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요감소, 아시아 경제회복 위협
홍콩에서 발행되는 경제주간지 파이스턴이코노믹리뷰는 IT산업에 대한 수요 둔화가 아시아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IT관련 제품의 수출 급증은 아시아지역 경제위기 극복의 원동력이었다. 지난 93년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IT관련 제품 대미수출은 총 470억불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올 상반기에만도 580억불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아시아지역의 총수출 중 13%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다.
도이치뱅크의 경제전문가들이 조사한 아시아국가들의 올 상반기 전자제품 수출증가율을 보면 말레이시아 28%, 대만 38%, 중국 50%, 한국 94%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회복이 세계 기술혁명에 의해 얼마나 크게 촉진되었는지는 싱가포르의 예에서 알 수 있다. 싱가포르의 8월 비석유제품 수출 증가는 반도체 수출의 급증에 따른 것이다. 반도체 수출 규모는 싱가포르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8%∼10%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그러나 세계 전자산업 경기가 내년의 불황을 향해 가고 있는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생겨나면서, 아시아 경제성장이 선진국의 IT 수요에 지나치게 의존돼 있는 것 같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동아시아의 경제회복을 주도한 것은 전자제품 수출이었으며, 이는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들의 IT 수요 급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제 미국 우량 IT회사들의 잇달은 수익전망 하향조정은 전자제품 수요가 예상보다 훨씬 더 빨리 정점에 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경고를 의미한다. 인텔·애플·델 컴퓨터 등이 수익전망을 하향 조정함에 따라 세계 기술주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세계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 둔화의 영향은 아시아 주식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손상을 입힐 것이다. 고금리와 고유가가 선진국들의 성장을 위축시키고 있어 전자제품 수출이 둔화될 전망이다. 전자제품 수요 둔화는 아시아 경제성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중단기적으로, 기술부문의 성장과 경제전반의 성장이 연계돼있으므로 아시아의 기술부문도 선진국들의 경제성장 둔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외자유치해야 한국경제 연착륙 가능
한국 경제는 올 상반기 지난해와 같은 10.7%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하반기에는 성장 속도의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영국에서 발행되는 경제전문지 파이낸셜타임즈는 19일자(현지시간)로 보도했다.
내년의 경우에는 둔화폭이 훨씬 커져 성장률이 5%∼6%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성장속도의 감소가 과연 연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한편 한국경제의 대내외 여건은 고유가,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숙련노동력의 부족, 한국 수출시장의 불확실한 경기전망 등으로 좋지 않다.
그러나 정부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900억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고는 원화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점들을 종합할 때 한국 경제의 성장 속도 둔화가 연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의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 외국인 자본과 기업을 대거 유치하는 것이다.
미국기업인 75% “정치자금 압력받았다”
미국의 태런스 그룹이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중 75%가 정치자금 기부압력을 받고 있으며 거부할 경우 기업에 불이익이 돌아올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19일자로 보도했다.
또한 참여정치센터에 따르면 재계에서 99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약 8억 4180만 달러의 선거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 96년 선거 당시보다 훨씬 증가한 액수이며 한 단체에서만 약 5630만 달러를 기부한 적도 있다.
한편 연방선거위원회(FEC)는 여론 조사 응답자 중 60%가 어음 기부를 금지해야 하며, 66%는 자발적인 기부금 액수의 한도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이번 여론조사로 업계의 기부금 제도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됐다고 강조했다.
일본, 11조엔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최근 미국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확대되면서 주가가 침체되자 일본 정부가 11조엔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고 외신들은 19일자도 보도했다.
이번 경기대책에는 개인투자자의 주식양도차익 원천분리과세 방식 논의를 2001년 4월 이후로 연기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IT, 환경, 고령화, 도시기반정비 등 4개 분야에 전체 11조엔 가운데 3조엔을 할당해 중점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며 국가와 지방을 합한 실질적인 재정지출도 6조엔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 경기부양책의 규모는 지난 99년 11월 발표한 경제신생대책 18조엔에 비해 다소 줄어든 규모다.
한편 경제기획청은 이번 경기부양책으로 앞으로 1년동안 GDP를 1.2%정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경제주간지 파이스턴이코노믹리뷰는 IT산업에 대한 수요 둔화가 아시아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IT관련 제품의 수출 급증은 아시아지역 경제위기 극복의 원동력이었다. 지난 93년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IT관련 제품 대미수출은 총 470억불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올 상반기에만도 580억불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아시아지역의 총수출 중 13%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다.
도이치뱅크의 경제전문가들이 조사한 아시아국가들의 올 상반기 전자제품 수출증가율을 보면 말레이시아 28%, 대만 38%, 중국 50%, 한국 94%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회복이 세계 기술혁명에 의해 얼마나 크게 촉진되었는지는 싱가포르의 예에서 알 수 있다. 싱가포르의 8월 비석유제품 수출 증가는 반도체 수출의 급증에 따른 것이다. 반도체 수출 규모는 싱가포르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8%∼10%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그러나 세계 전자산업 경기가 내년의 불황을 향해 가고 있는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생겨나면서, 아시아 경제성장이 선진국의 IT 수요에 지나치게 의존돼 있는 것 같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동아시아의 경제회복을 주도한 것은 전자제품 수출이었으며, 이는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들의 IT 수요 급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제 미국 우량 IT회사들의 잇달은 수익전망 하향조정은 전자제품 수요가 예상보다 훨씬 더 빨리 정점에 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경고를 의미한다. 인텔·애플·델 컴퓨터 등이 수익전망을 하향 조정함에 따라 세계 기술주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세계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 둔화의 영향은 아시아 주식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손상을 입힐 것이다. 고금리와 고유가가 선진국들의 성장을 위축시키고 있어 전자제품 수출이 둔화될 전망이다. 전자제품 수요 둔화는 아시아 경제성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중단기적으로, 기술부문의 성장과 경제전반의 성장이 연계돼있으므로 아시아의 기술부문도 선진국들의 경제성장 둔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외자유치해야 한국경제 연착륙 가능
한국 경제는 올 상반기 지난해와 같은 10.7%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하반기에는 성장 속도의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영국에서 발행되는 경제전문지 파이낸셜타임즈는 19일자(현지시간)로 보도했다.
내년의 경우에는 둔화폭이 훨씬 커져 성장률이 5%∼6%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성장속도의 감소가 과연 연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한편 한국경제의 대내외 여건은 고유가,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숙련노동력의 부족, 한국 수출시장의 불확실한 경기전망 등으로 좋지 않다.
그러나 정부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900억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고는 원화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점들을 종합할 때 한국 경제의 성장 속도 둔화가 연착륙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의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연착륙에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 외국인 자본과 기업을 대거 유치하는 것이다.
미국기업인 75% “정치자금 압력받았다”
미국의 태런스 그룹이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중 75%가 정치자금 기부압력을 받고 있으며 거부할 경우 기업에 불이익이 돌아올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19일자로 보도했다.
또한 참여정치센터에 따르면 재계에서 99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약 8억 4180만 달러의 선거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 96년 선거 당시보다 훨씬 증가한 액수이며 한 단체에서만 약 5630만 달러를 기부한 적도 있다.
한편 연방선거위원회(FEC)는 여론 조사 응답자 중 60%가 어음 기부를 금지해야 하며, 66%는 자발적인 기부금 액수의 한도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이번 여론조사로 업계의 기부금 제도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됐다고 강조했다.
일본, 11조엔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최근 미국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확대되면서 주가가 침체되자 일본 정부가 11조엔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고 외신들은 19일자도 보도했다.
이번 경기대책에는 개인투자자의 주식양도차익 원천분리과세 방식 논의를 2001년 4월 이후로 연기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IT, 환경, 고령화, 도시기반정비 등 4개 분야에 전체 11조엔 가운데 3조엔을 할당해 중점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며 국가와 지방을 합한 실질적인 재정지출도 6조엔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 경기부양책의 규모는 지난 99년 11월 발표한 경제신생대책 18조엔에 비해 다소 줄어든 규모다.
한편 경제기획청은 이번 경기부양책으로 앞으로 1년동안 GDP를 1.2%정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