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또다시 구설수에 올랐다. G&G 그룹 이용호회장(구속중)을 긴급체포 하루만에 풀어줘 갖가지 의혹을 사고 있는 검찰이 지난해 말에는 국가정보원 고위간부의 거액 수수혐의를 포착하고도 무마해준 것으로 18일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국정원은 이날 일부 언론에 관련 혐의가 보도되자 곧바로 자체 감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간부 수뢰혐의= 동아일보 18일자 보도와 검찰·국정원 등에 따르면 서울지검 특수2부는 지난해 12월 한국디지탈라인(KDL) 정현준(33·구속중)사장의 불법대출 혐의를 수사하던 중 동방금고 이경자(57)부회장에게서 당시 국가정보원 김 모 경제단장(현 국정원 산하 정보학교 교수)에게 5000만원을 제공했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이 부회장은 진술을 통해 “금융감독원의 동방금고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기 직전 모 인사를 통해 김 전단장을 만났으며 현금 5000만원이 담긴 쇼핑백을 건넸다”고 밝혔다. 당시 수사진은 이같은 진술을 받고 김 전단장을 소환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으로 처벌키로 의견을 모았으나 검찰 고위층의 반대에 부딪혀 좌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검찰 지휘부가 김 전단장의 수사를 무마한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수사진은 거세게 반발했던 것으로 관계자들은 전했다.
◇다시 불거진 동방금고 사건= 동방금고 사건은 지난해 10월 정현준 한국디지탈라인(KDL)사장과 이경자 동방금고 부회장 등이 수백억원을 횡령하는 과정에서 정치권과 검찰, 금융권 인사가 대거 개입됐다는 의혹을 주요 줄거리로 한다. 그러나 검찰의 수사결과는 청와대 하위급 직원이 거액을 수뢰한 혐의 등을 밝혀내는데 그쳐 국민들의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당시 사건 수사 과정에서 정 사장은 일관되게 이 부회장의 로비의혹을 확인했으며 대상이 정치권과 검찰 고위간부였음을 시인했다. 그는 “이 부회장이 신양팩토링 개업식을 했을 때 여권 실세 정치인 두 명이 보낸 화분을 본적이 있다”고 말해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은 “완전한 거짓말”이라며 전면부인해왔다. 검찰은 이와중에 이 부회장이 정래찬 당시 금융감독원 국장에게 7억원을 준 사실을 밝혀냈다. 또 정 사장이 청와대 8급직원에게 3억원을 뇌물로 준 혐의도 확인했다.
그러나 결국 검찰이 이 사건과 관련된 ‘국정원 간부 거액수수혐의’를 덮은 것으로 확인돼 전체적으로 사건을 축소수사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대해 김 전단장은 “친구 소개로 이 부회장을 두차례 만난적은 있지만 돈을 받은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일부 언론에 관련 혐의가 보도되자 곧바로 자체 감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간부 수뢰혐의= 동아일보 18일자 보도와 검찰·국정원 등에 따르면 서울지검 특수2부는 지난해 12월 한국디지탈라인(KDL) 정현준(33·구속중)사장의 불법대출 혐의를 수사하던 중 동방금고 이경자(57)부회장에게서 당시 국가정보원 김 모 경제단장(현 국정원 산하 정보학교 교수)에게 5000만원을 제공했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이 부회장은 진술을 통해 “금융감독원의 동방금고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기 직전 모 인사를 통해 김 전단장을 만났으며 현금 5000만원이 담긴 쇼핑백을 건넸다”고 밝혔다. 당시 수사진은 이같은 진술을 받고 김 전단장을 소환한 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으로 처벌키로 의견을 모았으나 검찰 고위층의 반대에 부딪혀 좌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검찰 지휘부가 김 전단장의 수사를 무마한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수사진은 거세게 반발했던 것으로 관계자들은 전했다.
◇다시 불거진 동방금고 사건= 동방금고 사건은 지난해 10월 정현준 한국디지탈라인(KDL)사장과 이경자 동방금고 부회장 등이 수백억원을 횡령하는 과정에서 정치권과 검찰, 금융권 인사가 대거 개입됐다는 의혹을 주요 줄거리로 한다. 그러나 검찰의 수사결과는 청와대 하위급 직원이 거액을 수뢰한 혐의 등을 밝혀내는데 그쳐 국민들의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당시 사건 수사 과정에서 정 사장은 일관되게 이 부회장의 로비의혹을 확인했으며 대상이 정치권과 검찰 고위간부였음을 시인했다. 그는 “이 부회장이 신양팩토링 개업식을 했을 때 여권 실세 정치인 두 명이 보낸 화분을 본적이 있다”고 말해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은 “완전한 거짓말”이라며 전면부인해왔다. 검찰은 이와중에 이 부회장이 정래찬 당시 금융감독원 국장에게 7억원을 준 사실을 밝혀냈다. 또 정 사장이 청와대 8급직원에게 3억원을 뇌물로 준 혐의도 확인했다.
그러나 결국 검찰이 이 사건과 관련된 ‘국정원 간부 거액수수혐의’를 덮은 것으로 확인돼 전체적으로 사건을 축소수사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대해 김 전단장은 “친구 소개로 이 부회장을 두차례 만난적은 있지만 돈을 받은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