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10일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EBS수능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연계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과부-EBS-한국교육과정평가원간 교류협력협정서(MOU)를 체결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상호 협력을 통해 사교육경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너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이들 기관은 △초·중·고 교수·학습 지원강화를 위한 교육·연구관련 자료공유 및 공동프로그램 기획·제작 △EBS수능강의와 수능과의 연계 강화 △국가 영어능력평가시험 관련 상호협력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앞서 교과부와 EBS는 EBS수능 서비스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강화를 위해 52명의 스타강사 영입과 일선학교 우수교사 EBS 파견근무제 도입을 통해 우수강사를 확충했다. 또 그동안 중위권 수험생 중심 강의에서 탈피하여 수준별 맞춤형 강좌 확대, 고품질 교재 개발을 위한 교재공모제를 실시하고 인세제 및 저자직강 교재를 확대하여 수능강의의 질을 대폭 개선했다. 이와 관련 교과부는 EBS수능사업 지원예산 규모를 지난해 175억원에서 올해 262억원으로 50%이상 증액하기도 했다.
교과부 안병만 장관은 “공교육의 내실화와 아울러 학생들이 별도의 사교육 부담 없이 EBS수능강의 만으로도 대입수능 준비가 가능토록 EBS의 지속적인 노력과 관련기관의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양해각서 체결 직후 ‘제1회 교육개혁 현장착근 지원협의회(교과부 장관 주재)’가 개최됐다. 교과부는 ‘교육개혁 대책회의(대통력 주재)’를 지원하기 위해 매월 1회 지원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개혁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상호 협력을 통해 사교육경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시너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이들 기관은 △초·중·고 교수·학습 지원강화를 위한 교육·연구관련 자료공유 및 공동프로그램 기획·제작 △EBS수능강의와 수능과의 연계 강화 △국가 영어능력평가시험 관련 상호협력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앞서 교과부와 EBS는 EBS수능 서비스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강화를 위해 52명의 스타강사 영입과 일선학교 우수교사 EBS 파견근무제 도입을 통해 우수강사를 확충했다. 또 그동안 중위권 수험생 중심 강의에서 탈피하여 수준별 맞춤형 강좌 확대, 고품질 교재 개발을 위한 교재공모제를 실시하고 인세제 및 저자직강 교재를 확대하여 수능강의의 질을 대폭 개선했다. 이와 관련 교과부는 EBS수능사업 지원예산 규모를 지난해 175억원에서 올해 262억원으로 50%이상 증액하기도 했다.
교과부 안병만 장관은 “공교육의 내실화와 아울러 학생들이 별도의 사교육 부담 없이 EBS수능강의 만으로도 대입수능 준비가 가능토록 EBS의 지속적인 노력과 관련기관의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양해각서 체결 직후 ‘제1회 교육개혁 현장착근 지원협의회(교과부 장관 주재)’가 개최됐다. 교과부는 ‘교육개혁 대책회의(대통력 주재)’를 지원하기 위해 매월 1회 지원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개혁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