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에서는 성남·하남·광주 등 7개 지역에서 행안부에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안양권 의정부권 수원권 3곳은 통합건의 대상범위에 대해 이견을 보였고 남양주·구리, 여주·이천, 안산·시흥 3곳은 지자체간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성남·하남·광주는 지자체간 통합의견을 같이하고 있지만 가장 덩치가 큰 성남의 분당·판교 등 아파트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어 실현여부가 불투명하다.
안양권의 경우 안양시는 안양·의왕·군포 통합을 건의했지만 주민들은 안양·의왕·군포·과천 통합을 건의했다. 의정부시의회는 의정부·양주·동두천 통합을, 양주와 동두천시의회는 양주·동두천만의 통합을 원했다. 수원시의회는 수원·오산·화성 통합을, 오산시의회는 오산·화성시만의 통합을 건의했다.
남양주·구리의 경우 남양주시장과 구리시민이 각각 지난 4일과 30일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구리시장은 남양주시의 일방적인 통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시민대책위가 9만여명의 통합반대 서명부를 행안부에 제출했다.
안산·시흥도 안산시가 지난 28일 시장 및 시의회 명의로 건의서를 제출했지만 시흥지역에서는 아예 의견서도 보내지 않았다. 여주·이천지역 역시 주민들이 지난 28일 건의서를 냈지만 지자체는 통합에 부정적이다.
성남·광주·하남지역은 3개 지자체장이 이날까지 모두 통합에 찬성의견을 냈고, 광주시의회와 주민들도 지난 28일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성남시아파트연합회와 광주,성남,하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단체장과 정부가 인위적이고 졸속으로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합대상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 찬반의견이 엇갈리는 지자체의 주민의견이 어떻게 모아질 지가 주목된다.
한편 경기도는 각 지역의 통합건의서를 행안부에 제출하면서 △시·군 통합에 앞선 지방분권 실시 △시·도지사 직속의 자치경찰제 조기 도입 △통합 추진에 따른 시·군간 갈등 해소 대책 수립 등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첨부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안양권의 경우 안양시는 안양·의왕·군포 통합을 건의했지만 주민들은 안양·의왕·군포·과천 통합을 건의했다. 의정부시의회는 의정부·양주·동두천 통합을, 양주와 동두천시의회는 양주·동두천만의 통합을 원했다. 수원시의회는 수원·오산·화성 통합을, 오산시의회는 오산·화성시만의 통합을 건의했다.
남양주·구리의 경우 남양주시장과 구리시민이 각각 지난 4일과 30일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구리시장은 남양주시의 일방적인 통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시민대책위가 9만여명의 통합반대 서명부를 행안부에 제출했다.
안산·시흥도 안산시가 지난 28일 시장 및 시의회 명의로 건의서를 제출했지만 시흥지역에서는 아예 의견서도 보내지 않았다. 여주·이천지역 역시 주민들이 지난 28일 건의서를 냈지만 지자체는 통합에 부정적이다.
성남·광주·하남지역은 3개 지자체장이 이날까지 모두 통합에 찬성의견을 냈고, 광주시의회와 주민들도 지난 28일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성남시아파트연합회와 광주,성남,하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단체장과 정부가 인위적이고 졸속으로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합대상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 찬반의견이 엇갈리는 지자체의 주민의견이 어떻게 모아질 지가 주목된다.
한편 경기도는 각 지역의 통합건의서를 행안부에 제출하면서 △시·군 통합에 앞선 지방분권 실시 △시·도지사 직속의 자치경찰제 조기 도입 △통합 추진에 따른 시·군간 갈등 해소 대책 수립 등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첨부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