면서 지지율 ‘10%대’의 촛불정국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도 컸다. ‘근원적 처방’을 요구하는 쇄신파동으로 당은 ‘자중지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당시 한나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10월 재보선 지역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만큼 국정운영의 동력이 급격하게 상실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10월 선거는 없다”는 친이직계 의원의 말대로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고등법원 선고도 연기됐다. “선거재판은 가급적 빨리 끝내겠다”고 공언했던 법원에는 정부여당과 ‘코드’를 맞추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8월을 거치면서 한나라당 분위기는 “해볼 만하다”는 쪽으로 반전됐다. 촛불정국 이후 20~30%대 박스권을 형성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돌파하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경기 안산상록을, 경남 양산, 강원 강릉 등 3곳 이외에도 선거지역을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은평을 지역이 10월 재보선 지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말했다”는 4일 한 라디오방송 보도로 여의도가 홍역을 치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현실은 녹녹하지 않다. 우선 ‘공천지뢰밭’을 무사히 건너야 한다. 공천과정에서 탈락한 예비주자들이 무소속으로 본선에 출전하면 필승공식은 더 복잡해진다.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계급장까지 떼며 도전하는 경남 양산에는 배수진을 친 김양수 전 의원이 버티고 있다. 누가 공천을 받는다 해도 ‘노무현의 남자’ 문재인 전 비서실장이 나설 경우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김영환 전 장관, 임종인 전 의원이 도전장을 낸 안산상록을에는 상황에 따라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까지 나설 수 있어 중량급 있는 한나라당 후보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나라당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강원 강릉도 최돈웅 전 의원과 심기섭 전 강릉시장의 무소속 출마가 확실시되면서 혼전양상이 점쳐진다.
대통령 지지율과는 달리 횡보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 지지율도 걸림돌이다.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여의도정치에 대한 실망감은 여당에 대한 지지철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대통령 지지율이 높던, 낮던 재보궐 선거는 경향성은 항상 여당 견제”라며 “상대적으로 여론이 나아지긴 했지만 미디어법 강행처리 등 국회파행에 대한 책임을 여당에게 물을 수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5대0’이라는 4월 재보선 완패에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겹치면서 지지율 ‘10%대’의 촛불정국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감도 컸다. ‘근원적 처방’을 요구하는 쇄신파동으로 당은 ‘자중지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당시 한나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10월 재보선 지역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만큼 국정운영의 동력이 급격하게 상실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10월 선거는 없다”는 친이직계 의원의 말대로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의 고등법원 선고도 연기됐다. “선거재판은 가급적 빨리 끝내겠다”고 공언했던 법원에는 정부여당과 ‘코드’를 맞추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8월을 거치면서 한나라당 분위기는 “해볼 만하다”는 쪽으로 반전됐다. 촛불정국 이후 20~30%대 박스권을 형성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돌파하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경기 안산상록을, 경남 양산, 강원 강릉 등 3곳 이외에도 선거지역을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은평을 지역이 10월 재보선 지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듣고 있다’고 말했다”는 4일 한 라디오방송 보도로 여의도가 홍역을 치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현실은 녹녹하지 않다. 우선 ‘공천지뢰밭’을 무사히 건너야 한다. 공천과정에서 탈락한 예비주자들이 무소속으로 본선에 출전하면 필승공식은 더 복잡해진다.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계급장까지 떼며 도전하는 경남 양산에는 배수진을 친 김양수 전 의원이 버티고 있다. 누가 공천을 받는다 해도 ‘노무현의 남자’ 문재인 전 비서실장이 나설 경우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김영환 전 장관, 임종인 전 의원이 도전장을 낸 안산상록을에는 상황에 따라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까지 나설 수 있어 중량급 있는 한나라당 후보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나라당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강원 강릉도 최돈웅 전 의원과 심기섭 전 강릉시장의 무소속 출마가 확실시되면서 혼전양상이 점쳐진다.
대통령 지지율과는 달리 횡보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 지지율도 걸림돌이다.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여의도정치에 대한 실망감은 여당에 대한 지지철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대통령 지지율이 높던, 낮던 재보궐 선거는 경향성은 항상 여당 견제”라며 “상대적으로 여론이 나아지긴 했지만 미디어법 강행처리 등 국회파행에 대한 책임을 여당에게 물을 수 있는 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